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V. 라오스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격조사 교육 방안
1. 한국어 격조사 교육의 목표
분석한 결과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기본적인 교육과정의 틀이다.
민현식(2008:278)에서는 언어 교육과정의 목적과 목표 설정 단계에 대하여 언급한 바 있다. 목표는 목적28)을 구체화하여 구체적, 계량적, 명시적 도달점을 이루어내는 과정이 다. 따라서 본 절에서는 앞 장에서 분석한 학습자들의 격조사 오류 양상을 바탕으로 라 오스인 학습자들을 위하여 더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교육 목표를 설정하고자 한 다.
III 장에서 정리한 라오스인 학습자의 오류 양상을 보면 명확하고 적절하게 쓰지 못한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라오스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격조사 오류를 범하는 대표적인 양 상을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의 부사격 조사 ‘에’ 및 ‘에서’와 대응되는 의미 기능을 지니는 라오어의 전치사의 간섭으로 인하여 나타난 오류가 있다. 한국어의 부사격 조사 ‘에’ 및 ‘에서’는 라오어의 전치사 ‘ຢ
ູ່
[u]’, ‘ແກ່
[kɛ]’가 비슷한 의미 기능을 하는 경우가 있지만 일대일로 대응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라오스인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부사격 조사 ‘에’및 ‘에서’는 라오어의 전치사 ‘ຢ
ູ່
[u]’, ‘ແກ່
[kɛ]’ 등과 일대일로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을 착각하여 이들을 일대일로 번역하여 문장을 형성하므로 오류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특히, 라오어의 전치사 ‘ຢ
ູ່
[u]’의 간섭으로 인하여 부사격 조사 ‘에서’를 사용해야 되는 위치에 부사격 조사 ‘에’를 대치한 경우가 있는가하면 부사격 조사 ‘에’를 사용해야 되는 위치에 부사격 조사 ‘에서’를 대치하여 사용한 현상이 많이 나타났다.둘째, 양 언어 서술어의 품사 차이의 간섭으로 인하여 오류를 일으키는 경우이다. 라 오스인 학습자의 오류 양상을 보면 라오스인 학습자들은 쉬운 문장을 생성하는데도 불구 하고 오류를 범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현상에서는 라오스인 학습자들이 서술어 단어 의 의미를 모르는 것이 아니고 한국어 타동사, 자동사, 형용사 단어를 라오어의 동사처 럼 구분하기 때문에 올바르게 구분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의미가 동일한 짝 동사 단어 의 경우에서 쉬운 문장인데도 불구하고 대치 오류를 범하는 경우가 있다. 즉, ‘끝나다’와
‘끝내다’는 라오어에서는 동일한 단어로 쓰인다. 그러나 한국어에서는 ‘끝나다’를 자동사 로, ‘끝내다’를 타동사로 구분한다. 이러한 서술어의 차이에 기인한 대치 오류가 많이 나 타났다. 예로 보여 주면 주격 조사 ‘이/가’를 목적격 조사 ‘을/를’로 대치한 오류가 나타 난 현상이 있는가 하면 목적격 조사 ‘을/를’을 사용해야 되는 위치에 주격 조사 ‘이/가’
로 대치하여 오류가 일어난 현상이 있다.
28) 민현식(2008:279)에서 목적은 교육과정에 대한 철학과 학습자가 도달해야 할 개괄적, 일반적 수준을 명시하여 장기적 도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셋째, 동사와 결합하는 대상(논항)의 격 차이의 간섭으로 오류를 일으키는 경우이다.
이러한 현상에서는 라오스인 학습자들이 숙지하지 못한 동사 단어를 사용할 때 많이 나 타난 오류이다. 학습자들은 동사 단어를 학습할 때 결합되는 대상인 격조사를 함께 학습 하는 경우가 없다. 주로 동사 단어를 별도로 학습하고 의미만을 파악하여 모국어의 동사 단어와 일대일로 번역하여 쓰는 것이 대부분이며, 동사와 결합하는 대상 격조사를 같이 학습하지 못하므로 문장을 형성할 때 어떤 격조사와 결합하여 사용해야 되는지를 확실히 파악하지 못하여 기존에 학습했던 지식에 의존하여 문장을 생성하여 오류를 일으키기 쉽 다. 특히, 성격이 독특하고 일상생활에서 흔히 쓰지 못하는 동사나 다의성을 지니는 동 사 단어들을 의미적으로 설명하기 어렵다. 대표적인 예를 들면 ‘지원하다, 합격하다, 취 직하다’와 같은 동사들이 있다. 이러한 동사들은 단순히 다른 일반적인 단어처럼 학습하 는 것보다 어떤 격조사와 결합하여 하나의 표현으로 제시하고 반복적인 연습을 통하여 학습하는 것이 격조사의 오류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자 효과적인 교육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오류 발생의 원인들은 라오스인 학습자들로 하여금 한국어의 조사를 바르 게 사용하도록 교육시키는 교육 방법이 필요하다. 본 절에서는 이상의 논의들을 바탕으 로 라오스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격조사 교육의 구체적인 격조사 교육 목표를 기술하 면 다음과 같다.
① 한국어와 라오어의 격 실현 방식의 차이를 이해를 바탕으로, 기본적인 한국어 주격 조사 ‘이/가’, 목적격 조사 ‘을/를’,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의 기본사항을 이해할 수 있다. 부사격 조사의 경우에서는 라오어의 전치사와 대응할 수 있는 의 미 기능을 하는 경우가 있으나 일대일로 번역하여 대응할 수 없다는 면에 대하여 확실히 이해하고 유사한 점과 다른 점을 구분하여 사용할 줄 안다.
② 양 언어의 서술어 차이점을 구분할 수 있고 통사적 제약에 대하여 적절한 격 조사와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다.
③ 서술어의 문법 정보를 이해하고, 동사와 결합하는 대상(논항)을 구분할 수 있 고 명확한 문장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의 교육 목표에 초점을 맞추어 라오스인 학습자의 오류 양상을 바탕으로 교육 내 용과 교육 방법을 설정하기로 한다. 구체적인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은 다음 절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