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한국고전문학 교실에서 베트남 학습자의 특성

II.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한국고전소설

3. 한국고전문학 교실에서 베트남 학습자의 특성

한국과 베트남의 관계가 전면적 동반자 관계로 발전함에 따라 한 국문화와 문학에 관심도 증가해서 한국과 관련되는 연구기관이 많 이 증설 되었다. 이에 따라 베트남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목적도 많 이 달라진 것이 사실이다. 한국어 의사소통능력만을 잘 키워서 한국 회사에 취직한다는 초기 한국어 학습자와는 달리, 한국어를 잘 해서 자기가 관심을 가지는 분야에 진학하거나 연구기관에 취직하려는 학습자가 더욱 많아졌다. 단순한 회화 수준의 언어습득을 넘어서서, 한국을 잘 알고, 한국의 문화에 대해 깊이 이해하여 개인의 성장과 관심 분야의 확장을 도모하려는 학습자가 증가한 것이다. 베트남 학 습자들의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는 이처럼 보다 높은 수준의 것으 로 변화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한국과 베트남의 관계는 일회성의 단순한 교류에 그치지 않 고 상호발전을 도모하는 지속적인 교류를 지향하고 있는데, 지속적 으로 한국 사람과 교류하는 기회를 확대하고 교류가 원활하게 이루 어지기 위해서는 서로의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 야 한다. 실용적 목적을 넘어서 이러한 문화 이해의 측면에서 한국 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자들이 증가한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문화란 과거로부터 형성되어 지속되어 온 것이라 현재의 한국문 화를 잘 이해하려면 전통문화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앞에서 언급했 지만 고전문학은 전통문화를 풍부하게 보존하는 보고(寶庫)이다. 역 사 자료와 달리 고전문학에 반영된 전통문화가 문학적 형상들을 통 해서 제시되어서 생동감 넘치게 느끼고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래 서 한국어 교육에 한국고전문학 교육이 필요하며 효율적일 수 있다.

베트남 학습자가 중국이나 태국, 인도 등의 한국어 학습자와 다 른 결정적인 지점은 기존에 가지고 있는 베트남 문학에 대한 지식

에 있을 것이다. 인간이 새로운 대상을 접할 때 이미 갖고 있는 지 식을 동원해서 새로운 대상을 이해하도록 시도하는 것처럼, 베트남 인 한국어 전공 학습자들도 한국고전소설을 접할 때 이미 배웠던 문학적 지식이나 관련된 경험을 동원해서 그것을 이해할 것이다. 여 기서 말하는 문학적 지식은 대부분 베트남 문학에 관한 지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한국과 베트남은 한문문화권에 속해 있었으며 비슷한 역사를 갖고 있는 나라라서 역사·사회적 현상이라고 여겨지 는 문학에 있어 여러 유사점이 드러난다. 그래서 한국문학작품을 이 해하는 데에 비교문학적 관점을 적용하는 한편, 학습자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베트남 문학 지식을 잘 활용하면 여러 가지 측면에서 효과적일 것이다.

실제로 베트남 학습자는 교육과정 속에서 여러 문학 작품들을 배 운다. 초·중·고등학교 과정에서는 문학을 따로 배우는 것이 아니라 국어(베트남어)와 함께 배운다. 초등학교 과정에서 문학은 주로 국 어의 기능(듣기·읽기·말하기·쓰기) 습득에 활용하는 자료로서 사용되 는데, 초등학교의 문학 교육의 목표는 문학작품의 내용 자체를 배우 는 것보다 문학작품의 발췌문을 통해서 어휘습득, 문법 지식, 문단 구성의 원리 습득을 하는 데에 있다. 그래서 초등학교 국어(베트남 어, Tiếng Việt)교과에 민요나 시작품이나 문학작품의 짧은 발췌가 수록된다.85)

중학교부터 국어 교과과정 대신 어문(베트남어와 문학) 교과과정 이 있어, 여기서 학습자가 문학을 따로 배우지 않고 국어(베트남어) 와 함께 배운다. 중고등학교의 문학교육의 목표는 문학 지식을 습득 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문학작품을 통해서 문학작품의 내용과 예 술적 특징을 이해하고 사고력과 문학능력을 신장시키는 데에 둔다.

85) Bộ Giáo dục và Đào tạo(2013), Tiếng Việt 1(국어 1), tập 1,2, Nxb Giáo dục; Bộ Giáo dục và Đào tạo(2013), Tiếng Việt 2(국어 2), tập 1,2, Nxb Giáo dục; Bộ Giáo dục và Đào tạo(2013), Tiếng Việt 3(국어 3), tập 1,2, Nxb Giáo dục; Bộ Giáo dục và Đào tạo(2013), Tiếng Việt 4(국어 4), tập 1,2, Nxb Giáo dục; Bộ Giáo dục và Đào tạo(2013), Tiếng Việt5(국어 5), tập 1,2, Nxb Giáo dục, 참조.

안내 질문을 통해서 학습자로 하여금 자신의 경험지식을 동원해서 작품을 능동적이고 창의적으로 이해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 다.

중학교 저학년 학습에 주로 <용선(龍仙)의 후예(Con rồng cháu

tiên)>, <산신과 수신(Sơn Tinh Thủy Tinh)>, <타익 싸잉(Thạch

Sanh)>

등과 같은 베트남 옛 이야기들을 배우는데 이들 작품이 모

두 에니메이션이나 드라마로 재생되어 대부분의 베트남 학습자들에 게 많이 익숙한 작품이다. 학급이 올라감에 따라 고전문학 작품이 많이 배우세 되는데 중학교

4학년과 고등학교 1, 2

학년에 집중적 으로 고전문학 작품을 배우게 된다. 교육대상 작품은 주로 <전기만 록(傳奇漫錄)>, <우중수필(雨中隨筆)>, <황려일통지(皇黎一統志)>,

<취교전>등이다.

86)

대부분의 작품이 한 학급의 어문(국어와 문학)에만 수록되는데

<취교전>의 경우는 여러 학급의 어문(국어와 문학)교과서에 수록되

고 있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학 교 4학년의 어문(국어와 문학)에 수록되는 <취교전>의 교수·학습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6차주에

‘취교와 취운 자매’, ‘봄날의 경치’를

통해서 자연 묘사와 인물 묘사의 수법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7 차주에 수록되는

‘응벽루에 있는 취교’를 통해서 취교의 부모에 대

한 효도심, 김중에 대한 한결같은 마음, 외로움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마감생이 취교를 사다’를 통해서 사람을 경영하는 자를 증 오하는 작가의 태도를 이해할 수 있으며 반동인물을 형상화하는 완 유 작자의 재능을 이해할 수 있다. 8차주에 ‘취교의 보은보원’을 통 해서 취교의 의롭고 고상한 마음, 완유가 살던 시대의 공리의 꿈,

86) Bộ Giáo dục và Đào tạo(2013), Ngữ văn 6(어문 6), tập 1,2, Nxb Giáo dục; Bộ Giáo dục và Đào tạo(2013), Ngữ văn 7(어문 7), tập 1,2, Nxb Giáo dục; Bộ Giáo dục và Đào tạo(2013), Ngữ văn 8(어문 8), tập 1,2, Nxb Giáo dục; Bộ Giáo dục và Đào tạo(2013), Ngữ văn 9(어문 9), tập 1,2, Nxb Giáo dục; Bộ Giáo dục và Đào tạo(2013), Ngữ văn 10(어문 10), tập 1,2, Nxb Giáo dục; Bộ Giáo dục và Đào tạo(2013), Ngữ văn 11(어문 11), tập 1,2, Nxb Giáo dục; Bộ Giáo dục và Đào tạo(2013), Ngữ văn 12(어문 12), tập 1,2, Nxb Giáo dục 참조.

인물의 성격을 묘사하는 수법을 이해할 수 있다.87)

이후 고등학교 1학년의 어문(국어와 문학)에 수록되는 <취교전>

의 교수·학습의 목표는 중학교 학습의 수준보다는 한 단계 높은 것 으로서 다음과 같다. 28차주에

<취교전>의 언어 스타일을 이해할

수 있고, 29차주에 ‘취운에게 언약 부탁하다’를 통해서 취교의 깊은 사랑과 애달픈 비극, 그리고 심정(내심)을 묘사하는 수법을 이해할 수 있으며, ‘취교가 자기를 안타까워하다’를 통해서 취교가 자기의 품격을 깊이 인식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으며, 30차주에 ‘영웅의 지 향’을 통해서 영웅 인물을 묘사하는 수법과 완유 작자가 바라는 영 웅형을 이해할 수 있으며, ‘취교와 김중이 가약을 맺다’를 통해서 취 교의 사랑에 대한 생각(관념)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수업을 받는다.88)

이렇게 보면 <취교전>은 베트남 학습자의 문학교육 과정에 매우 큰 비중(각각 중학교 4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의 문학 교육과정 전

35주의 3주)을 차지한다는 것을 잘 알 수 있다.

교육의 영역이

아닌 문화예술의 영역에서도

<취교전>은 지속적으로 향유되어 왔

다. <취교전>은 베트남 전통 창극(唱劇)인 째오(chèo)나 까이 르엉

(cải lương),

뚜웡(tuồng)으로 거듭 재생되어 왔다. 특히 <취교전>은

자장가로 부르는 데에 적합한 베트남 전통 시형식인 육팔체로 창작 되어 자장가로 사용되기도 한다. 베트남 학습자에게 <취교전>은 매 우 익숙한 작품인 것이다.

또한 2018년에 응웬 바익 쟝(Nguyễn Bạch Giang) 감독에 의해 교외전(Kiều ngoại truyện, 翹外傳) 드라마

40회로 재생되어서 학

습자에게 율문소설 <취교전>과 더욱 가까이 할 수 있는 기회가 마 련되었다. 이러한 베트남 학습자들의 교육 상황에서 알 수 있듯이

<취교전>은 정교 교육의 영역 뿐만 아니라 실제 생활의 영역과 매

87) Bộ Giáo dục và Đào tạo(2013), Ngữ văn 9(어문 9), tập 1, Nxb Giáo dục, 77-108 면 참조

88) Bộ Giáo dục và Đào tạo(2013), Ngữ văn 10(어문 10), tập 2, Nxb Giáo dục, 92-115면 참조.

체 영역에 걸쳐 널리 분포되어 향유되는 문학으로서, 한국어를 배우 고자 하는 대부분의 베트남 학습자들도

<취교전>이라는 작품에 대

한 지식을 기본 지식으로서 갖고 있다.

한국의 <춘향전> 교육에서 베트남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이러 한 기본 지식을 일종의 스키마로 활용하면 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베트남 고전의 백미라는 <취교전>의 경우 학 습자가 매우 풍부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 학습자 가 배웠던

<취교전>의 접근법에 대한 지식을 동원해서 <춘향전>을

이해하면 <춘향전>의 이해가 용이해질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존에 가지고 있던 지식을 활용하는 교육의 효율성은 스 키마 이론을 통해 정당화될 수 있다. Rumelhart(1980)89)에 따르면, 스키마란, 사건이나 개념에 대한 독자의 인지 구조 내부에 존재하는 내적 표현(internal representation) 혹은 인지 구조내의 배경 지식

(background knowledge)이라고 볼 수 있으며,

독자는 이것을 바탕

으로 하여 새로운 경험이나 정보를 이해할 수 있다. 이 지식은 독자 의 인지 구조 속에 축적된 사실들의 단순한 집합이 아니라, 사실과 경험이 추상적 구조 안으로 동화되어 재구조화된 추상적 지식 구조 이다. 스키마 이론은 ‘읽기’를 글을 통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필자의 메시지를 독자가 갖고 있는 배경 지식을 동원하여 해석하는 과정이 라고 본다.90) 이와 더불어 스키마 이론에서는 독해의 과정을 글과 독자의 상호 작용이라고 본다. 특히, 글의 내용과 대응되는 독자의 배경 지식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므로, 스키마 이론에 따르면 독자 는 자신의 배경 지식을 최대한 동원하여 글을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또한 스키마 이론에서는 글의 의미가 글 속에 내재되어 있다고

89) Rumelhart, D. E.(1980), Theoretical issues in reading comprehension, Hillsdale:

Lawrence. 김성아, 「EFL 학습자의 문어 담화 이해에 있어 글 내용 스키마와 글 구조 스키마의 사용에 관한 연구」,『영어교과교육』창간호,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182~183 면 재인용.

90) 이삼형(1995), 「스키마 이론과 읽기 지도」, 『한국언어문화』13, 한국언어문화학회, 104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