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거이론에서 이론 개발에 활용되는 자료 중 면담 자료가 가장 핵심적 이다. 연구자는 연구 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질문을 통해 연구 참여자로 부터 이론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얻게 된다. 따라서 면담 질문을 적절하 게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문의 방식과 관련하여, Charmaz와 Belgrave(2002), Strauss와 Corbin(1998)의 제안한 연구 질문의 예를 참고 하여 면담 질문을 개발하였다. 면담 질문지 구성의 과정은 [그림 2]와 같 다.
문헌 고찰을 통해 질문지 개발
⇓
1차 예비연구 진행
예비조사 2인 진행.
⇓
예비연구 결과를 기초로 1차 질문지 수정
1차 예비연구 결과를 고려하여 1차 수정.
예비 조사 연구를 통해 연구자가 설정한 연구 문제와 관련된 학생들의 경험을 이해하고, 이를 기초로 1차 질문지 수정 진행.
⇓
연구자 검토를 통한 2차 질문지 수정
근거이론으로 학위논문을 작성한 바 있는 교수 2인에게 검토 받은 후, 피드백을 통해 2차 질문지 수정.
⇓
상담자 검토를 통한 3차 질문지 수정
학사경고 내담자를 상담한 경험이 있는 상담자3인에게 수정된 질문지를 보이고 피드백을 통해 3차 질문지 수 정.
⇓ 4차 수정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에서 학사경고 학생 상담 업 무를 담당하는 상담자를 면담하ㅇㅇ여, 학사경고 반복 경험 학생들에 대한 이해를 추가 하였으며, 이를 면담 질문에 반영하여 수정.
⇓ 5차 수정
지도 교수의 피드백을 통해 전체 과정 통합 및 질문지 확정
⇓
1차 면대면 면담 진행
⇓
면담 후 지속적 질문 수정
면대면 면담 진행 후 지속적 면담 질문 수정 및 보완 [그림 2] 면담 질문지 제작 과정
이상의 과정을 통해 면담질문지가 개발되었다.
면담 질문지를 구성하기 위해, 먼저 학사경고를 받은 학생들의 특성 및 경험(Abele, 2013; Casey et. al., 2015; Fletcher & Tokmouline, 2010;
Graham, 1986; Lindo et. al., 2008; Mavis & Doig, 1998; Sage, 2010;
Tovar et. al., 2006), 대학생의 학업 저성취 및 관련 요인(김동진, 정동영, 2009; 임이랑, 2015; 천경희, 2011) 및 근거이론 연구 방법 관련 문헌 (Charmaz, 2011; Corbin & Strauss, 1990; Creswell, 2005; Schraw, Wadkins & Olafson, 2007; Strauss & Corbin, 1990)의 검토가 이루어졌으 며, 이를 기초로 연구 질문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자가 문헌 고찰을 통해 형성한 질문 목록을 활용하여 예비조사 를 진행하였다. 예비조사 시 연구 참여자에게 질문에 대한 검토를 받았 을 뿐만 아니라, 예비 조사 결과 후 학사경고 학생에 대한 연구 참여자 의 확장된 이해를 기초로 면담 질문 목록을 1차로 수정하였으며, 이를 다시 근거이론으로 박사학위논문 작성 경험이 있는 교수 2인에게 보이고 피드백을 받았다. 또한 학사경고를 2회 이상 받은 서울대학교 학생들을 수차례 면담한 경험이 있는 상담자 3인에게 개별적으로 메일을 보내, 면 담 질문지에 대한 검토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학생상담센터에서 학사경 고 학생 대상 업무를 전담하는 상담자와의 면대면 면담을 통해 학사경고 학생들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이러한 내용을 면담 질문지에 보완하여 수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지도 교수의 검토를 통해 1차적으로 면대면 면 담에 활용할 질문지를 확정하였다. 이후 이론적 표본 추출 과정을 통한 면담 과정에서 수집된 자료에 비추어 면담 질문이 지속적으로 수정되는 과정을 거쳤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개발된 면담 질문지를 활용하여 면담을 진행하였 다. 주요 면담 질문은 “학사경고 경험에 대해 말씀해주십시오”였으며, 실 제 활용된 질문의 개요 및 예시는 <표 5>와 같다.
번
호 분류 주요 내용 질문 예시
1 연구 참여자에 관한 기초
정보
성별 / 연령
소속 학교/ 단과대학 / 학과
입학한 해 / 졸업까지 남은 학기 수
재수 여부
학사경고 횟수 및 학기
제적 여부
휴학 횟수 및 학기
거주 형태(자취 / 기숙사 / 가 족과 동거 등)
가족관계(가족의 수 / 학력 수 준 등)
학사경고 학기는 언 제이며, 총 횟수는 몇 번인가요?
2 대학교 입학 전 경험
학업성취수준 및 학습 양식
대인관계 양식
진로 목표의 구체화 수준
가족
자기개념 및 학업 효능감
고교 생활 및 학업은 어떠했나요?
기억나는 사건은 무 엇이며, 구체적 사건 에 대한 생각과 감정 은 어떠한가요?
3 대학교 입학 직후 경험
학교, 학과, 학업성취, 대인관 계, 자신 등에 대해 기대했던 점, 그리고 만족스럽거나 좌절 스러웠던 점 등
재학 중 인상적인 사건, 정서, 생각, 행동 등
입학 후 학교, 학과, 학업에 대한 전반적 인 느낌은 어떠했나 요?
4 학사경고 경험
해당 학기 연구 참여자의 인 식과 경험(일상생활, 대인관 계, 학업, 전공, 학교 관련 등 전반적인 사항 확인)
학사경고를 받은 학 기를 묘사해주세요.
학사경고를 받았을 때 어떤 느낌과 생각
<표 5> 연구 참여자 공통 면담 질문 예시
학사경고를 받게 된 이유에 대한 인식
학사경고에 대한 나와 주변의 반응 지각 확인
학사경고를 받은 후 변화한 자기 개념, 타인, 세상에 대한 인식 확인
학사경고 확인 후 대처 행동 탐색
이 들었으며, 어떻게 행동했나요?
§ 만약 주변 사람들이 자신을 한심하게 본 다는 생각을 하지 않 았다면, 지금과 달라 졌다고 생각하세요?
5 마무리 면담 소감 나누기
학사경고 학생 적응에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되는 지 원 방안에 대한 생각 확인
인터뷰를 마치는 지 금의 기분은 어떠한 가요?
면담 상황에 따라 질문의 형태를 조금씩 바꿔서 활용하였으나, 질문의 초점은 동일하였다. 또한 개방형 질문을 통해 가능한 연구 참여자가 자 발적으로 자신의 경험을 세밀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안내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면담 질문지는 연구 과정에서 점차 목적과 초점에 맞게 구체화되어 갔다. 근거이론의 면담 질문지 제작에서 특징적인 부분은, 면담 질문이 연구 진행 과정에 따라 변화한다는 것이다. 근거이론의 연 구 방법은 자료 수집과 분석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자료 가 분석될 때마다 범주가 도출되고, 이는 곧 추가적인 정보에 대한 탐색 의 필요성과 연결된다. 즉, 연구가 진행되면 될수록, 새로운 연구 질문 이 추가되거나 기존의 질문이 좀 더 초점에 맞게 변경됨을 의미한다. 따 라서 초기 면담에서는 연구 주제에 대해서 광범위하게 질문하지만, 관련 개념들이 드러남에 따라서 점점 개념 간 관계를 묻는 구조화된 형식을 갖게 된다. 최종적으로 활용된 반구조화된 면담 질문지 전체는 부록에 제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구성된 면담 질문을 기초로 본 연구자는 면담 을 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