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문법성 판단 테스트에서 나타난 오류 양상

III. 라오스인 학습자의 격조사 오류 양상

2. 라오스인 학습자의 격조사 오류 양상

2.1. 과제별 오류 양상

2.1.1. 문법성 판단 테스트에서 나타난 오류 양상

코더(Corder,1967)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오류는 대상 언어를 학습하는 데 있어서 무엇을 어떻게 학습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허용·김선정, 2013:11). 학습자의 오류가 중 요하기 때문에 학습자가 어떤 오류를 나타내는지와 오류 빈도가 얼마나 높은지를 파악하 는 것이 중요한 작업이다. 학습자의 오류 분석과 오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습자들 이 생산한 자료를 오류의 판정과 오류 분류 기준에 따라 정리하고 제시하도록 한다. 앞 서 언급한 바처럼 본 연구는 세 가지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절에서는 문항이 일치된 문법성 판단 테스트에서 나타난 격조사의 오류 양상을 먼저 살피기로 한다.

문법성 판단 테스트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를 위한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에서 많이 사용되는 테스트 중의 하나이며 학습자가 문법 규칙에 관한 지식이 있는지를 파악하고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실험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 구에서는 예비 실험에서 높은 오류율을 보인 주격 조사 ‘이/가’, 목적격 조사 ‘을/를’,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를 중심으로 문법성 판단 테스트의 문항을 구성하여 수행하였 다. 오류 유형별로 나타난 격조사의 오류 빈도 중에서 높은 빈도를 보이는 대치 오류를 중심으로 주격 조사 ‘이/가’의 5문항, 목적격 조사 ‘을/를’의 5문항,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는 각각 5문항으로 설정하여 객관식 2개의 격조사를 선택한 형식으로 문법성 판단 테스트의 문항을 설정하였다. 문법성 판단 테스트의 문항은 올바른 격조사와 잘못된 격 조사 2개 중 올바른 격조사를 잘 선택하여 사용할 줄 알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 기 때문에 대치 오류밖에 나타나지 않았고, 누락 오류와 첨가 오류는 나타나지 않았다.

문법성 판단 테스트의 문항을 설정하여 수행한 목적은 학습자의 격조사와 함께 사용 할 수 있는 서술어에 속한 동사와 형용사의 특성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려는 목적과 오류 원인을 분석하고 판단하기 위해서이다. 문법성 판단 테스트에서 나타난 오류 빈도와 양 상은 아래에서 더 자세히 다루겠다.

1) 격조사별 오류 양상

문법성 판단 테스트에서 나타난 라오스인 학습자의 주격 조사 '이/가', 목적격 조사' 을/를',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의 전체적인 오류 양상은 아래의 <표 18>과 <그림 2>

과 같다.

격조사 오류 빈도(A) 사용횟수(B) 오류율(A/B)(%)

주격 조사 이/가 116 325 35.7

목적격 조사 을/를 161 325 49.5

부사격 조사 에 112 325 34.5

에서 128 325 39.4

<표 18> 문법성 판단 테스트에서 나타난 격조사별 전체 오류 빈도 및 오류율(%)

<그림 2> 문법성 판단 테스트에서 격조사 전체 오류율(%)

위의 <그림 2>에서 볼 수 있듯이, 문법성 판단성 테스트에서는 목적격 조사의 오류율 이 49.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21) 목적격 조사 외에, 주격 조사와 부사격 조사 모두에 서, 오류율이 30%가 웃도는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서도 라오스인 학 습자들이 한국어의 조사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따라서 라오스 인 학습자의 오류 양상을 제거하거나 방지하기 위해서는 더 적절한 교육 방법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2) 학년별 오류 양상

다음은 문법성 판단 테스트에서 나타난 학년별 오류 빈도 및 오류율을 살펴보고자 한 다. 학년별로 나타난 각 격조사의 오류 빈도 및 오류율을, 주격 조사‘이/가’, 목적격 조 사‘을/를’, 부사격 조사 ‘에/에서’의 순으로 살펴보면, 다음의 <표 19>과 같다.

격조사 학년 오류 빈도

(A)

사용횟수 (B)

오류율(%) (A/B) 주격

조사 이/가

2학년 37 115 32.2

3학년 38 110 34.5

4학년 41 100 41.0

목적격

조사 을/를

2학년 62 115 53.9

3학년 52 110 47.3

4학년 47 100 47.0

부사격 조사

2학년 41 115 35.7

3학년 33 110 30.0

4학년 38 100 38.0

에서

2학년 48 115 41.7

3학년 39 110 35.5

4학년 41 100 41.0

<표 19> 문법성 판단 테스트에서 나타난 학년별 오류 빈도 및 오류율

21) 이는 라오어와 한국어의 격 표시 실현 방식의 차이에 의한 간섭효과가 가장 큰 원인이라 생 각된다. 이에 대해서는 세부적인 오류 양상과 원인에서 밝히도록 하겠다.

<표 19>에서 학년 별 오류율만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아래의 <그림 3>과 같다.

<그림 3> 학년별 격조사 오류율(%)

문법성 판단 테스트의 문항이 학년 간에 동일한 문항을 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림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라오스인 학습자의 격조사 오류는 한국어의 숙달도가 올라감 에 따라 개선되는 양상을 보이지 않았다. 오히려 주격 조사 ‘이/가’의 경우는, 2학년이 가장 낮은 오류율을 보였고, 반대로 4학년이 가장 높은 오류율을 기록하였다. 목적격 조 사 ‘을/를’의 경우에도 3학년과 4학년의 오류율이 거의 비슷하게 나왔고,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의 경우에도 4학년의 오류율이 3학년의 오류율보다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라오스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격조사 사용은 고학년이 되어도 여전히 혼동 되고 어려움을 겪는 부분임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라오스인 학습자들이 주격 조사 ‘이 /가’, 목적격 조사 ‘을/를’,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바르게 사용 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교육적 처치가 반드시 필요함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3) 오류 유형별 오류 양상

다음은 문법성 판단 테스트에서 나타난 격조사의 오류 유형별 오류 양상을 살피고자 한다. 주격 조사 ‘이/가’의 오류, 목적격 조사 ‘을/를’의 오류,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

의 오류 순으로 살피기로 한다. 문법성 판단 테스트에서 나타난 오류 유형 별 격조사의 오류 빈도와 오류율은 다음의 <표 20>와 같이 볼 수 있다.

격조사 오류 유형 (LC → RI)

오류빈도 (A)

사용횟수 (B)

오류율(%) (A/B)22) 주격

조사 이/가

대치 이/가 → 을/를 116 325 35.7

누락 이/가 → Ø - - -

첨가 Ø → 이/가 - - -

목적격 조사 을/를

대치 을/를 → 에 161 325 49.5

누락 을/를 → Ø - - -

첨가 Ø → 을/를 - - -

부사격 조사

대치 에 → 을/를 87 325 26.8 에 → 에서 25 325 7.7

누락 에 → Ø - - -

첨가 Ø → 에 - - -

에서

대치 에서 → 에 128 325 39.4

누락 에서 → Ø - - -

첨가 Ø → 에서 - - -

<표 20>문법성 판단 테스트에서 나타난 오류 유형별 빈도 및 오류율(%)

위의 <표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격 조사의 오류 유형별 오류는 대치 오류만 나 타났다. 문법성 판단 테스트의 문항은 올바른 격조사와 잘못된 격조사 2개 중 올바른 격 조사를 선택하는 문항을 제시하였기 때문에 누락 오류와 첨가 오류 유형이 없다. ‘이/가

→ 을/를’ 오류만이 나타났고 35.7%를 차지하였다. ‘이/가 → Ø’ 오류와 ‘Ø → 이/가’

오류는 나타나지 않았다.

목적격 조사 ‘을/를’의 오류 유형별 오류는 ‘을/를 → 에’ 오류가 49.5%를 차지하였 다. ‘을/를 → Ø’ 오류와 ‘Ø → 을/를’ 오류는 나타나지 않았다.

부사격 조사 ‘에’의 세부 오류 유형별 오류는 ‘에 → 을/를’ 오류가 26.8%를 차지하였 고, ‘에 → 에서’ 오류는 7.7%를 기록하였다.

부사격 조사 ‘에서’의 세부 오류 유형별 오류는 ‘에서 → 에’ 오류가 39.4%로 나타났 다. ‘에서 → Ø ’ 오류와 ‘Ø →에서’ 오류는 나타나지 않았다.

22) 오류 유형별 나타난 오류율은, 대표적인 예시를 들면 총 사용횟수 325회 중에서 나타난 ‘을 /를→에’ 대치 오류의 빈도 161회를 오류율로 계산한다. ‘Sum(주격 조사의 오류 빈도

’161‘/ 주격 조사 총 사용 빈도 ’325‘)*100'=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