•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오대산국립공원 탐방로 재해위험도

§ 오대산국립공원의 산사태 발생 위험 등급별 조사 대상지는 산사태 발생 위험 1등급지 124개소, 2등급지 214개소, 3등급지 107개소로 총 445개 소에 대한 조사가 2013년, 2015년에 걸쳐 수행되었다.

§ 추가조사된 월정사~상원사 구간에서 7개소가 산사태 발생 위험 4등급 이하로 조사되어 산사태 발생 위험 3등급지에 포함 분석을 수행하였다.

§ 탐방로 재해위험도 등급을 살펴보면 재해위험이 높은 A등급지는 1개소 로 두로령~명계리 구간의 사면절개지로 분석되었다.

§ 단기간(2~5년)내에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B등급지는 32개소로 전 체 조사 대상지의 7.2%로 분석되었다.

§ 오대산국립공원 전체 조사 대상지에서 비교적 재해위험이 낮거나 없는 C 및 D등급지는 412개소로 전체 조사 대상지의 92.6%를 차지하여 월 정사~상원사~두로령~명계리 구간을 제외한 대부분의 탐방로가 비교적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재해위험도탐방로 산사태발생위험등급

조사대상 개소 수

탐방로 재해위험도 A등급

(심각)

B등급 (우려)

C등급 (보통)

D등급

(건전) 계

1등급 124 1 24 67 32 124

2등급 214 - 5 52 157 214

3등급 107 - 3 24 80 107

계 445 1 32 143 269 445

표 4-10. 오대산국립공원 탐방로 재해위험도 분석

(1) 조사지번호 : 오대S(1)92-00-19(탐방로 재해위험도 A등급)

① 조사야장 1. 일반현황

국 립 공 원 명 오대산국립공원 조 사 일 시 2013. 5. . 구 간 명 칭 두로령-명계리 코스

조 사 자 직 급 충북대학교

위험탐방로거리 111 m 성 명 이상희

GPS좌표(시점) N37° 49' 24.519"

GPS좌표(종점) N37° 49' 21.558"

E128° 34' 36.465" E128° 34' 38.856"

경 사 (°) 사면: 37.7°

노면: 2.8° 주 변 임 상 침,활,혼/(소나무, 자작) 평균직경:( 18 cm) 방 위 N, E, S, W,( 246 )

식 생 피 복 사면: 교목, 관목, 초본류 양호 / 불량(피도: 30 %) 해 발 고 도 ( m ) 1,184 m

2. 사면현황 재 해 발 생

예 상 지 구 분 상부, 탐방로, 하부 종 적 위 치 계곡, 산록, 산복, 산정 횡 적 위 치 계곡, 산복, 능선 흙 의 분 류 풍화토, 사질토, 자갈토, 실트, 점토 토심(cm) <15, 16-30, 31-45, 46<

모 암 분 류 퇴적암, 변성암, 화성암/( ) 암석노출도 30 %

탐 방 로

주 변

사 면 형

탐 방 로

주 변

사 면

단 면 형

철형 평행형 직선형 오목형 볼록형

요형 복합형 요철형 하부이탈형 돌출형

절 리 발 달

없음 유리 양호 불리 매우불리

사 면 풍 화 도 신선, 약간풍화, 보통풍화, 심한풍화, 완전풍화 낙 석 유, 무 사 면 유 출 건조, 습함, 젖음, 적하, 흐름 풍 도 목 유(사면상, 사면하) / 무

3. 노면현황 노 선 방 향 등고선기준(평행, 경사, 직각)

노 면 특 성 암, 토사, 복합 노 면 침 식 양호, 우격, 면상, 누구, 구곡 탐방로 폭(m) 최대:5.0,최소:4.0,(4.5) 사면장(절토) m( 9 ) 인 공 구 조 물 유(암거,찰쌓기), 무 배 수 상 태 양호, 불량/시설명( 측구 ) 4. 계류현황 유 출 유 무 건천, 상시 침 식 현 황 ( 공 통 ) 누구, 구곡, 야계, 하천 계 류 통 과 유, 무 계 류 폭 4.4 계 상 구 성 ( 공 통 ) 토사, 전석, 기반암노출 / 유목 계 곡 형 탐 방 로 유, 무 계 류 폭 인접계류길이( m ) 인 접 거 리

5. 종합평가

재해/붕괴이력 유/무/(토사붕괴,낙석) 재 해 위 험 도 상(심각)/중(진행)/하(보통) 1,2차피해위험 산사태/토석류/사면상부붕괴/사면하부붕괴/탐방로유실/시설물훼손/낙석/없음 필 요 대 책 현상태 유지관리/주의 안내판 설치/보강공 필요/보호공 필요/긴급조치

6. 검토의견

검 토 의 견

※ 현장 의견

- 두로령~내면 명계리로 이어지는 과거 군작전 도로로 현재는 탐방 로로 이용되는 비포장 도로임

- 18×4m의 사면붕괴와 낙석이 발생하였으며, 현재 도복된 수목과 도복위험 수목이 방치되어 추가 붕괴 위험이 매우 높은 지역임

※ 1차 피해(탐방로)

- 현재 탐방로로 퇴적된 토사와 전석은 정리가 된 상태이나, 상단 부의 토사, 풍도목, 낙석이 아래로 이동하고 있음

※ 2차 피해(주변 산림 및 사유 시설)

- 상단부의 뿌리가 노출된 대형수목의 도복위험과 사면붕괴가 진행 되면 탐방로와 하단부 사면으로 확산될 위험이 매우 높은 지역임

개 선 사 항

※ 사면안정 및 배수시설(공법)

- 탐방로 하단부로 전석찰쌓기가 시공되어 있어서 탐방로 상단부의 안전시설물 설치가 필요함

- 상단부 도복위험 수목과 도복 수목의 정리 필요 - 토사붕괴 저지를 위하여 옹벽(개비온) 설치 검토됨 - 사면부 단끊기 및 돌망태 시공 검토됨

※ 대상지 식생도입(녹화)

- 주변부 식생은 안정적이나 붕괴사면에 대한 안전시설물 설치 후 식생복원이 필요한 지역(현지 식생을 이용한 원지반 식생공)임

※ 기타 :

② 위치 및 기본현황

§ 대상지 위치 : 강원도 홍천군 내면 소재

GPS좌표(좌표계 : WGS84, 타원체 : WGS84)

시 점

N37° 49' 24.519"

종 점

N37° 49' 21.558"

E128° 34' 36.465" E128° 34' 38.856"

§ 위험탐방로 : 두로령~내면 명계리 노선 중 111m 구간

§ 기본현황

ü 두로령~명계리로 연결되는 과거 군작전 도로를 탐방로로 이용하는 구간 에 위치하는 지역으로 대상지점의 거리 111m, 사면 경사는 37.7°, 노면 경사는 2.8°, 사면의 방위는 246°(W), 해발고도는 1,184m로 조사되었다.

ü 대상지 주변은 소나무, 자작나무, 신갈나무가 주를 이루는 혼효림 지역 으로 수목의 평균직경은 18cm이며, 사면의 식생피복은 교목, 관목류가 주로 분포하며 피복상태는 양호한 편으로 조사되었다.

③ 대상지 일반현황

§ 사면현황

ü 대상지 사면은 산복에 위치하고, 토양은 사질토, 토심은 46cm 이상으 로, 과거 군작전 도로 개설에 따른 노출암과 토사면 구간이 생성되어 낙 석과 붕괴가 진행되고 있다.

ü 사면형은 평행형이고, 사면단면형은 인위적으로 생성된 절토사면으로 직 선형이다.

ü 탐방로를 기준으로 상단부는 노출암과 토사면, 하단부는 토사면을 이루고 있으며, 노출암은 절리가 사면과 평행으로 매우 불리하게 발달하였다.

ü 탐방로 상부 붕괴사면에 대형 풍도목과 도복위험 수목이 조사되었다.

§ 노면현황

ü 탐방로의 폭은 최대 5.0m에서 최소 4.0m로 평균 4.5m의 폭을 보이고 있으며 차량이동이 가능한 비포장 도로로 노면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ü 탐방로를 따라 배수를 위한 측구가 개설되어 있으며, 사면붕괴지와 인접 한 탐방로 하단부로는 전석찰쌓기가 시공되어 있고, 노면침식은 비교적 양호한 편이고, 배수상태도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계류현황

ü 대상지 111m 구간내에 산지에서 내려오는 산지소계류가 탐방로를 통과 하고 있으며, 암거를 통하여 탐방로를 관통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ü 산지소계류의 계상재료인 토사는 대부분 유출되어 기반암이 노출된 상태로 계류폭은 3~4.4m로 조사되었으며, 암거의 직경은 600mm로 조사되었다.

④ 대상지 세부사진

§ 대상지 전경사진(좌 : 전방, 우 : 후방)

§ 재해 위험 요인(좌 : 사면붕괴, 우 : 수목도복)

⑤ 산사태 위험지역내 탐방로 재해위험 등급 평가

§ 탐방로 재해위험도 평가기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61점으로, 평가등급 “A 등급”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판정되었다.

판정등급 판 정 기 준 평가점수

A 등급

- 평가기준 점수범위 : 61점 이상

- 산사태 및 재해위험도가 매우 높은 지역 - 즉시 조치 필요

61

§

세부항목별 평가 결과

항 목

주변사면형 주변사면단면형 계곡유무 절리발달 사면유출 배수상태

평행형 직선형 매우불리 습함 양호

점 수 3 0 10 10 3 0

항 목

수목도복 식생피복 재해이력 재해위험도 산사태위험등급

총 점 유(사면상) 불량 유(붕괴) 상(심각) 1등급

점 수 5 5 5 10 10 61

⑥ 종합의견 및 개선사항

§ 종합의견

ü 두로령~내면 명계리로 이어지는 구간으로 과거 도로개설시 생성된 절토 사면에서 낙석, 토사붕괴가 진행되고 있으며, 사면 상단부의 수목이 지 속적으로 도복되어 추가 재해 발생위험이 매우 높은 지역이다.

§ 개선사항

ü 탐방로 상단부의 추가 붕괴 예방을 위하여 옹벽(개비온)이 설치되었으나, 붕괴사면은 사면안정을 위하여 단끊기와 사면정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ü 주변부 식생은 안정적이나 붕괴사면의 빠른 안정을 위하여 원지반 식생 공법의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2) 조사지번호 : 오대S(0)99-00-02(탐방로 재해위험도 B등급)

① 조사야장 1. 일반현황

국 립 공 원 명 오대산국립공원 조 사 일 시 2015. 11. 21.

구 간 명 칭 월정사~상원사

조 사 자직 급 충북대학교

위험탐방로거리 166 m 성 명 이상희

GPS좌표(시점)N37° 44' 3.287"

GPS좌표(종점) N37° 43' 57.989"

E128° 35' 25.414" E128° 35' 25.680"

경 사 (°)사면: 59°

노면: 1° 주 변 임 상침,활,혼/(전나무,소나무,신갈) 평균직경:( 16 cm) 방 위 N, E, S, W,( 289 )

식 생 피 복 사면: 교목, 관목, 초본류 양호 / 불량(피도: 100 %) 해 발 고 768 m

2. 사면현황 재 해 발 생

예 상 지 구 분 상부, 탐방로, 하부 종 적 위 치 계곡, 산록, 산복, 산정 횡 적 위 치 계곡, 산복, 능선 흙 의 분 류 풍화토, 사질토, 자갈토, 실트, 점토 토 심 ( c m ) <15, 16-30, 31-45, 46<

모 암 분 류 퇴적암, 변성암, 화성암/( ) 암 석 노 출 도 70 %

탐 방 로

주 변

사 면 형

탐 방 로

주 변

사 면

단 면 형

철형 평행형 직선형 오목형 볼록형

요형 복합형 요철형 하부이탈형 돌출형

절 리 발 달

없음 유리 양호 불리 매우불리

사 면 풍 화 도 신선, 약간풍화, 보통풍화, 심한풍화, 완전풍화 낙 석 유, 무 사 면 유 출 건조, 습함, 젖음, 적하, 흐름 풍 도 목 유(사면상, 사면하) / 무

3. 노면현황 노 선 방 향 등고선기준(평행, 경사, 직각)

노 면 특 성 암, 토사, 복합 노 면 침 식 양호, 우격, 면상, 누구, 구곡 탐방로 폭( m ) 최대:7.0,최소:7.0,(7.0) 사 면 장 ( 절 토 ) m( ) 인 공 구 조 물 유(아스콘포장도), 무 배 수 상 태 양호, 불량/시설명( ) 4. 계류현황 유 출 유 무 건천, 상시 침 식 현 황 ( 공 통 ) 누구, 구곡, 야계, 하천 계 류 통 과 유, 무 계 류 폭 계 상 구 성 ( 공 통 ) 토사, 전석, 기반암노출 / 유목 계 곡 형 탐 방 로 유, 무 계 류 폭 27 인 접 계 류 길 이 ( m ) 166 인 접 거 리 2 5. 종합평가

재해/붕괴이력 유/무/( ) 재 해 위 험 도 상(심각)/중(진행)/하(보통)/건전 1,2차피해위험 산사태/토석류/사면상부붕괴/사면하부붕괴/탐방로유실/시설물훼손/낙석/없음 필 요 대 책 현상태 유지관리/주의 안내판 설치/보강공 필요/보호공 필요/긴급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