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문형으로서 「격조사 + 동사」의 덩어리 형태 교육의 실제

IV. 라오스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격조사 교육 방안

3. 라오스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격조사 교육의 실제

3.3. 문형으로서 「격조사 + 동사」의 덩어리 형태 교육의 실제

(나) 그런 다음, 학습자들에게 입력 자료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격조사+ 동사’의 문형으로서의 구조를 위주로 위의 글을 읽고, 밑줄 친 동사와 관련된 명사에 붙은 조사 가 무엇인지 쓰도록 한다.

1) 졸업하다 --> 라오스국립대학( ) 2) 취직하다 --> 코라오( )

3) 합격하다 --> 6급( ) 4) 지원하다 --> 잠빠 회사( )

5) 불합격하다 --> 코라오 회사 시험 ( )

이 반복된 질문의 응답을 통해, 문형으로서의 ‘격조사+동사 (졸업하다, 취직하다, 합격 하다, 지원하다, 불합격하다 등’의 구조를 학습자들이 암시적으로 습득하도록 유도한다.

2) 발견 및 제시 단계

발견 단계에서는 관찰 및 이해 단계에서 명시적으로 문형으로서의 ‘격조사+동사’ 구조 를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과제를 제시해 볼 수 있다.

대상 문법 항목을 선정하는 것은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단어 표현과 다의성을 지니는 단어 표현을 위주로 선정하여 ‘격조사+동사’의 문형 구조에 초점을 맞추어 가르쳐준다.

(가) 담화에서 문형으로서의 ‘격조사+동사’ 구조를 하나의 덩어리로 묶어서 알려준다.

‘격조사+동사’의 문형 l N을/를 졸업하다

l N에 취직하다 l N에 합격하다 l N에 지원하다 l N에/에서 불합격하다

(나) 일치된 격조사와 결합할 수 있는 동사의 경우에는 그림을 통해서도 알려줄 수 있 다.

3) 시도 및 사용단계

이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대상 문법 항목을 배웠던 것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제적으 로 활용해 보도록 하는 단계이다.

(가) 앞서 쓴 질문의 답을 토대로, 괄호 안에 알맞은 조사를 쓰도록 한다.

1) 김태희는 서울대학교( ) 졸업했습니다.

2) 짠사몬은 한국의 유명한 기업인 삼성( ) 취직했습니다.

3) 분타위양은 라오스에 있는 한국 대사관 시험( ) 합격했습니다.

4) 파이툰은 공무원 시험( ) 불합격했다.

5) 우리 아버지는 회사( )퇴직 신청을 하실 겁니다.

(나) 위의 활동과 같이, 교사가 명시적으로 격조사+동사의 형태를 직접적으로 제시해 주기보다, 학습자 스스로가 구체적인 예문을 통해 올바른 조사 사용에 관한 지식을 배워 서 새로운 문장에 적용하는 연습을 통해, 한국어의 격조사 사용의 자연스러운 습득을 유 도할 수 있다.

(다) 배웠던 내용이나 문법 항목을 바탕으로 활용하여 졸업 이후 계획에 대해 글쓰기 를 하도록 하고 말하기 연습도 수행한다.

나의 졸업 이후 계획

...

...

...

...

이상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OHE 수업 모형은 담화 내에서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는 단어, 표현, 상황 맥락이나 모르는 새로운 문법 구조, 의미를 관찰하고 그 문장 의 미와 문법 규칙을 발견할 수 있다. 학습자가 학습 자료를 통해 학습 내용을 인지하는 관 찰 단계를 거쳐 스스로 발견한 의미 기능과 사용 방법을 분석한다. 학습자가 발견한 문 법 규칙을 활용하여 새로운 언어 표현이나 문장을 시도해 볼 수 있다. OHE 교수 모형은 학습자에게 능동적인 역할을 부여한다는 것이 큰 장점이 있다.

본 장에서는 라오스인 학습자의 오류 양상을 따라서 OHE 교수 모형을 기준으로 라오 스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격조사 수업 모형을 제안하였다. 담화 내에서 학습자가 알 수 있는 단어와 아직 학습하지 못한 문법 정보 및 격조사의 형태적 구조를 관찰하게 하 고 그 문장의 문법 정보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학습자가 대상 격조사의 문 법 정보를 스스로 관찰하여 이해하기가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제시 단 계에서 설명해 준다. 예를 들면, 부사격 조사 ‘에’ 및 ‘에서’와 모국어의 전치사 ‘ຢູ່[u]’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유의하여 확실하게 알려준다. 본 연구에서는 라오스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격조사를 교육하는 과정에서 OHE 교수 모형을 활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라오스 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교수 모형이라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