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번역 테스트에서 나타난 오류 양상

III. 라오스인 학습자의 격조사 오류 양상

2. 라오스인 학습자의 격조사 오류 양상

2.1. 과제별 오류 양상

2.1.2. 번역 테스트에서 나타난 오류 양상

<그림 4> 번역 테스트에서 나타난 격조사별 전체 오류율(%)

<그림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번역 테스트에서는 부사격 조사 ‘에’의 오류율이 53.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부사격 조사 ‘에게’의 오류율이 24.6%로 가장 높은 오류율을 차지하였다. 부사격 조사 ‘에서’의 오류율이 7.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을 통하여 부사격 조사 ‘에’나 ‘에게’의 오류율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라오스 인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부사격 조사 ‘에, 에서, 에게’를 사용하는 데에 모국어의 전치사 가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전치사 ‘ຢູ່[u]’, ‘ແກ່ [kɛ]’의 간섭으로 부사격 조사 ‘에, 에서, 에게’의 사용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근거를 보여준다.

2) 학년별 오류 양상

번역 테스트에서 나타난 학년별 오류 빈도 및 오류율을 살피고자 한다. 주격 조사 ‘이 /가’, 목적격 조사 ‘을/를’,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의 순으로 살피기로 한다. 학년별 로 나타난 각 격조사의 오류 빈도 및 오류율은 다음의 <표 22>과 같다.

격조사 학년 오류 빈도

(A) 사용횟수

(B) 오류율(%)

(A/B) 주격

조사 이/가

2학년 7 92 7.6

3학년 2 88 2.3

4학년 15 80 18.8

목적격

조사 을/를

2학년 13 69 18.8

3학년 13 66 19.7

4학년 11 60 18.3

부사격 조사

2학년 75 138 54.3

3학년 75 132 56.8

4학년 57 120 47.5

에서

2학년 - 23 -

3학년 3 22 13.6

4학년 2 20 10.0

에게

2학년 6 23 26.1

3학년 3 22 13.6

4학년 7 20 35.0

<표 22> 번역 테스트에서 나타난 학년별 오류 빈도 및 오류율(%)

<그림 5> 번역 테스트에서 나타난 학년별 각 격조사의 오류율(%)

위의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보면 2학년이 가장 높은 오류 빈도를 기 록하였다.

번역 테스트의 문항도 학년 간에 동일한 문항을 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림 5>에

서 볼 수 있듯이, 라오스인 학습자의 격조사 오류는 한국어의 숙달도가 올라감에 따라 개선되는 양상을 보이지 않았다. 부사격 조사 ‘에’의 오류율 외에는 4학년의 오류율이 다른 학년의 오류율보다 더 높은 오류율을 기록하였다. 즉, 주격 조사 ‘이/가’의 경우는, 4학년이 가장 높은 오류율을 보였고, 반대로 3학년과 2학년이 가장 낮은 오류율을 보였 다. 목적격 조사 ‘을/를’의 경우에도 오류율이 거의 비슷하게 나왔으나 4학년이 2,3학년 보다 더 높은 오류율을 기록하였다. 그리고 부사격 조사 ‘에게’의 경우에도 2,3학년의 오 류율이 4학년의 오류율보다 오히려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격조사의 오류 양상을 통하여, 라오스인 학습자들이 고학년에 올라감에도 불 구하고 조사의 이해와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라오스인 학습 자들이 주격 조사 ‘이/가’, 목적격 조사 ‘을/를’,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바르게 쓸 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

3) 오류 유형별 오류 양상

번역 테스트에서 나타난 각 격조사의 세부 오류 유형별 오류를 살피고자 한다. 주격 조사 ‘이/가’의 오류, 목적격 조사 ‘을/를’의 오류,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의 오류 순 으로 살피기로 한다.

번역 테스트에서 나타난 학년별 및 격조사별 세부 오류 유형 빈도는 다음의 <표 23>

과 같다.

격조사 오류 유형

(LC → RI)

오류 빈도 (A)

사용횟수 (B)

오류율(%) (A/B) 주격

조사 이/가

대치 이/가 → 을/를 19

260

7.3

이/가 → 에게 3 1.2

누락 이/가 → Ø 2 0.8

첨가 Ø → 이/가 - -

목적격

조사 을/를

대치

을/를 → 에 21

195

10.8

을/를 → 이/가 7 3.6

을/를 → 에서 3 1.5

누락 을/를 → Ø 4 2.1

첨가 Ø → 을/를 5 2.6

부사격

조사 에 대치

에 → 을/를 3

390

0.8

에 → 으로 1 0.3

<표 23> 번역 테스트에서 나타난 오류 유형별 빈도 및 오류율

우선 주격 조사 ‘이/가’의 세부 오류 유형별 오류율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가 → 을 /를’의 오류율은 7.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목적격 조사 ‘을/를’의 세부 오류 유형별 오류율은 ‘을/를 → 에’의 오류율이 10.8%

로 가장 높은 오류율을 기록하였다.

부사격 조사 ‘에’의 세부 오류 유형별 오류율은 위의 <표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 → 에서’의 오류율이 24.4%로 가장 높은 오류율을 보였다. 다음으로, ‘에 → 에게’

의 오류율이 13.6%로 가장 높은 오류율을 차지하였다. 부사격 조사 ‘에서’의 세부 오류 유형별 오류율은 ‘에서 → 에’의 오류율이 6.2%로 가장 높은 오류율을 보였다. 부사격 조사 ‘에게’의 오류율은 ‘에게 → 이/가’의 오율이 가장 높은 오류율을 보였다. 다음으로

‘에게 → 에’의 오류율이 가장 높은 오류율을 차지하였다.

번역 테스트에서는 세부 오류 유형별 나타난 오류는 평균적으로 ‘에 → 에서’의 오류 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에 → 에게’ 오류가 높은 오류율을 보였다. 이를 통하여, 라오스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 ‘에서’, ‘에게’를 잘 이해하지 못 하고 혼동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