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모델의 수학적 구조 사용하기

Ⅳ. 연구 결과

4.1. 학생들의 모델 기반 탐구의 양상

4.1.3. 모델을 통해 현상 예측하기

4.1.3.2. 모델의 수학적 구조 사용하기

모델에 이론적 지식을 적용한 결과로 도출되는 수학 관계 식은 분명 직관적으로 도달할 수 없는 현상을 예측하는데 결정적인 도구 이다. 또한, 과학자들은 현상의 수학적 구조 사이 동형성을 매개로 창의 적 이론을 고안하기도 한다.

학생들의 모델 기반 탐구에서도 수학 관계식을 이용하여 현상을 예측한 사례는 전체 예측 관련 사례의 약 22% 정도를 차지할 만큼 모델을 사용 하는 주된 방법이었다. 그러나 학생들의 탐구에서 수학에 의존한 사고는 과학자들의 그것과 다른 성격으로 나타났으며 모델 기반 탐구의 취지를 고려할 때 다소 회의적인 측면이 있다. 다음 두 사례를 살펴보자.

#32

학1: 어 이거이거이거 ∆



교사: 그런데 우리 중간 발표 때 저 θ다 구해놨잖아. 그래서 10 cm일 때는 22,31,39,48,50, 막 이렇게 나왔었지.

학1: 네

교사: 그러면 이제 저 θ값을 생각했을 때... 우리가 생각한 모델 2.0과 PJ 1.0의 퓨전모델이 예측한 결과가 실제 실험 데이터와 잘 맞나요?

학2: 어 근데 왜 2θ야. 2θ면은 작아지잖아. 90°까지만 커지는데 2θ면은 50°

까지..

학1: 50°까지 있으니까

학2: 설명되네, 커지면 2θ니까 90°까지는 증가하잖아요? 그거 넘어가면 감소 하기 시작하는데? 45° 이상이 되면 아니지, 45°가 최댓값인 거죠. 세 타 값이..

학1: 45°일 때 ay가 제일 크다.

학2: 어, 그거 넘어가면 2θ니까 감소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최댓값이 아니다!

학1: 2.5 cm부터 감소 시작!!

교사: 그러면 안 맞네.

위 사례는 충돌이론을 이용하여 모델 2.0에서 변인들 사이 관계를 수학 관계식으로 도출한 직후 학생들 사이에서 이루어진 논의이다. 그림 4-14 는 모델 2.0과 이로부터 수학 관계식을 도출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a) (b)

[그림 4-14] 모델 2.0(a)과 모델 2.0에서 수학 관계식을 도출하는 과정(b)

그림 4-14(b)의 관계식에는 충돌 각도()와 RC 카의 가속도(amax) 사이 의 수학적인 관계가 드러나 있다. 따라서 이 관계식을 읽는 것만으로 특 정 변인들 사이 관계를 예측할 수 있다. 이때 너비 10cm인 5개의 방지 턱에 대한 충돌 각도()의 값이 낮은 것부터 각각 22°, 31°, 39°, 48°, 50°

임을 고려하면 가속도 변화 패턴을 예측할 수 있다. 이에 학생 2는 방지 턱 높이에 따라 가속도가 증가하다가 충돌 각도()가 48°인 높이 2.5 cm 인 방지턱부터 가속도가 다시 감소할 것이라 예상했다.

#72

교사: 뭐라고?

학1: vx증가하면 △vx 증가. 높이 증가하면 △vx 증가. 그죠?

학3: 응 세타 증가하면 △vx 증가.

학2: 근데 이거..

교사: 그러니까 경향성이 어느 정도는 보인다라는 거죠. 이 그래프를 가지고 결론에다 반영을 한다면 뭘까요..

학2: 그래프가 어떻게 되는거냐.

학3: 세타가 커질수록 vx..

학1: 그냥 무조건 증가. 뭐 증가하면 뭐 증가 학3: 다 증가

사례 72에서는 모델 5.0에서 도출된 수학 관계식을 통해 예측할 수 있 는 현상을 학생들이 나열하고 있다. 모델 5.0은 RC 카가 방지턱에 충돌 할 때 수평 방향 속력의 감소량을 가늠하기 위해 모델 3.0의 수평 성분 만을 고려하여 변형한 모델이다. 모델 5.0에 뉴턴의 법칙을 적용하면 다 음과 같은 수학 관계식을 얻는다.

∆  sin

위 식에는 변인 ∆, ,  사이의 구문론적 관계가 명시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관계를 통해 손쉽게 변인의 조작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예측할 수 있다. 이에 학생들은 가 증가할수록. 가 증가할수록 수평 방향 속 도 감소량이 증가할 것이라는 관계를 어렵지 않게 말하고 있다.

이상 살펴본 사례에 나타난 논의들은 모델에서 변인을 조작하고 모델의 행동을 상상하여 결과를 예측하는 것과 같은 사고 기술들을 요구하지 않 는다. 학생들은 수학 관계식을 보고 그 안에 나타난 변인들 사이 관계를 단지 ‘읽는 것’만으로 어떤 현상이 나타날지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수학 관계식에 포함된 변인들에 집중할 뿐 또 다른 가능성을 열어두지 않는 다. 이는 학생들이 수학 관계식이 모델에서 연유한다는 점을 인식하지 못하고 기계적 사용에 그치므로 수학적 표현이 오히려 학생들의 사고를 저해할 수 있다는 Bing & Redish(2009)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이기도 하다.

탐구 과정 전반에서 학생들은 수학 관계식을 변인들 사이 구문론적 관 계를 보여줌으로써 예측을 간편하게 만드는 도구로 인식하는 듯 보였다.

학생들은 고차원적 논의가 필요한 질적 상황에서 수학 관계식이 제공하 는 지름길을 이용하려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다음은 이를 보여주는 대화이다.

교사: 자, 설명할 수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겠지? 이것만 찾고 갑시다.

그니까 모델 3.0의 능력을 평가해 주세요.

학1: 어.. 설명할 수 있는 거..

학2: 아 뭔가 딱 식으로 딱 나왔으면 좋겠다.

학3: 그러니까, 식으로 안 나오니까..

학생들이 종종 이론의 총체를 공식으로 착각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 들은 모델의 사용 방식으로 수학 관계식을 선호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 한 가능성은 학생들의 고차원적 논의의 기회를 차단하여 과학자의 사고 기술을 경험한다는 모델 기반 탐구의 기대효과를 저해할 수 있으므로 경 계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이 모델을 사용하고자 할 때 모델에 성급히 법칙 을 적용하여 수학으로 표현하기보다는 모델 사용에 관한 고민이 충분히 정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