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V. 라오스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격조사 교육 방안
3. 라오스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격조사 교육의 실제
3.2. 서술어의 품사 구분에 따른 격조사 교육의 실제
(나) 그런 다음, 학습자들에게 입력 자료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N이/가 A, N이/
가 자동사’와 ‘N을/를 타동사'의 동일한 형태로 반복된 질문을 답하게 한다.
교사: 선생님이 매일 네 시에 수업을 끝내요?
학생: 아니요, 매일 4시 반에 수업이 끝나요.
교사: 그 사람은 무엇을 싫어해요?
학생: 그는 축구를 싫어해요.
교사: 선생님은 배구가 싫어요.
이 반복된 질문의 응답을 통해, 자동사나 타동사, 형용사에 따라 ‘격조사’를 쓴다는 것 이 결된다는 것을 학습자들이 암시적으로 습득하도록 유도한다.
2) 발견 및 제시 단계(Hypothesis)
발견 단계에서는 관찰 및 이해 단계에서 명시적으로 ‘타동사’, ‘형용사’와 ‘자동사’가 어떤 격조사와 함께 쓰이는지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과제를 제시해 볼 수 있다.
(가) 담화에서 ‘N 이/가 자동사’와 ‘N이/가 형용사’, ‘N을/를 타동사’의 문형으로서 구조를 알려준다. 특히 학습할 대상 짝의 서술어 단어들의 차이점을 명확히 알려준다.
더불어 모국어의 서술어와 대조를 통하여 차이점을 알려준다.
한국어 라오어
l N이/가 + 자동사/형용사
l N을/를 타동사 l N(
ø
)+ 서술어N이/가 싫다 형용사
ຊັງ
[sa:ŋ] (타)동사
N을/를 싫어하다 (타)동사
N이/가 부럽다 형용사
ອິດສາ
[itsa:] (타)동사
N을/를 부러워하다 (타)동사
N이/가 끝나다 (자)동사
ຈົບ/ເລີກ
[job/lək] (자, 타)동사
N을/를 끝내다 (타)동사
N이/가 그립다 형용사
ຄິດຮອດ
[khit hɔt] (타)동사
N을/를 그리워하다 (타)동사
(나) 앞서 제시한 문법적 규칙을 잘 이해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위의 텍스트에서 ( ) 알맞은 ‘자동사, 타동사, 형용사’의 단어를 쓰도록 한다.
오후 4시 반에 수업이 ( ). 그리고 집에 간다.
나는 오늘 과제를 빨리 ( ). 그래서 텔레비전을 볼 수 있었다.
나는 축구가 ( ). 그러나 분쑤안은 배구를 ( ).
씬쑤다는 남자 친구를 ( ). 그러나 나는 부모님이 ( ).
나는 한국말을 잘하는 친구가 ( ). 그러나 싸이는 영어를 잘하는 사람을 ( ).
(다) 반복적인 연습을 통하여 서술어의 품사를 구분하고 격조사를 결합하는 것을 익히 도록 하기 위하여 다시 위의 텍스트에서 밑줄 친 서술어 앞의 ( )에 알맞은 격조사를 쓰도록 한다.
오후 4시 반에 아르바이트( )끝난다. 그리고 집에 간다.
나는 오늘 보고서( ) 끝냈다. 그래서 텔레비전을 볼 수 있었다.
나는 수영( ) 싫다. 그러나 분쑤안은 배드민턴( ) 싫어한다.
씬쑤다는 엄마( ) 그리워한다. 그러나 나는 조카( ) 그립다.
나는 한국말을 잘하는 사람( ) 부럽다. 그러나 싸이는 영어를 잘하는 친구( ) 부러 워한다.
(라) 앞서 제시한 문법 항목 규칙을 확실히 잘 이해하고 있는지를 다시 확인하기 위하 여 틀린 문장과 맞는 문장을 선택하는 연습도 수행한다.
① 매일 5시에 수업을 끝난다.
② 나는 오늘 과제이 빨리 끝냈다.
③ 분쑤안은 배구가 싫어한다.
④ 씬쑤다는 남자 친구가 그리워한다.
⑤ 나는 한국말을 잘하는 친구를 부럽다.
⑥ 싸이는 영어를 잘하는 사람을 부러워한다.
(마) 질문의 답을 선택하는 이유에 대하여 물어보고, 대상 문법 항목에 대하여 정리한 다.
3) 시도 및 사용(Experiment)
이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대상 문법 항목을 배웠던 것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제적으 로 활용해 보도록 하는 단계이다.
(가) 주어진 단어를 바탕으로 대화문을 형성하도록 한다.
파이툰: 토요일에 뭐할 거예요?
아누룬: 저는 ...고, 운동할 거예요. (과제, 끝내다) 파이툰은 뭐해요?
파이툰: ...후에, 한국 드라마를 볼 거예요.(아르바이트, 끝나다) 아누룬: 그래요? 같이 운동할래요?
파이툰: 무슨 운동이에요?
아누룬: 농구예요. 저는 농구를 좋아해서 토요일마다 농구를 해요.
파이툰: 저는 ...(배드민턴, 좋다, 농구, 싫다) (나) 자유 작문
형태에 초점을 맞추어서 격조사와 서술어를 사용하여 맞는 문장을 만들도록 한다. 학 습자들에게 그림을 보여주고 수업했던 대상 문법 항목과 대상 서술어의 단어를 바탕으로 글쓰기를 하도록 한다.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