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스키마의 활성화를 통한 작품의 이해

한국과 베트남은 한문문화권에 속해 있었던 나라로서 역사·사회·

문화·사상의 측면에서 유사점이 많이 존재한다. 특히, 역사-사회적 인 현상361)이라고 여겨지는 문학은 장르, 표현, 모티프, 인물 유형,

주제, 사상 등의 측면에서 유사점이 많이 보인다. 베트남인 학습자 들은 교육과정이나 개인의 경험을 통해서 이에 대한 지식을 많이 습득해 왔다. 학습자에 따라 넓이와 깊이가 다르지만 이러한 지식은 그들의 머릿속에 저장되어 있다.

그렇기에 한국 문학 작품을 접할 때 학습자들은 비슷한 내용, 주 제, 인물 유형을 보이는 베트남 문학 작품을 자연스럽게 연상하게 된다. 그렇지만 이는 배경 지식을 동원해서 작품을 이해하려는 시도 로 발전할 수도 있고 그냥 비슷한 작품을 연상하는 데에만 그칠 수 도 있다. 교사의 역할은 학습자가 지닌 스키마(배경 지식)를 활성화 시켜 한국 문학 작품을 이해하는 데에 이를 제대로 동원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교사는 교육 대상인 한국 문학 작품의 창작 배경, 장 르, 표현 방식, 내용, 작중인물, 주제, 사상 등에 관련된 안내 질문들 을 통해서 학습자의 스키마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 음과 같은 질문들을 제시할 수 있다.

① <춘향전>처럼 베트남 고전소설 중에는 작중인물의 이름으로 작품의 제목을 짓는 것이 꽤 많지요. 이 제목들은 무엇을 알려줄까요?

이 질문은 배경지식에 대한 것이며, 학습자들로 하여금 고전소설 작 품 제목의 특징에 대한 지식을 상기시켜 <춘향전>의 제목 이해에 적용하도록 한다.

② <취교전>의 원제목은 <단장신성(斷腸新聲)>입니다. <열녀춘향수절 가>는 <춘향전>의 이본 중의 하나입니다. <열녀춘향수절가>라는 제목을 통해서 무엇을 알 수 있을까요?

이 질문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단장신성>의 창작 의도에 대한 지식 을 상기시켜서 <춘향전>의 창작 의도를 파악하는 데에 적용하도록 한다.

③ <취교전>은 ‘만남-이별-수난(타향살이)-재회’의 서사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춘향전>은 어떨까요?

361) 우한용(2009), 「문학교육의 목표이자 내용으로서 문학능력의 개념, 교육 방향」,『문 학교육학』28, 한국문학교육학회, 15면.

이 질문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춘향전>의 서사구조를 이해할 때 <취 교전>의 서사구조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게 한다.

취교는 가난 때문에 몸을 팔아서 온갖 풍진을 겪었는데 춘향은 어떨 까요?

이 질문은 취교의 수난 원인을 알려줌으로써 학습자들로 하여금 춘향 의 수난 원인을 알아보게 한다.

⑤ <취교전>은 취교와 김중의 사랑 이야기이며 근대이행기 봉건사회의 여러 문제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춘향전>은 어떨까요?

이 질문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신들이 배웠던 <취교전>에 반영된 사회적 문제들에 대한 지식을 상기시켜 <춘향전>에 반영된 사회적 문제들을 알아보게 한다.

춘향이 이몽룡을 만나러 광한루에 가는 모습을 묘사하는 장면은 <취 교전>의 어떤 장면을 연상시킬까요?

취교가 김중을 만나러 한밤중에 종종걸음으로 곧장 뜰로 나가는 모습 이 김중과 열렬하게 사랑을 나누는 그녀의 마음을 뛰어나게 묘사한 다는 것을 학습자들이 잘 알고 있다. 그러므로 이 질문은 학습자들 로 하여금 춘향의 모습에 주목하여 춘향의 마음과 행동을 이해하게 한다.

춘향이 변학도의 수청 요구를 거절해서 매를 맞는 장면은 <취교전>

의 어떤 장면을 연상시킬까요? 이 두 장면은 같은 점이 무엇일까 요?

취교는 청루에 돌아가는 것을 거절했기 때문에 관아에서 가혹한 매를 맞아야 했다. 취교가 매를 맞은 이유가 춘향과 동일하다고 볼 수는 없지만, 인간다운 삶에 대한 인식 때문에 기생 노릇을 거절했다는 점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질문은 학습자들로 하여 금 춘향이 매를 맞은 것의 본질(이면의 이유)을 파악하게 한다.

암행어사가 된 이몽룡이 춘향을 구출하는 장면은 <취교전>의 어떤 장면을 연상시킬까요? 이 두 장면은 같은 점과 다른 점이 무엇일까 요?

암행어사가 된 이몽룡이 옥중에 있는 춘향을 구출해서 정실부인으로 맞아들이고 행복한 가정을 이룩한다는 삽화가 결말에 해당하는데,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각연 스님이 전당강으로 투신한 취교를 구출

해서 함께 살게 되는 삽화를 연상할 수 있다. 그러나 여주인공과의 관계에 있어서 각연과 이몽룡의 역할은 다르며, 암행어사로서 이몽 룡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인물은 서해이다. 서해는 청루로부터 취 교를 구출해서 부인으로 맞아들이지만 호종헌의 속임수로 인해 결 국 죽음을 맞이한다. 이 질문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이몽룡과 서해 의 역할 상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찾아내게 하고, 춘향과의 관계에 있어 암행어사로서 이몽룡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 역할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