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도 제29회 교육방송연구대회 작품설명서
주제 : 여천 홍범도; 봉오동에서 멈춘 우리의 기억
소속기관 선일초등학교 직위 교사 성명 김선욱
1. 제작 동기
COVID-19로 인한 팬데믹 상황, 동북공정, 북핵 문제 등 미래를 예측하기도 힘들게 급변하는
상황에서 역사 교육은 어떠한 의미가 있을까? 미래 주역이 될 학생들이 위기를 극복하는 지혜를 얻고 나라 사랑하는 마음을 갖게 하는 것이 역사 교육의 가장 중요한 목적이 아닐까? 그러므로 근대사에서 가장 위기 상황이었던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들에 대해 배우고 기억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우리가 기억하지 못하는 독립운동가가 많다. 잃어버린 나라를 되찾기 위해 목숨도 내놓 았지만 우리는 그분들의 이름도 얼굴도 모른다. 그들이 있었기에 지금의 대한민국이 있는데도 말이다. 그들을 기억하고 넋을 기려야 한다. 오늘날 대한민국이 선진국 반열에 올라선 것이 한 사람의 공이 아니듯 독립 또한 한 사람의 힘만으로 이룬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경쟁을 강조하는 사회 분위기로 인해 우리 사회는 1등(결과)만 기억하려고 한다. 하지만 누가·언제·무엇을·어떻게·왜 했는가(과정)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
홍범도 장군은 평민 출신으로는 드물게 의병장‧독립군 대장으로 활약했음에도 그의 생애를 아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특히 말년에는 이역만리 카자흐스탄으로 강제 이주를 당해 극장의 야간 수위로 지내다 생을 마감하였다. 그가 서거한 지 78년이 된 올해 광복절, 후손들의 환대 속에 홍범도 장군은 고국으로 돌아왔고 그가 재조명 받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아직도 유해가 국내에 봉환되지 못한 독립운동가들과 이름 없이 스러져간 무명 독립군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이 영상은 사료 「홍범도 일지」에 근거하여 1938년 카자흐스탄을 배경으로 말년의 홍범도 장군이 학생들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형식이다. 그의 말을 통해 누가·언제·무엇을·어떻게·왜 독립운동 (무장투쟁 중심)을 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봉오동의 영웅 홍범도, 그리고 그와 함께한 수많은 독립군들이 있었음을 기억해주길 바란다.
2. 제작 목적
가.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대첩 등 나라를 구하기 위한 순국선열들의 노력을 통해 미래 주역이 될 어린이들이 위기를 극복하는 지혜와 나라 사랑하는 마음을 갖게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나. 역사적 의미를 가진 내용(무장투쟁 중심 항일독립운동)을 바탕으로 이해하기 쉽도록 제작하여 역사 수업과 국경일 계기교육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 말년의 홍범도 장군이 학생들에게 직접 이야기하는 형식으로 잊혀가는 독립운동가들도 기억 하자는 메시지를 흥미 있고 실감 나게 전달하고자 하였다.
3. 교육과정 분석 및 수업 적용
가. 관련 핵심성취기준 추출
[6사04-03] 일제의 침략에 맞서 나라를 지키고자 노력한 인물의 활동에 대해 조사한다.
[6사04-04] 광복을 위하여 힘쓴 인물의 활동을 파악하고, 나라를 되찾기 위한 노력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를 기른다.
나. 사회(역사) 수업 적용
학년-학기 단원명 주제(예시)
5-2 Ⅱ-2. 일제의 침략과 광복을 위한 노력
을사늑약의 과정과 항일 의병 노력을 알아볼까요?
일제강점기에 사람들은 왜 독립군이 되었을까요?
일제강점기 독립군의 활약에 대해 알아볼까요?
나라를 지키기 위한 홍범도 장군의 노력에 대해 더 알아볼까요?
다. 국경일 계기 교육
국경일 주제(예시)
3‧1절 1919년 3월 1일 독립만세운동 전‧후 항일독립운동은 어떻게 전개되었을까요?
현충일 일제 침략에 맞서 나라를 지키고자 노력한 홍범도 장군과 독립군에 대해 알아봅시다.
광복절 광복을 위하여 힘쓴 인물들(홍범도 장군과 독립군 무명용사들)의 노력을 알아봅시다.
4. 제작 과정
본 영상을 제작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단계 내용
활동 기간
2020년 2021년
9 10 11 12 1 2 3 4 5 6 7 8
준비
기초 자료 조사 제작 방향 및 계획 설정 영상 편집 프로그램 연수
전문가 지도 조언
제작
시나리오 작성 및 내용 구성 사진 촬영 등 자료 수집
컷 편집 및 효과 작업 내레이션 녹음 및 자막 처리
검증 학생 및 동료교사 대상 시연 및 반응 조사 수정
보완
영상 자료의 수정 및 보완 작품설명서 및 메이킹필름 제작 일반화 영상 자료 및 설명서 제출
5. 구성 기획
제목
“여천 홍범도; 봉오동에서 멈춘 우리의 기억“
홍범도 장군이 봉오동전투를 이끌었다는 사실은 알지만 그의 생애가 어떠했는지는 잘 모르는 우리의 기억
‘봉오동전투는 홍범도’ 로 많이 기억하고 있는데 사실 그와 함께한 수많은 독립군들이 있었으며 단결과 서로에 대한 이해가 있었기에 승리가 가능했음. 이렇게 대표적인 사건과 인물 정도만 기억하고 있는 것을 은유적으로 표현함
형식
타 영상물 제3자 내레이션
‧
역사적 사실의 전달‧
소수 인물 조명본 영상물
말년의 홍범도가 내레이션하여 청각적으로 몰입감
부족한 사진자료를 그림으로 보충하여 시각적으로 생동감
독립운동가들의 유해 봉환 노력과 지속적 관심 촉구
대구성 소구성 러닝타임 내용 ★기획 의도★
프롤로그 (00:27) -1938년 카자흐스탄 고려극장의 야간 수위로 일하던 사람, 홍범도 장군
사료 ‘홍범도 일지’(Historical fact) 기반 스토리 전개로 호기심 유발
본문
1 ~01:47 (01:20)
-홍범도의 어린 시절과 독립운동 계기 -독립운동가들의 다양한 출신 배경
독립운동은 왜 했고 어떤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했는지 이해를 도움
2 ~03:29 (01:42)
-독립군들의 목숨을 건 노력과 그 결실
‧을미의병과 을사의병, 정미의병 활동
‧아내와 두 아들의 죽음
‧봉오동 전투, 청산리 대첩 승리
일제의 침탈로 독립군이 조직되 었으며 위기를 극복하고 전투에 서 승리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단결과 배려였음을 알게 함
3 ~04:45 (01:15)
-잊혀가는 독립운동가들
‧서울현충원 무후선열제단
‧이름 없는 독립운동가들도 기억해주겠니?
이름 없이 잊혀가는 독립운동가 들에게도 관심 가지고 기억해 야겠다는 마음을 갖게 함
4 ~05:54 (01:09)
-현재의 대한민국이 기억해야 할 일
‧카자흐스탄에서 생을 마감한 홍범도
‧한국인이라는 긍지와 우리나라의 소중함
홍범도 장군이 카자흐스탄에서 생을 마감하였음을 알고 우리 나라의 소중함을 느끼게 함
에필로그 ~06:59 (01:05)
-홍범도 등 순국선열을 기억하고 감사
‧홍범도 장군의 마지막 소원
‧봉오동에서 닫힌 내 기억의 문을 열어주겠니?
독립운동가 유해봉환 필요성을 느끼고 순국선열에 감사하며 기억하도록 함
6. 내용 구성
# IMAGE VIDEO AUDIO
1
#배경: 1938년 카자흐스탄 -고려극장 안 스크린 &
의자에 앉은 노인의 어둡 고 쓸쓸한 옆모습
-고려극장 수위로 일하던 홍범도의 일기
#스크린에서 타이틀 in
*할아버지 목소리·숨소리도 들릴 만큼 조용한 한숨 소리와 독백
NA> 오늘도 하루가 갔구먼. 극장을 쓸고 닦고 사람들에게 표를 나눠주고 하다 보면 하루가 다 가. ---중략---·
내 이름? 내 이름은 홍범도야.
2
-어린시절 연상 이미지컷 (흑백 사진으로 어린 아이 이미지 컷, 어린 나이에 일하는 모습, 군인 모습)
-독립운동하는 모습 그림
NA> 나는 평양에서 태어났어. 어머니 는 내가 태어난 지 7일 만에 돌아가 시고 아버지는 내가 여덟 살 때 돌아 가셨지. --중략-- 어린 나이부터 돈을 벌다 보니까 독립운동? 이건 나와 전혀 상관없는 얘긴 줄 알았어.
3
-독립군들의 모습 모션에 자막
NA> 그런데 어느 날인가 나는 느꼈 지. 나라가 잘 돼야 먹고 살 거리도 많아지고 내 생활이 나아지겠구나. -- 중략--그래서 내가 해야 할 일은 막노 동도 머슴도 아닌 내 나라를 지켜야 한다는 사실을 깨달은거야.
-장년의 홍범도 사진과 조 선총독부 그림, 태극문양 -독립운동을 한 이유 자막
4
-독립운동은 누가 했는지 그림(다양한 출신 성분 보여주는)
-대표 독립군 학생 강상모 (사진은 안무 장군), 체육 교사 박승길, 사업가 이 화일(사진 없어 그림)
NA> 이런 생각은 나 뿐만이 아니었 어… 그저 학생이고 선생님이고 그냥 사업을 하는 사람이었지만 전국 각지 에서 모여들었어. -중략- 당시 최고의 독립군들이었지...우리는 내 목숨보다는 조국이 우선이었으니까.
5
-낮에 농사 짓는 모습 -밤에 전쟁 준비하는 모습
-단결과 배려로 한 마음이 된 군중과 독립군의 실루 엣, 태극기
NA> 고된 하루하루였지만 힘든 줄 몰랐지. ---중략--- 내 목숨조차 위 태로운 시기였지만 우린 하나로 뭉쳤 고 서로를 이해했어. 그러니 그 어떤 어려운 것들이 닥쳐와도 이겨 낼 수가 있더라고…
# IMAGE VIDEO AUDIO
6
-을미사변 그림과 자막
NA> 나는 1895년 명성황후 시해 사 건과 단발령으로 을미의병이 각지에 서 일어나던 그 때 의병활동을 시작 하게 됐어. 1905년에는 을사늑약으로 일제에 우리나라가 외교권을 빼앗기 게 되었는데 나는 그때 산짐승 잡는 포수를 하고 있었어. ---중략--- 그 렇지만 나는 멈출 수 없었어. 더 거세 게 독립운동을 했어.
결국 1920년 6월 7일 봉오동 골짜기로 일본군을 유인해서 아주 크게 승리를 했지. -중략- 그해 10월에는 청산리 일대에서 6일간에 걸쳐 일본군을 크게 무찌른 청산리 대첩에도 참전했지.
-을사늑약 조약문 이미지 와 자막
-산포수 포연대를 조직해 정미의병 활동 이미지 -일제에 죽어간 아내와 전
쟁으로 잃은 두 아들 -봉오동전투와 청산리대첩
민족기록화와 설명 자막
7 -문을 열고 나가면 국립서
울현충원과 무후선열제단
NA> 그런데 여기서 꼭 기억해야 할 게 하나 있어. 내 기억의 문은….
8
-조선의 의병들(1907년 종군 기자 맥켄지가 찍은 사진)
NA> 당시 독립군으로 활동했던 그들 은 내 몸, 내 가족보다 1순위는 조국 이었지…그 마음은 다 같았어. 그런데 안타까운 건 앞에서건 뒤에서건 최선 을 다한 독립운동가들이 참 많았는데 사람들은 다 기억하지 못하는 것 같아.
1등만 기억하는 사람들의 습관 때문 일까? 1등이 아니더라도 자기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는 사람들은 분명히 있는 데 말이야. 우린 누가 알려지고 안 알려 지고 생각할 겨를도 없이 오직 나라 되찾는 일에만 매진했어. 그들은 누구 보다 용감했고 나보다 우리를 그리고 내 나라를 아꼈던 사람들이었어. 많이 알려지진 않은 그들을 이제는 너희들이 좀 기억해 줄 수 있겠니?
-전투중인 독립군
-무명독립군상
-독립군의 피묻은 태극기
-애국지사의 묘 그림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된 독립운동가들 사진
# IMAGE VIDEO AUDIO
9
-홍범도 장군이 태극기를 등에 맨 쓸쓸한 뒷모습
NA> 나는 내 동료들과 우리나라를 위해 더 싸우고 싶었어. 그리고 독립의 기쁨도 내 조국, 내 나라에서 함께 나 누고 싶었지... 봉오동에서 느꼈던 그 승리의 감동. 온몸 아끼지 않고 독립 운동을 했던 이름 모를 내 친구들과 함께…하지만 나는 카자흐스탄에서 생을 마감해야 했어.
-카자흐스탄에서 생을 마 감한 홍범도 장군(카자흐 스탄 국기 흐르는)
10
-현재의 대한민국 발전상 타임랩스
(경복궁, 송도, 한강, 서울 도심, 숭례문, 광화문)
NA> 지금 생각해보면 말이야…내 인 생은 그렇게 순탄하진 않았어. 얻는 것 보다 잃는 게 더 익숙한 인생이었지.
하지만 그럴 때마다 일어설 수 있는 힘이 바로 내 조국이었어.
어떤 시련이 닥쳐도 오뚝이처럼 일어 나는 한국인이라는 긍지와 자부심.
-독립 성취의 상징물 (독립기념관 겨레의 탑과 불굴의 한국인상)
그리고 어떤 일도 해낼 수 있는 끈기 있는 민족이라는 사실.
너희들도 가슴속에 꼭 새겨둬야 해.
(웃음)너희들도 할 수 있겠지?
11
-카자흐스탄 현지 홍범도 장군묘 전경
NA> 내 마지막 소원이 뭐냐고?
아…난 카자흐스탄에서 대한민국으로 돌아가고 싶어. 세월이 지나도 낯설게만 느껴지는 이곳이 아닌 너희들과 함께 대한민국의 하늘을 보고 싶어…
그리고 언제, 어디서, 어떻게 죽었는지 모르는 독립운동했던 나의 동료들…
그들도 함께 돌아갔음 하는 것.. 그게 내 소원이야… 너희들이 날 그리고 내 동료들을 오래도록 기억해준다면 이뤄질 수 있지 않을까?
봉오동에서 닫힌 내 기억의 문을 너희들이 좀 열어주겠니?
함께 했던 내 친구들의 몫까지도…
-장군묘 흉상 근접(카자흐 스탄 하늘 보이는)
-홍범도와 동료들 사진
-명함 형식으로 업적 정리
-내레이션 끝나고 자막
2021년 8월 15일
홍범도 장군의 유해는 고국으로 돌아왔지만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의 유해가
아직도 대한민국에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봉오동에서 멈춘 수많은 기억들이 하루 빨리 대한민국에서 다시 기억되길...
7. 제작 도구 및 저작권
본 영상을 제작하는데 사용한 장비 및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용도 도구 관련 사진
영상 및 사진 촬영
Samsung Galaxy A90 Canon EOS 450D Fotopro MKIT TRIPOD 기본 컷 편집 Adobe Premire Pro 2021
그래픽 효과 Adobe After Effect 2021 사진 보정 Adobe Photoshop 2021 음성 보정 Adobe Audition 2021 일러스트 제작 Adobe Illustrator 2021
주 편집기 Samsung 9 Always NT950XBE-X716A
본 영상 제작에 사용된 자료의 출처는 다음과 같다.
종류 내용 출처/저작권자
음악
Sleepless Nights Crypt-of-Insomnia
envato.creator link.net License 구매 Epic Orchestra and Choir Orchestralis
Adventure Trailer Percussion Stomps LukePN Dark Drama Cellos Orchestralis
글꼴
메인 자막(EBS 주시경체) EBS
Royalty-Free License 고려극장 신, 을사늑약,
이제는 너희들이...
포천 막걸리체, 비비트리 손글씨체
포천시청, 비비트리(주) 내 기억의 문은...(정선 아리랑체) 정선군청 독립운동가 홍범도(독립서체 안중근) GS칼텍스(주)
사진
홍범도장군묘 카자흐스탄 현지 촬영 네이버 여행 인플루언서
@포그니(in.naver.com/tmdrms1547) 청산리 항일대첩기념비 중국 현지 촬영 이명섭(창원외동초 교사) 타임랩스 대한민국 발전상 motionelements.com License 구매
8. 기대 효과
가. 교수 학습 측면
1) 초등학생 수준에 알맞은 내용과 몰입도 높은 구성으로 역사적 사건(무장투쟁 중심 항일독립운동)
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2) 단순 나열식 정보 전달 방식에서 벗어나 실제 인물이 직접 이야기하는 형식을 통해 홍범도 장군의 생애와 업적, 순국선열들의 독립운동을 흥미롭게 학습할 수 있다.
3) 홍범도 장군의 말을 빌려 이름 없는 독립운동가들도 기억해달라는 메시지를 통해 나라를 되찾기 위한 조상들의 희생과 노력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를 기를 수 있다.
나. 자료 활용 측면
1) 무장투쟁 중심 항일독립운동을 주제로 한 수업, 국경일 계기 교육, 영상 내 인물과 관련된 수업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2) 교실 수업에서뿐만 아니라 학교 및 지역사회(독립운동가 및 강제 이주 고려인 후손 등)와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다.
※ 참고 문헌
가. 김삼웅, 홍범도 평전, 도서출판 레드우드(2020).
나. 반병률, 홍범도 장군; 자서전 홍범도 일지와 항일무장투쟁, 한울엠플러스(2019).
다. 반병률(2013), "홍범도 장군의 항일무장투쟁과 고려인 사회", 한국 근현대사 연구 0.67, 625-661.
라. 교육부(2021), 사회 5-2 교사용 지도서 및 교과서.
마. 홍범도장군 기념사업회, http://www.hongbumdo.org 바. 한국독립운동정보시스템, https://search.i815.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