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부사격 조사 ‘에, 에서’ 교육의 실제

IV. 라오스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격조사 교육 방안

3. 라오스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격조사 교육의 실제

3.1. 부사격 조사 ‘에, 에서’ 교육의 실제

라오스인 학습자들의 오류 양상에서 나타난 오류를 보면,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를 구분하여 사용하지 못함으로 발생하는 오류가 빈번했다. 이는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격 조사가 라오어의 경우에는 전치사인 ‘ຢູ່[u]’ 하나인 반면, 한국어에는 ‘에’와 ‘에서’ 두 개 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특히 ‘에 있다’와 ‘에서 V’의 예에서 ‘에’와 ‘에서’의 대치오류가 가장 빈번하게 발생했다. 왜냐하면, 이 두 경우 모두 라오어로는 ‘ຢູ່[u]’로 번역되기 때문 이다.

그러므로 라오어 전치사 ‘ຢູ່[u]’와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의 대조 언어학적

인 이해를 학습자들에게 제공해 주는 것이, 모국어 간섭으로 인한 에와 에서의 오류를 예방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오류 양상을 토대로, OHE 교 수 모형에 따라 교육 방법을 단계별로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관찰 및 이해 단계(Observation)

관찰 및 이해 단계에서는, ‘에’와 ‘에서’가 동시에 포함된 텍스트를 통해 각각의 쓰임 과 사용을 학습자 스스로 관찰하고 발견해 내게 함으로 학습자의 중간언어에 내재된 규 칙 체계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초급 수준에서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를 학습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텍스트의 한 예를 다음과 같이 구성해 볼 수 있다.

컴퓨터가 있어요. 그래서 집에서 게임을 해요.

밥이 없어요. 그래서 식당에서 밥을 먹어요.

도서관책이 많이 있어요. 그래서 도서관에서 책을 읽어요.

커피숍 커피가 있어요. 그래서 커피숍에서 커피를 마셔요 운동장 친구들이 많아요. 그래서 운동장에서 축구를 해요.

(가) 텍스트는 ‘N에 있다’ 류(많다, 많이 있다, 적다, 없다 등)와 ‘N에서 V' 류의 문형 을 연쇄적으로 반복 제시하는 구조화된 입력의 형태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해당 조사에 밑줄을 긋거나 진하게 표시하여 입력을 강화해 줌으로, 학습자들에 부사격 조사의 형태 에 초점을 두도록 유도한다.

(나) 그런 다음, 학습자들에게 입력 자료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N에 있다’와 ‘N에 서 V'의 동일한 형태로 반복된 질문을 답하게 한다. 질문을 할 때는 부사격 조사 부분에 서 음성과 억양을 높여 말함으로 그 부분에 유념해서 대답하도록 유도한다.

교사: 어디(↗) 컴퓨터가 있어요?

학생: 집 컴퓨터가 있어요.

교사: 어디에서(↗) 게임을 해요?

학생: 집에서 게임을 해요.

이 반복된 질문의 응답을 통해, 이동의 목적지에는 ‘에’를 쓰고, 동사의 동작이 일어나 는 장소에는 ‘에서’를 쓴다는 것을 학습자들이 암시적으로 습득하도록 유도한다.

2) 발견 및 제시 단계(Hypothesis)

발견 단계에서는 관찰 및 이해 단계에서보다 명시적으로 ‘에’와 ‘에서’의 쓰임을 구분 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과제를 제시해 볼 수 있다.

(가) 라오어를 한국어로 간단한 번역 과제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에’와 ‘에서’의 오 류를 유도함으로 라오어의 전치사 ‘ຢູ່[u]’가 한국어에서는 ‘에’와 ‘에서’ 두 가지로 번역 될 수 있음을 학습자 스스로가 발견하도록 유도한다.

다음을 한국어로 번역해 보세요.

① ມີປຶ້ມຫລາຍຢູ່ຫໍສະຫມຸດ, ຂ້ອຍຈຶ່ງອ່ານປື້ມ ຢູ່ຫໍສະຫມຸດ

[...]

② ຢູ່ ເດີ່ນ ກິລາ ມີຫມູ່ຫລາຍ, ຈຶ່ງໄດ້ ເຕະບານ ຢູ່ ເດີ່ນ ກິລາ

[...]

(나) 제시 단계에서는 지금까지의 학습자가 관찰, 이해, 발견한 것을 교사가 명시적인 설명을 통해 짧고 간략하게 정리해 줌으로 그들이 스스로 세운 문법적인 가정들이 바른 것인지를 확인하고 확정하게 한다.

‘에’와 ‘에서’의 의미 기능

N(장소)에 있다/없다,... N(장소)에서 V

l 사람이나 사물의 존재를 나타내는 의미를 지니는 ‘있다’를 비롯하여 ‘없다, 계시다’

등과 함께 쓰인다.

l 사람이나 사물의 수량을 나타내는 의미를 지니는 ‘많다, 적다’ 등과 같은 형용사와도 함께 쓰일 수 있다.

l 작은 지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선행 명사와 쓰인 경우에서는 ‘쓰다, 앉다, 걸다, 눕다, 붙다, 찍다, 뜨다’ 등과 같은 동작동사와 함 께 쓰인다.

l 사람이나 사물의 행위나 동작의 의미를 나타내는 동사와 함께 쓰인다.

l 주로 사람이나 사물의 동작이나 행위가 일어나는 거시적인 장소를 나타내는 명사와 붙어 쓰인다.

l ‘에’, ‘에서’와 다 같이 쓸 수 있는 동사가 있다. ‘살다, 머무르다, 체류하다’

문장에서 ‘에’와 ‘에서’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인식하도록 설명해 준다. 주어가 존재하 는 장소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에’를 쓰고 주어가 행동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에서’를 사용한다.

(다)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가 라오어의 전치사 ‘ຢູ່[u]’와 유사한 점을 명확히 설명 해 준다.

그리고 부사격 조사 ‘에’가 라오어 전치사 ‘ແກ່[kɛ]’와 비슷한 의미 기능을 하는 경우 도 보여준다. 주어의 행위 대상이 되는 무정명사 뒤에 ‘에’를 붙여 사용할 수 있다는 것 을 설명해 준다. 더불어 라오어 전치사와 대응할 수 있으나 완전히 일대일로 대응이 불 가능한 것을 알려준다.

(라) 앞서 제시한 문법적 규칙을 잘 이해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위의 텍스트에서 장 소 명사 뒤의 ( ) 알맞은 ‘에’나 ‘에서’를 쓰도록 한다.

교실에( )복사기가 있어요. 그래서 교실( )서류를 복사해요.

기숙( )밥이 없어요. 그래서 식당( ) 밥을 먹어요.

연구실( ) 책이 많이 있어요. 그래서 연구실( ) 책을 읽어요.

집에( ) 커피가 있어요. 그래서 집( ) 커피를 마셔요

커피숍( ) 친구들이 많아요. 그래서 커피숍( ) 친구를 만나요.

(마) ‘에’와 ‘에서’를 올바르게 쓰지 못한 문장을 찾아보는 활동도 수행한다.

① 도서관에 컴퓨터가 있어요.

② 오늘은 학생식당에서 중국음식이 없어요.

③ 도서관에서 책이 많이 있어요.

④ 커피숍에서 커피를 마셔요.

⑤ 운동장에서 친구들이 많아요.

⑥ 그는 우리 대학교 도서관에 책을 주었다.

(바) 질문의 답을 확인하여 이유를 물어보고 대상 문법에 대하여 다시 설명해주고 마 무리를 한다.

3) 시도 및 사용(Experiment)

이 단계에서는 대상 문법을 사용하여 앞서 배웠던 내용을 바탕으로 활동하도록 한다.

(가) 주어진 단어를 바탕으로 ‘에’와 ‘에서’를 활용하여 대화문을 형성하도록 한다.

파이툰: 아누룬 씨 토요일에 뭐할 거예요?

아누룬: 저는 ...(도서관, 시험공부)

파이툰: 토요일 저녁 ...(아이텍, 김현식 가수 콘서트, 있다, 같이 가다) 아누룬: 그래? 그러면 지금 빨리 공부하고 저녁에 콘서트를 같이 봐요.

(나) 자유 담화 활동

형태에 초점을 맞추어서 격조사와 서술어를 사용하여 맞는 문장을 만들도록 한다. 학 습자들에게 그림을 보여주고 수업했던 문법 표현과 ‘에/에서’를 사용하여 글쓰기를 하도 록 한다.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