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프랑클 심리학의 성립과정
2.3. 프랑클과 의미에의 의지
이런 개인적 편중에 대한 비판은 이어졌고, 아들러는 보다 성숙한 견해들을 피력하기 시작했다. 인간이 사회적 충동에 의해 강한 영향을 받는다는 입장으로 발전한 것이다.
사회적 관심은 개개인이 공동의 목표를 향해 진행한다는 의미다.
아들러는 열등감이 인간의 성격파악에 있어 중요한 요소라고 보았다. 열등감이 지 나치게 강렬하면 열등감 콤플렉스(inferiority complex)에 사로잡히게 되고, 반대로 우월감을 뽐내려는 강렬한 충동에 사로잡힐 경우, 우월감 콤플렉스(superiority complex)에 빠지게 되는데, 이는 내부에 감추어진 열등감을 감추기 위한 포장일수도 있다고 보았다.
아들러는 가족의 출생서열은 성격형성에 영향을 준다고 보았다. 자신의 경험을 토 대로 한 주장이기도 하다. 첫째와 달리 둘째와 같은 중간 서열의 아이는 경쟁심을 통 해서 긍정적인 발달을 하게 되지만, 막내의 경우에는 응석받이로 자라 좋은 성격을 형성하기 어렵다고 보았다. 첫째의 경우 둘째를 수용할 경우에는 배려하는 성격으로 성장하지만, 둘째의 등장을 침략자로 보고 수용하지 못할 경우 독단적 성격의 소유자 가 되기 쉽다고 보았다.
아들러에게 있어 인간의 가장 중요한 의미는 목표를 성취하는 삶에 있다고 보았다.
의미 있는 삶의 목표를 가지고 그와 관계된 일들을 추구하는 삶이 건강한 삶이라고 본 것이다. 인간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열등감을 극복하고 약점들을 메워가며 의 미 있게 여기는 특정 분야에서 우월성을 확보해나가는 권력의지가 인간을 추동하는 의미라고 보았다. 바로 권력의지다. 아들러의 권력의지는 정치적인 권력이 아니라 자 기를 넘어서는 권력에의 의지를 뜻한다.
2.3. 프랑클과 의미에의 의지48)
로고테라피는 기본적으로 의미상실에 빠지기 쉬운 현대인 일반을 위한 치료법이다.
가벼운 신경증 상태에 빠진 이들을 향해 의도된 처방이다. 중증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현존재 분석, 실존치료와 구별된다. 정신분열과 같이 무거운 질환에 로고테라피를 적 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가벼운 신경증과 의미상실의 문제를 다루는 로고테라피라고 해서 다루는 영역이 피상적이거나 가벼운 것이 결코 아니다. 현대사회의 복잡함과 의 미상실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때는 심각한 고통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실존공허의 고통으로 인해 자살과 같이 극단적 선택을 하는 경우가 점점 늘어가는 것이 현실이다. 실존공허와 절망은 죽음에 이르는 무서운 질병이다. 화려함과 분주함 의 이면에 드리운 의미상실로 인한 공허는 죽음의 그림자를 불러오기도 한다.
현대인이 경험하는 절망은 성애적인 좌절보다 실존적 좌절이 근본적이다. 프랑클은 말하기를 “오늘날의 사람들은 프로이트 시대와는 달리 성적 좌절에 시달리는 것이 아
48) 프로이트를 쾌락의지로, 아들러를 권력의지, 프랑클을 의미의지로 정돈하는 것은 다소 지나치게 단 순화시키는 사고 일 수 있다. 그럼에도 이러한 사유는 개연성이 충분하다. Viktor E. Frankl‧ Franz Kreuzer, 태초에 의미가 있었다 , 김영철 역 (왜관: 분도출판사, 2006), 24이하를 참조하라.
닙니다. 지금 이 시대를 짓누르는 것은 존재적 좌절입니다.49)”라고 말한다. 앞선 어떤 세대보다 존재론적 문제가 중요해진 시대이다. 물질문명‧기계문명 속 분주한 일상가운 데 존재의 의미문제는 살아가야 하는 삶의 이유의 중대한 화두일 수밖에 없다.
인간은 본능적 존재로만 머물지 않는다. 동물과 달리 본능을 거절하는 초월성을 지 녔다. 김영진은 현대인이 가지는 세 가지 질병에 대해 말한다. 첫째가 육체적 질병이 고, 둘째는 정신의학적 질병인 조울증과 정신분열증, 마지막이 철학적 질병이라고 말 한다.50) 철학적 병을 분류해서 언급하고 있지만, 적극적 해명보다는 소극적으로 철학 의 질병에 대해 풀어나간다.51)
철학 상담은 정신의학과 비교할 때 보다 뚜렷하게 그 차이가 드러난다. 심리치료사 들은 찾아온 내담자들의 ‘문제’에 집중하는 것과 달리, 철학 상담은 ‘내담자’의 존재에 그 큰 관심을 기울인다. 정신의학에서 내담자를 ‘환자’로 분류하는 것과 달리 철학치 료에서는 내담자를 ‘동등한 인격체’로 바라본다. 심리치료사들이 판단하는 내담자의
‘저항’이나 ‘거부’에 대해 철학치료에서는 적대감으로 해석하기보다, 더욱 진전된 긍정 의 반응으로 바라보는 등의 차이가 드러난다.52)
라인홀드 니버(Reinhold Niebuhr)가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에서 잘 간파 했듯이 개인으로는 도덕적이지만, 집단과 전체적으로는 비도덕적인 양심과 책임 없는 인간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잘 서술했다. 책임과 자유, 인간의 실존은 긴밀한 관계 를 가진다. 김정현은 오늘날 우리 시대의 가장 긴박한 문제를 실존적 문제로 파악했 다.
오늘날 우리 시대의 긴박한 문제는 인간 안에 있는 실존적 욕구불만을 해결하고 의미 발견의 동기를 찾는 일이다. 프랑클이 말하고 있듯이 물질적인 문제가 해결되고 나면 정신적 실존의 문제가 시대의 긴박한 문제로 등장하는 것이다. 그는 오늘날의 심리치료 가 인간의 성적 불만족보다는 실존적 욕구불만, 즉 삶의 목적과 현존재의 목표, 구체적 인 과제와 개인적 사명에 대한 인간의 갈망과 연관되어 있다.53)
1943-45년의 수용소 생활 중에서 프랑클은 실존적 공허라는 삶의 무의미와 가치상 실이라는 실존문제가 좌절의 핵으로 파악했다. 에른스트 블로흐(Ernst Bloch)가 인간 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를 굶주림과 생존의 문제로 보았는데, 이것이 해소되는 곳에서 는 성적인 문제와 자기실현의 문제가 등장하고, 굶주림과 성의 문제를 넘어선 때에는
49) Viktor E. Frankl, 심리의 발견 , 강윤역 역 (파주: 청아출판사, 2008), 19-20.
50) 김영진, 철학적 병에 대한 진단과 처방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4), 11-13.
51) 김영진, 철학적 병에 대한 진단과 처방 , 36-44. 김영진은 철학적 병에 대해 소극적 방법으로 정리 하면서, 네 가지의 특징과 일곱 가지의 예를 들어 논한다. 첫째, 철학적 병은 육체적 병과 아주 다름 에 다르다고, 둘째, 철학적 병은 신경정신과의 병과 비슷하지만 다른 점이 더 많다고, 셋째, 가치 지 향적이라고, 넷째, 철학적 병은 육체적 질병이나 정신적 질병처럼 개인적으로 큰 고통을 줄 수 있고, 사회적으로도 줄 수 있는 것이라고, 다섯째, 철학적 병의 예를 들어주고 있는데, ‘광신주의 (Fanaticism)’를 들고 있는데, 흥미로운 점은 노무현대통령을 ‘보수주의’를 모르면서 보수주의를 비판 하는 철학적 질병상태에 있다고 진단하고 있다.
52) Raabe Peter B., 철학상담의 이론과 실제 , 김수배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0), 158-60.
53) 김정현, 「로고테라피와 실존분석의 임상방법 및 철학 상담에서의 함의」, 11.
가장 긴박한 문제는 실존적 욕구불만이 될 것이라고 보았다.
오늘날 여타의 선진국과 한국과 같이 굶주림 문제가 해소된 국가의 경우에는 블로 흐의 궁핍문제, 프로이트의 성의 문제가 중요하게 취급되지 않는 한계에 봉착한다. 이 와 달리 실존적 공허의 문제는 개인적으로도 중요한 문제가 되고, 사회적으로도 이미 부각되었고 심화되어가고 있다. 의미상실로 인한 실존공허의 문제는 더욱 큰 문제로 번져갈 것이다.
프랑클의 심리학이 여타의 심리학과 대비되는 기본적 차이는 인간이해에 있다. 프 로이트와 융, 매슬로와 로저스 등을 포함한 많은 심리학자들이 사람의 내면, 즉 마음 에 사람을 움직이는 무엇이 있다고 파악했다. 프로이트의 경우에는 ‘에로스(Eros)’과 더불어 ‘타나토스(Thanatos)’이고, 융의 경우에는 ‘태모(Große Mutter)’ 혹은 ‘노현자 (der alte Weise)’와 같은 원형이, 매슬로우에게는 ‘안전욕구’나 ‘승인욕구’ 같은 계층 적 욕구(hierachic needs)이고, 로저스의 경우에는 ‘실현경향성(actualizing tendency)’라고 호칭하는 성장을 추구하는 내면의 힘이 있다고 보았다.54)
프랑클의 경우에는 사람을 움직이는 내적인 힘에 대해 비판적이다. 삶의 의미는
‘마음 안에’있지 않고 ‘마음 밖’에 위치하다고 보았다. 의미와 가치가 부르는 소리에 깨어나 부름에 부응해 나가는 것에 ‘인간 마음’의 본질이 있다고 파악했다.
인간은 살아가는 순간마다 의미를 추구하는 존재다. 달리 표현하면, 의미존재다. 의 미를 향한 의지를 가지고 사는 존재이다. 일평생 의미를 발견하려 애쓰며 탐색하며 노력한다. 삶의 현실과 환경이 어떠하든지 죽음의 수용소와 같은 고통스러운 상황에 서도 의미실현이 가능한 존재다.
인간이 인생에서 갖는 의미는 두 가지다. 하나는 궁극적인 의미이고, 다른 하나는 매 순간의 의미이다. 궁극적 의미는 실존적 실천의 문제다. 인간은 어떠한 상황을 맞 았을 때 취하는 실존적 태도를 뜻한다. 수용소와 같은 상황이나, 죽음에 직면했을 때 어떻게 고통을 수납할 것인지? 어떻게 죽음을 맞이할 것인가를 이해하는 일이다.55) 인간은 우주 공간 안에 미약하고 미미한 존재이며, 세상의 일부라는 사실을 전제한 다. 프랑클의 의미(Logos)는 우주와 자연 속 인간 일생에서 발생하는 질서를 뜻하는 것이다.56) 인생은 수수께끼와 같이 복잡하다. 삶은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여 갈등하고, 어떤 의미에 가치를 둘 것인가를 두고 씨름한다. 다양하게 다가오는 삶의 정황 속에 서 고심한다.
원치 않은 상황에 직면했을 때에도 인간은 끊임없이 의미를 추구하는 존재로 서 있 다. 종교인이든, 종교적 신앙이 없는 무신론자든, 죽음과 고통의 현실 앞에서 모두 설 명할 수 없는 방식으로 자기초월을 통한 평온함의 태도로 나아갈 수 있는 존재다. 우 주의 질서는 변함없이 운행한다. 인간이 스스로 바꿀 수 없는 삶의 현실, 곧 결정적 인 상황들 속에서도 태도의 자유를 따라 의미추구가 가능하다는 궁극적 의미다.
더불어 인생에서 직면하는 매순간, 모든 상황 속에서도 의미는 존재한다. 대부분의
54) 정인석, 의미 없는 인생은 없다 , 49.
55) Viktor E. Frankl, 심리요법과 현대인 , 110.
56) Fabry, 意味治療-빅터 프랭클의 생애와 로고테라피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