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연구 방법
2.2 연구 설계와 연구 절차
이 연구는 통제, 이질, 동질 집단을 무선 배치하여 사전 사후 통제 집단 설계에 따랐으며, 이 연구의 실험 설계 내용은 <그림 I-1>과 같다.
통제 집단 R O1 O2 O3 O4
이질 집단 R O1 O2 X O3 O4 O5
동질 집단 R O1 O2 X O3 O4 O5
R: 무선 배치
X: 협동학습
O1: 집단주의 성향 검사
O2: 과학 학습 동기, 과학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의 사전 검사 O3: 학업 성취도 검사
O4: 과학 학습 동기, 과학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의 사후 검사 O5: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 검사와 일부 개별 면담
<그림 I-1> 연구의 실험 설계
이와 같은 실험 설계에 따른 본 연구의 절차는 <그림 I-2>와 같다. 과학 협동 학습에서 집단 구성에 대한 선행 연구와 개인주의-집단주의 이론을 고찰하고, 협동 학습 수업 지도안과 활동지, 역할표, 수업점검표 등의 학습 자료를 협동학습 관련 선행 연구들(노태희 등, 2004; 한재영, 권은경, 노태희, 2004)에서 사용한 자료를 참 고하여 준비하였다. 이메일을 통하여 집단주의 성향 검사지 개발자와 연락하여 중 학교 1학년 학생에 대한 검사지의 적용 가능성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 집단 주의 성향 검사지를 선정하였다. 처치교사들을 대상으로 워크숍을 두 차례 실시하 여 수업 진행 계획에 대하여 안내하고, 교사가 협동학습 방법에 익숙해지도록 하였 다. 학생들을 대상으로는 집단주의 성향, 과학 학습 동기, 과학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 검사를 사전 검사로 실시하였다. 소집단 편성 후, 협동학습반 학생들이 협동 학습에 익숙해지도록 협동학습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1차시, 지구과학 내용으로 구성된 낱말 퍼즐 활동지를 사용하여 협동학습 연습을 1차시 실시하였다. 협동학습 처치가 이루어진 12차시의 본 수업 기간 동안 연구자 2인이 참관하였다. 통제반 1 개 학급과 협동학습반 2개 학급은 교육경력 18년차의 물리교육을 전공한 교사가 지도하였고, 통제반 1개 학급과 협동학습반 4개 학급은 교육경력 8년차의 화학교육 을 전공한 교사가 지도하였다. 교육 경험과 배경이 다른 두 교사가 지도하였기 때 문에 지도 교사의 지도 방식의 차이에 따른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에 교사에 따 른 차이를 통제하기 위하여 연구자 2인이 처치 교사 2인의 오리엔테이션과 연습 차시, 협동학습 본 수업을 참관하면서 협동학습이 협동학습 활동지와 수업 지도안 에서 계획한 내용과 시간대로 진행되는지를 점검하고 수업 후에는 처치 교사가 수 업하는 동안 어려움은 없었는지 등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논의하였다.
수업 지도안 / 학습 자료 준비
면담 전사, 결과 분석 오리엔테이션(1) / 연습(1)
수업 처치(12) 통제, 협동학습(이질/동질)
사후 검사, 면담 선행 연구 결과 검토
교과서 내용 분석
<검사지 개발과 선정>
∙ 집단주의 성향 검사지 ∙ 학업 성취도 검사지 ∙ 과학 학습 동기 검사지 ∙ 과학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
검사지
∙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 교사 workshop 검사지
사전 검사 / 조편성
<그림 I-2> 연구 절차
처치가 모두 끝난 후, 학업 성취도, 과학 학습 동기, 과학 수업 환경에 대한 인 식을 사후 검사로 실시하였다. 이때 협동학습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협동학습에 대 한 인식을 설문으로 조사하였으며, 협동학습 전반에 대한 인식을 심층적으로 알아 보기 위해 일부 학생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