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도 제29회 교육방송연구대회 작품설명서
주제 : 생각 모아, 마음 모아, 말모이 대작전
소속기관 석산초등학교 직위 교사 성명 엄정인, 박은정
1. 제작 동기
‘이번 주 치팅 데이에는 키오스크에서 언택트 결제를 하고 워킹 스루로 테이크아웃 하자.’ 2021년 을 살아가는 우리는 무분별한 외래어 사용으로 인해 말의 뜻을 이해하기 어려운 상황과 종종 마주한 다. 끊임없이 새롭게 밀려들어 오는 외래어와 외국어로 인해 우리 고유의 말이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장차 우리말의 미래를 이끌어갈 학생들이 어떻게 하면 우리말을 소중히 하고 지켜나갈 수 있을지 고민을 하게 되었다.
우리말은 긴 세월 동안 수많은 사람의 끊임없는 노력 덕분에 살아남았다. 일제강점기에 일어난 조 선어학회 사건을 비롯한 ‘말모이 사전’과 관련한 역사적 사건을 알아보며 그 마음을 이어받아 우리말 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뜻이 맞는 학생들과 함께 ‘말모이 동아리’를 결성하 였다. 우리말을 지킬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방법을 모으고(생각 모아), 우리말을 지키고자 하는 마음 을 모으고(마음 모아), 우리말을 소중히 모으는 ‘말모이 대작전’을 스스로 실천해보는 동아리 활동을 하게 되었다. 우리말을 지키는 활동은 혼자 할 때보다 함께 할 때 효과가 크다. 더 많은 학생이 함께 우리말을 소중히 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 말모이 대작전 활동을 영상으로 제작하였다.
2. 제작 내용
본 영상은 말모이 운동과 관련된 역사적 사건을 소개하고 그것을 현대에 재현하는 과정을 담 아내었다. 시청 학생들에게 우리 고유의 말을 소중히 해야 하는 이유와 우리 고유의 말을 지키 기 위한 실천 방법으로 말모이 활동을 제시하고자 한다. 말모이 동아리 안에서 활동이 그치지 않고, 나아가 많은 사람들과 함께 하는 과정을 거쳐 교육 공동체의 의미를 되새김과 더불어 활 동의 효과를 높였다.
가. 작품 단계별 내용
단계 내용
도입
▸일제강점기, 우리말마저 잃어버린 민족의 아픔 제시
▸우리말을 지키기 위한 조선어학회의 노력, 말모이 운동 소개
▸외래어, 외국어에 의해 우리말의 위상이 위태로운 현재 세태 제시
나. 제작 일정
단계 내용 제작 일정(월)
1 2 3 4 5 6 7 8
계획 및 준비
▸ 주제 선정 ○
▸ 선행연구 및 교육적 효과 분석 ○ ○ ○
▸ 사전 작품 시험 제작 ○ ○ ○
▸ 영상 기획 및 제작 계획 작성 ○ 실행
▸ 학생 및 장소 섭외 ○ ○
▸ 말모이 동아리 운영 ○ ○
▸ 영상 촬영 및 편집 ○ ○ ○
정리 ▸ 작품 최종 검증 ○ ○
다. 역할 분담
소속 이름 역할 분담
석산초 엄정인
▸ 연구 주제 설정
▸ 교육과정 분석
▸ 작품 제작 계획 작성
▸ 작품 계획서와 설명서 검토
▸ 시험작품 제작 및 촬영 장소 섭외
▸ 영상, 사진 촬영
▸ 영상 편집 수정 및 보안
▸ 출연자 연기 지도
석산초 박은정
▸ 연구 주제 설정
▸ 참고문헌 조사
▸ 작품 제작 계획 검토
▸ 작품 계획서와 설명서 작성
▸ 연구 결과 분석 및 보완점 도출
▸ 영상, 사진 촬영
▸ 영상 편집 수정 및 보안
▸ 음성 녹음 및 수정
라. 클립형 영상학습자료의 활용방안
학년 영상학습자료 주요 활용방안 및 유의사항
1-2학년군 ▸우리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르고 고운 말 사용의 실천 방법임을 알고 생활화할 수 있도록 지도
3-4학년군 ▸우리말이 지금까지 지켜지는 과정을 알고 우리말의 소중함을 인식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외래어, 외국어를 우리말로 다듬어보도록 지도
5-6학년군
▸일제의 침략에 맞서 나라와 민족을 지키고자 한 노력을 역사적 사건으로 제시하여 우리 말의 소중함을 알아보고 주변의 외래어, 외국어를 다듬어 봄으로써 우리말 위기의 심각성 을 느끼고 바른 언어생활을 다짐할 수 있도록 지도
전개
▸우리말의 위기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말모이 대작전 제시
▸국어 어휘의 체계 살펴보기
▸주변의 외래어ㆍ외국어 찾기
▸학교 친구들의 생각을 모아 외래어ㆍ외국어 다듬기
▸다듬은 말을 바탕으로 사전 만들기
▸말모이 사전 전시 및 다듬은 말 알리기 정리 ▸국립 국어원에 다듬은 말 제안하기
▸우리말 지키기 활동 참여 독려하기
마. 관련 교육과정 분석
3. 기대 효과
가. 우리말에 관한 역사를 알고 외래어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사회 문제를 인식하여 일상 언어생활에서 언어 순화 의식을 갖고 우리말을 바르게 사용하고자 하는 태도를 내면화한다.
나. 말모이 사전 홍보 활동을 통해 의사소통 역량을 기르며, 다듬은 말의 정착을 위해서는 자신을 포함한 많은 언중의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다. 주변의 외래어 및 외국어를 다듬은 말로 바꾸는 활동을 통해 말 다듬기 방법을 몸소 경험 하며, 이 과정에서 협력, 문제 해결 역량,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신장할 수 있다.
라. 국어와 사회 교과를 통합한 융합 교육을 실현할 수 있다.
4. 자료 출처 및 참고문헌
가. 참고문헌
- 정재환(2013), 해방 후 조선어학회ㆍ한글학회 활동 연구(1945~1957년),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변지현(2015), 우리말 순화어의 수용 실태와 교육 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한샘(2019), 국어사전(말모이)의 탄생과 발전, 나라사랑 제128집, 외솔회 - 김흥식(2014), 한글 전쟁, 서해문집
- 정재환(2020), 나라말이 사라진 날, 생각정원
- 말모이 편찬위원회(2021), 말모이, 다시 쓰는 우리말 사전, 시공사
학년 과목 성취기준 교육과정 연계 지도 내용
1-2
학년군 국어 [2국01-06] 바르고 고운 말을 사용하여 말하는 태도를 지닌다.
▸우리말 사용을 습관화하여 바르고 고운 말로 말하는 태도 내면화하기
3-4
학년군 국어 [4국04-05] 한글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를 지닌다.
▸우리말이 겪은 아픔을 보고 소중히 하는 마음을 내면화하기
5-6 학년군
국어 [6국04-06] 일상생활에서 국어를 바르게 사용하는 태도를 지닌다.
▸주변의 외래어, 외국어를 우리말로 다듬어 바른 국어 생활 실천하기
사회
[6사04-03] 일제의 침략에 맞서 나라를 지 키고자 노력한 인물(명성황후, 안중근, 신 돌석 등)의 활동에 대해 조사한다.
▸사회 곳곳에서 일제의 침략에 맞서 나라 를 지키고자 한 노력을 찾아보기
나. 자료 출처
다. 한글학회 사진 자료 사용 허가서
종류 출처 저작권 유형
사진
한글학회 첨부된 허가서 참조
국립중앙박물관 공공누리 제1유형
경상남도교육청 기록관 공공누리 제1유형
서울사진아카이브 공공누리 제1유형
프리픽(https://www.freepik.com) CC BY 4.0 픽사베이(https://pixabay.com) CC BY 4.0 프리티콘(https://www.youtube.com/c/Freeticon) CC BY 4.0 영상 픽사베이(https://pixabay.com) CC BY 4.0
음원
공유마당
(https://gongu.c opyright.or.kr/)
김지민 모험 CC BY 4.0
박진우, 구재영 A happy morning CC BY 4.0 계한영, 구재영 A Happy Day CC BY 4.0
윤제휘 Blue 자유이용 기증저작물
김현정 Morning Kiss 자유이용 기증저작물
김성원 Be Free 자유이용 기증저작물
김성원 Find My Way 자유이용 기증저작물
김성원 Click Clock 자유이용 기증저작물
김성원 Make it Happen 자유이용 기증저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