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도 제30회 교육방송연구대회 작품설명서
주제: 숨비소리, 해녀의 숨결을 따라서
소속기관 벽방초등학교 직위 교사 성명 고만금
이동영
1 제작동기 및 목적
63023. 한국 표준 직업분류에 나와 있는 해녀의 코드번호다. 그러나 해녀를 전문성과 체계를 갖춘 직업으로 인식하는 학생은 드물 것이다. 통영이라는 해양도시에 나고 자라는 학생이라 할지라도 해녀를 ‘바다에서 소라를 채집하는 사람’ 정도로만 알고 있었다. 지역적 특색과 자연환경이 가지는 이점에도 불구하고 해녀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현실을 마주하며 어느 지역에서든 활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해녀 교육 콘텐츠가 필요하다고 느끼게 되었다.
해녀는 제주도를 비롯하여 우리나라 곳곳에서 활동하며 생계를 꾸려나가고 있다. 하지만 해녀의 고령화와 신규 해녀 양성 부족으로 겨우 맥을 이어나가고만 있을 뿐이다. 이는 단순히 하나의 직업이 소멸하는 것과는 다르다.
해녀는 직업으로서나 그들이 형성해 온
고유의 문화로서나 우리의 역사적
⦁전통적 가치를 담고 있는 유산이기 때문이다. 자연과 공존하는 인간상, 노동의 신성함을 원초적으로 보여주는 해녀, 그들의 생활 모습과 문화를 다룬 이 콘텐츠가 많은 교육 현장에서 다루어지길 소망한다.
2 제작과정
❶ 계획 ❷ 준비 ❸ 촬영 및
제작 ❹ 적용 및
검증
∙ 교육영상 기획
∙ 교육과정 분석
∙ 시나리오 작성
∙ 전문가 첨삭
∙ 출연자 섭외
∙ 역사자료 수집
∙해녀교육 프로그램 운영(1차)
∙ 영상 및 사진촬영
∙ 음원 녹음 및 저작 권 확보
∙ 영상 및 그래픽 편집
∙ 해녀교육프로그램 운영(2차)
∙ 전문가 및 교사 학생 피드백 수집
∙ 추가 촬영
∙ 수정 및 보완작업
∙ 검증 의견 작품 에 반영
∙ 작품설명서 작성
❺ 완성
3 제작내용 및 방법
가. 교육과정 관련 내용 분석
나. 역할분담
학년군 교과 성취기준 제작내용과 연계성
3-4학년군 사회 [4사02-01] 우리 고장의 지리적 특성을 조사하고, 이것이 고장 사람들의 생활 모습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통영과 거제지역에 발견 되는 해녀문화
3-4학년군 사회 [4사03-03] 우리 지역을 대표하는 유・무형의 문화유산을 알아보고, 지역의 문화유산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를 갖는다.
유네스코와 문화재청에 등록된 해녀
3-4학년군 도덕 [4도04-01] 생명의 소중함을 이해하고 인간 생명과 환경 문제에 관심을 가지며 인간 생명과 자연을 보호 하려는 태도를 가진다.
바다사막화를 예방하기 위해 노력하는 해녀 5-6학년군 도덕 [6도02-03] 봉사의 의미와 중요성을 알고, 주변 사람
의 처지를 공감하여 도와주려는 실천 의지를 기른다.
해녀의 문화(불턱, 게석문화) 속에 나타난 배려와 존중 3-4학년군 과학 [4과04-03] 강과 바닷가 주변 지형의 특징을 흐르는
물과 바닷물의 작용과 관련지을 수 있다.
바닷가 주변에 형성된 불턱문화
3-4학년군 과학 [4과16-02] 육지와 비교하여 바다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바다의 특징을 이해하고 활동하는 해녀
3-4학년군 체육 [4체04-06] 음악(동요, 민요 등)에 맞추어 신체 또는 여러 가지 도구(공, 줄, 후프 등)를 활용한 다양한 동작을 표현 상황에 적용한다.
해녀에 노래에 맞춘 동작 표현하기
3-4학년군 음악 [4음03-03] 생활 속에서 활용되고 있는 국악을 찾아 발표한다.
해녀들의 문화를 담은 노래와 국악 찾아보기 5-6학년군 음악 [6음03-03] 우리 지역에 전승되어 오는 음악 문화유산을
찾아 발표한다. 해녀 노 젓는 노래
5-6학년군 음악 [6음02-02] 다양한 문화권의 음악을 듣고 음악의
특징에 대해 발표한다. 제주해녀 민요 감상
공동역할 개인역할
교사 고만금
⊙ 주제 선정 및 작품기획
⊙ 시나리오 구상
⊙ 대본 작성
◈ 촬영 및 영상편집
◈ 스토리보드 작성
◈ 자막 및 특수효과 작업 교사 이동영
◈ 전문가 섭외 및 자료 수집
◈ 녹음 및 편집
◈ 교육과정 분석 및 적용
다. 자료의 구성
순서 영상 장면 내용 설명 및 의도
도입
숨비소리 연습하는 장면
▶해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흥미 유발
전개
해녀의 의미
▶해녀는 어떤 사람이고, 물질이 무엇인지 설명
▶물질하는 해녀의 모습을 통해 해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유도
해녀들의 장비 및 도구
▶해녀들의 장비와 도구들을 착용
▶도구들의 쓰임새와 이름을 알기 쉽게 설명
해녀의 문화
▶역할극을 통한 해녀들의 문화 설명
▶해녀 문화를 쉽고 재미있게 알아보며 그 문화가 가진 가치 이해
다. 자료의 구성
순서 영상 장면 내용 설명 및 의도
전개
해녀의 역사
▶삼국사기 기록을 재구성
▶해녀가 우리 역사임을 이해
해녀의 가치
▶세계적으로도 인정받은 해녀를 보며 우리 유산에 대한 자긍심 고취
다양한 역할을 하는 해녀들
▶다양한 교육을 통해 해녀 문화를 전승하려는 해녀들의 노력
▶바다 사막화를 예방하며 자연과 공존하기 위한 해녀들의 노력
정리
마무리
▶자연과 공존하는 해녀들
▶그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관심을 가질 것을 독려
라. 자료
영역 자료
저작권 확보영상 직접촬영 및 일부 제주특별자치도 해녀박물관 제공
음원
오감엔터테인먼트 사용 허가 승인 (Jane Park 이어사나_OST of Tamra The Island)
envato elements 유료라이선스 획득
(1)Nature by WaveMusicStudio (2)Sea breeze
by Russell_Frederick in Music (3)This is Education by Andy_Grey
마. 촬영 및 편집도구
4 기대효과
1) 해녀란 어떤 일을 하고 어떤 가치가 있는지 알게 될 것이다.
2) 해녀들의 삶 속에서 그들의 고유한 문화를 알게 될 것이다.
3) 해녀의 전통화 문화를 보존, 계승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될 것이다.
4) 오늘날 해녀의 역할을 살펴보며 변화하는 해녀의 모습을 알게 될 것이다.
영역 제작도구
영상촬영 SONY a6400, SONY FDR-AX700, Galaxy Note 20 Ultra 음성녹음 RODE NT-USB, SONY URX-P03D UTX-B40
영상편집 VEGAS 17
인포그래픽 편집 MANGO BOARD, VApMix(플랫폼 내의 이미지, 폰트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