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Ⅲ. 연구 방법

3.3. 탐구 수행 과정

3.3.3. 모델의 도출

모델 1.0

이상화 조건

① RC 카는 탄성이 없는 구로 가정한다.

② 충격력은 충돌면과 수직 방향으로만 작용한다.

의 변화에 대하여 충격력의 크기는 일정하다.

④ 바퀴가 방지턱에 충돌하는 순간에 최대의 가속도가 나타난다.

⑤ RC 카가 방지턱에 충돌할 때의 접촉시간(∆)는 모든 경우에 일정하다.

모델이 예측하는 현상

방지턱의 높이가 높아지면 RC 카의 수직 최대 가속도의 크기는 감소할 것이다.

설명할 수 있는

실험 결과 없음

[표 3-7] 모델 1.0의 사양과 설명력

2) 모델 2.0 및 모델 2.0의 수정

모델 2.0은 학생 1인 만든 모델 1.0을 수정한 결과이다. 교사 는 모델 1.0을 수정하기 위해서 충격력을 충돌 조건에 따라 변하는 함수 로 표현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표 3-8에 제시된 바와 같이 뉴 턴의 충돌이론을 이용하여 충격력을 충돌 속도(

)와 충돌 각도()에 의 존하도록 정교화하였다. 모델 2.0은 충격력의 형태가 다른 변인을 포함하 면서 정교화된 것이므로, 표 3-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형태상으로는 모델 1.0과 차이가 없다.

모델 2.0

이상화 조건

① RC 카는 탄성이 없는 구로 가정한다.

② 충격력은 충돌면과 수직 방향으로만 작용한다.

③ 충돌속도가 같을 때 충격력의 크기는 오로지 의존한다.

④ 바퀴가 방지턱에 충돌하는 순간에 최대의 가속도가 나타난다.

⑤ RC 카가 방지턱에 충돌할 때의 접촉시간(∆)는 모든 경우에 일정하다.

모델이 예측하는 현상

∆  ∆  

    sin 이다.

수직 성분을 취하면,  sin  



이므로,

max  ∆

 sin 의 결과를 얻는다.

따라서, 충돌속도가 빨라지거나, 방지턱이 높아지면 가속도 의 크기가 증가한다. 또한, 방지턱의 높이가 높아지면 충돌 속도에 따른 가속도 증가율이 증가한다. 그러나 충돌 각도 가 45° 이상이 되면 증가율은 다시 감소한다.

설명할 수 있는 실험 결과

① Ⅰ-1) 충돌속도가 빨라질수록 amax는 증가한다.

② Ⅰ-2) 방지턱이 높아질수록 amax는 증가한다.

[표 3-8] 모델 2.0의 사양과 설명력

모델 2.0은 실험 결과Ⅰ-1) (충돌속도가 빨라질수록 amax는 증가한다.)과

Ⅰ-2)( 방지턱이 높아질수록 amax는 증가한다.)를 설명할 수 있으나, Ⅰ -3), Ⅰ-4), Ⅰ-5)를 설명할 수 없다. 모델 2.0은 충돌각()이 45° 이상일 때 충돌 속도에 대한 amax의 증가율이 감소함을 예측한다. 표 3-9는 너 비 10cm인 방지턱의 높이에 따른 충돌 각도를 계산한 결과이다. 모델 2.0을 적용한다면 충돌각()이 45° 이상인 높이 2.5 cm인 방지턱부터 충 돌 속도에 따른 amax의 증가율은 감소해야 한다. 그러나 실험 결과 Ⅰ -3)(방지턱이 높아질수록 충돌속도에 대한 amax의 증가율이 커진다.)은 이 에 부합하지 않는다. 또한, 실험 결과 Ⅰ-4), Ⅰ-5)는 충돌 속도가 빠른 영역과 느린 영역에서 서로 다른 경향성이 나타남을 보여주므로 모델 2.0으로는 이에 대한 설명이 불가능하다.

모델 2.0의 평가와 수정 활동 직전에 학생들은 수업 2를 통해 메타 모 델링 지식을 전달받았으므로 관련 논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었다.

모델 2.0의 수정과 관련하여 학생들은 가장 정당화되기 어려운 가정으로

⑤번 가정인 ‘접촉시간(

∆

)가 일정하다’를 지목하였으며, 그 이유로는 RC 카의 용수철이 충돌 조건에 따라 수축하는 정도가 상당히 크게 차이 가 난다는 점을 들었다. 또한, 학생들은 가정 ④ ‘바퀴가 방지턱에 충돌 하는 순간에 최대의 가속도가 나타난다.’ 역시 같은 맥락에서 정당화하기 어렵다고 지적하였다. 이러한 지적은 이상화 조건 ④와 ⑤가 RC 카에서 용수철의 역할을 무시하고 지나치게 단순화되었다는 학생들의 인식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표 3-9] 너비 10cm인 방지턱의 높이에 따른 충돌각도()

실제로 RC 카는 방지턱에 충돌한 후 관성에 의해 어느 정도 수평 방향 의 진행을 계속 유지하게 되고 그동안 바퀴와 차체 사이의 용수철은 지 속적으로 수축한다. 수축이 멈추고 다시 용수철이 팽창을 시작하는 지점 에서 RC 카가 튀어 오른다. RC 카에 가해지는 충격력은 사실상 용수철

이 차체에 가하는 탄성력이므로 최대의 가속도는 용수철이 최대로 수축 하는 지점에서 나타나야 마땅하다. 이때 용수철이 최대로 수축하는 시점 은 충돌속도나 방지턱에 따라 달라지므로 접촉시간 역시 큰 차이가 나 며, 이는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이상화 조 건 ④와 ⑤의 해제를 중심으로 모델 2.0은 3.0으로 수정되었다.

3) 모델 3.0

이 실험에서 사용한 RC 카는 용수철과 타이어를 포함한 장 치이다. 그러나 모델 2.0은 이를 강체로 가정한 단순한 모델이므로 기본 적인 실험 결과만을 설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모델 3.0은 용수철이 충돌 과정에 중요한 요인임을 고려하여 RC 카를 탄성체로 간주하였다. 모델 3.0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표 3-10에 제시하였다.

모델 3.0은 다섯 가지의 이상화 조건을 포함한다. 첫 번째는 방지턱의 프로파일을 직선 형태로 가정한 것이다. 이는 시간과 용수철이 수축하는 길이 사이 관계를 선형으로 간주하여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 다. 조건 ②는 RC 카의 수평 방향 속도를 일정한 것으로 단순화하여 RC 카의 수직 방향 운동 분석의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조건 ③에서 차 체의 이동 궤적은 지면에 수평인 직선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바퀴가 지 면에서 올라간 수직 높이는 용수철의 수축 길이가 되므로 설명이 좀 더 간단해진다. 용수철이 최대로 수축할 때까지 차체의 경로가 거의 변화하 지 않는다는 점은 실험 데이터를 통해 확인되기도 하였다. 조건 ④는 용 수철의 변형이 수직 방향으로만 일어난다고 가정함으로써 모델에서 용수 철의 수축 길이를 쉽게 다루기 위함이다. 조건 ⑤는 용수철의 수축과정 에서 에너지가 손실되지 않는다는 가정하여 에너지 보존 법칙을 적용하 기 위한 것이다.

모델 3.0에서 용수철의 최대 수축 길이(

)를 결정하는 문제는 현상을 수학적으로 예측하기 위해 핵심적이다. 그림 3-3은 이 문제에 대하여 학 생이 고려한 모델을 나타낸 것이다. 이 모델은 총알이 비스듬한 벽에 충 돌한 후 튀어 나가는 상황과 RC 카의 바퀴가 방지턱에 충돌하는 상황을 연결하여 만들어낸 모델이다. 이 모델에서는 RC 카 바퀴의 병진 운동만 을 고려하므로 RC 카의 바퀴를 점으로 가정하였다.

모델 3.0

H: 용수철이 최대로 수축할 때까지 바퀴가 수직으로 올라간 높이 L: 용수철이 최대로 수축할 때까지 차체가 진행한 수평 거리

: 충돌 속도

이상화 조건

① 방지턱의 형태는 포물선 대신 높이가 방지턱의 높이인 빗면으로 간주한다. 이때는 지면과 빗면이 이루는 각도이다.

② RC 카가 빗면을 올라가는 동안 수평 성분 속도()는 일정하다.

③ 서스펜션이 최대로 수축할 때까지 차체(사각형으로 표현)의 운동 경로는 수평을 유지한다.

④ RC 카의 용수철은 항상 지면과 수직인 방향을 유지하며, 수직 방향으로만 수축한다.

⑤ 용수철 수축과정에서 에너지는 손실되지 않는다.

예측하는 현상

 이며, RC카가 방지턱에 충돌하여 수직 방향으로 생긴 운동 에너지가 모두 탄성 에너지로 전환되는 지점에서의 높이가이므로 이를 이용하면,  

 sin 이다. 따라서,

max 

  

 

 sin 이다.

설명할 수 있는 실험 결과

① Ⅰ-1) 충돌 속도가 빨라질수록 amax는 증가한다.

② Ⅰ-2) 방지턱이 높아질수록 amax는 증가한다.

③ Ⅰ-3) 방지턱이 높아질수록 충돌 속도에 대한 amax의 증가율이 커진다.

④Ⅰ-4) 방지턱의 너비가 증가하면 amax는 감소한다. 단, 충돌 속도가 큰 영역에서는 너비가 넓은 방지턱에서 수직 최대 가속도가 너비가 좁은 방지턱에서보다 커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방지턱 면

[그림 3-4] RC 카와 방지턱의 탄성 충돌 모델

그림 3-4에서 충돌면을 방지턱 면을 연장한 점선까지 포함하는 선으로 간주하면 는 바퀴의 입사각이 된다. 충돌 후 바퀴는 충돌면 기준으로 같은 각도인 로 튀어 나갈 것이다. 이때 지면을 기준으로 바퀴가 튀어 나가는 각도는 이다. 이는 순간적인 과정이므로 수평 방향 속도

 충돌 전후 일정한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충돌 후 RC 카 바퀴의 수직 방향의 속도 성분은 그림 3-3에서

에 해당하며 이는 다음과 같이 나 타낼 수 있다.

  cos

   sin

수직 방향의 속도

에 의한 운동 에너지는 이후 용수철에 저장되어 탄 성 에너지의 형태로 바뀐다. 충돌 후 바퀴의 수직 방향 속도로 인한 운동 에너지가 모두 탄성 에너지로 전환되면 바퀴는 더이상 상승하지 않는다.

우리는 이때를 용수철이 최대로 수축하는 시점으로 간주하였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용수철의 최대 수축 길이()를 도출할 수 있다. 이때 은 바퀴의 질량이다.

   sin 이므로, 

  

sin  



이다.

sin 이다.

모델 3.0을 바탕으로 도출된 위 수학 관계식을 통해 실험 결과 Ⅰ-1),

Ⅰ-2), Ⅰ-3), Ⅰ-4)를 설명할 수 있다. 단, 실험 결과 Ⅰ-4)에서 충돌 속 도 약 7~8 km/h을 기준으로 그보다 빠른 충돌 속도 영역은 모델 3.0의 예측에서 벗어난다. 이에 대하여 학생들이 제안한 정성적인 설명은 용수 철이 수축할 수 있는 길이에 한계가 있다는 점에 근거한다. 측정 결과, 우리가 사용한 RC 카 내부에 장착된 용수철은 최대 수축 길이가 약 2.4 cm였다. 따라서 용수철이 저장할 수 있는 탄성 에너지에는 한계가 있고 RC 카의 충돌 속도가 충분히 빠른 경우 바퀴의 운동 에너지가 이를 넘 어설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RC 카의 수직 방향 가속도는 탄성력에 의한 것을 넘어서므로 모델 3.0이 예측한 것을 벗어나게 된다. 너비가 좁 이러한 현상이 관찰될 수 있다. 그러나 경사가 급해 충돌 속도가 빠른 경우 RC 카와 방지턱이 빠르게 분리되므로 넓은 방지턱에 비해 실제로 용수철의 수축 한계에 도달할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하였다. 실험 결과

Ⅰ-5)이 모델 3.0의 예측을 벗어나는 이유는 지나치게 낮은 높이 때문이 라 추측된다. 방지턱이 너무 낮으면 충돌 속도에 따른 용수철의 수축 길 이에 큰 차이가 없어져 특정 경향성이 보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모델 3.0은 실험 결과의 설명을 위한 추론에 유용하다. 그러 나 모델 3.0은 RC 카가 방지턱으로부터 튀어 올라 분리된 이후의 과정 을 대상으로 하지는 않으므로 실험 결과Ⅱ(표 3-5)의 설명은 불가능하 다. 실험 결과Ⅱ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모델 3.0의 설명 범위가 RC 카와 방지턱이 분리된 이후의 과정을 포함하도록 확장해야 한다.

모델 3.0에서 수직 방향 속도(

)에 의한 운동 에너지는 용수철에 탄성 에너지의 형태로 저장된다. 이때 에너지 손실은 없다고 가정하면 RC카 의 차체는 방지턱에서 분리된 후 다시

의 속도로 수직 방향으로 발사 된다. 따라서 방지턱과 분리된 이후 RC카의 운동 경로는

의 속도를 가지고 연직 상방으로 발사된 결과 나타난 운동과 수평 방향 속도(

) 로 등속 직선 운동하는 두 운동이 합성된 결과로 나타날 것이다. 이에 방지턱과 분리된 이후 RC 카의 궤적은 포물선으로 모델링할 수 있으며 이를 반영하여 모델 3.0은 모델 4.0으로 확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