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연구 결과와 논의
3.5 협동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지켜야 할 것(Chen et al., 1998)으로 받아들이는 것으로 보인다. 다음은 학생들과의 면담 사례이다.
학생 H2 (동질 집단, HC 수준, 성취 수준 하위, 여학생)
면 담 자 협동학습 하기 전 과학 수업에서 조 활동할 때 조 활동 규칙 같은 것이 있었나요? 학 생H 2 그런 거 없고. 그냥 실험 시간에 이런 거 있으면 뜨거우니까. 그냥 조심하라고 그런
말 밖에 안 해요.
면 담 자 지금처럼 조 활동 규칙이 있는 것은 도움이 되었나요?
학 생H 2 네. 자료 찾고 아이들하고 얘기하면 모르는 것도 알 수 있으니까 좋잖아요. 또, … 조 원끼리 서로 모르는 것에 대해 질문도 하고….
학생 O (동질 집단, LC 수준, 성취 수준 상위, 여학생)
면 담 자 조활동 규칙이 필요했나요?
학 생 O 네, 웬만하면 애들이 이거(조활동 점검표) 제대로 체크할려고라도 해서 조활동 규칙 웬만하면 잘 지키려고 했어요.
한편, 이질 집단의 경우 HC 수준보다 LC 수준의 학업 성취도 점수가 낮았던 것은 이질 집단에서 집단주의 성향 수준에 따른 과제 지향성 영역 점수에 대한 일 원 변량 분석 결과, LC 수준의 점수(교정 평균, 3.35)가 HC 수준의 점수(교정 평균, 3.63)보다 낮은 경향성(p=.101)이 있는 것과 대체로 일치한다. 이는 이질 집단에서 LC 수준 학생들이 HC 수준 학생들보다 협동학습 활동지를 해결하기 위한 과제 관 련 대화를 더 적게 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친화성 영역에서 이질 집단에서 HC 수준 학생의 교정 평균(3.64)보다 LC 수준 학생의 교정 평균(3.25)이 낮았고,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므로(MS=5.59, F=11.11, p=.001), 이질 집단에서 LC 수준 학생들은 조원들 간의 친근감을 높일 수 있는 긍정적인 상호작용보다는 부정 적인 상호작용이 많았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결과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서는 협동학습을 하는 동안 학생들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 다.
다. 협동학습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의 비율은 집단주의 성향 수준에 관계없 이 거의 비슷했다. 협동학습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들은 대부분 초등학교 과 학, 수학, 사회 등의 수업에서 조활동을 했었다고 답했으나 이 연구와 같은 협동학 습을 경험한 학생은 극소수였다.
협동학습을 한다는 말을 처음 들었을 때보다 협동학습을 하고 난 후 협동학습 이 ‘좋아졌다’고 응답한 학생의 비율은 집단주의 성향 수준과 무관하게 모두 증가 (HC: 53.1%→70.4%, LC: 38.7%→53.3%)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협동학습이 ‘싫어 졌다’고 응답한 학생의 비율(23.9%)도 증가했는데, 특히 이질 집단에서 LC 수준 학 생의 경우에 ‘싫어졌다’는 응답 비율(43.3%)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이질 집단에서 LC 수준 학생의 학업 성취도가 HC 수준 학생의 학업 성취도보다 낮게 나온 것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협동학습이 처음보다 ‘좋아졌다’고 응답한 경우, 학생들은 스스 로 평가를 하거나 규칙을 정하여 활동한 점 등이 좋았다고 했고, 이에 비해 협동학 습이 처음보다 ‘싫어졌다’고 응답한 경우는 말하기가 힘들고 귀찮아졌다거나 계속 하니까 지루함을 느낀 점 등의 이유를 들었다.
학생들이 좋아하는 역할은 자료관리자(36.5%), 기록자(31.7%), 조장(23.8%), 질문 자(7.9%) 순으로 나타났다. ‘자료관리자’가 좋다고 응답한 학생들은 실험기구를 먼 저 만질 수 있고 조원의 참여도를 평가하여 스티커를 주는 일이 좋았다고 했으며,
‘기록자’가 좋다고 한 경우는 기록을 하면 공부가 잘 되기 때문이라고 응답했다.
‘조장’이 좋다고 응답한 경우는 집단별로 다소 차이를 보였는데, 이질 집단에서 HC 수준 학생의 경우 조장 역할을 통해 리더십을 기를 수 있다는 응답이 많았던 반면, 이질 집단에서 LC 수준 학생의 경우 조장이 편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집단주의 성 향 수준과는 무관하게 ‘질문자’ 역할이 좋다고 응답한 학생의 비율이 가장 낮았는 데, 학생 면담 결과 학생들은 질문을 만드는 것을 어려워하고 수업 중에 선생님께 공개적으로 질문하는 행동 자체를 쑥스러워함을 알 수 있었다.
매 시간 역할 점검이나 조 활동 점검을 한 결과를 보고 다음 수업을 할 때 더 잘하기 위해 노력했는지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한 비율은 다른 집단에 비해 동질 집단의 HC 수준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65.6%). 협동적이고 상호의존적인 성향이 강한 학생들로 구성된 동질 집단의 HC 수준 학생들은 역할 점검이나 조 활동 점 검 자체에 의미를 부여하여 긍정적으로 생각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표 I-12> 집단주의 성향 수준에 따른 이질/동질 집단의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 검 사 문항별 응답 빈도(%)
문항 보기
집단주의 성향 상위(HC) 집단주의 성향 하위(LC) 이질
(n=32)
동질 (n=32)
계 (n=64)
이질 (n=30)
동질 (n=32)
계 (n=62) 협동학습 경험 있다 11(34.4) 6(18.8) 17(26.6) 9(30.0) 8(25.0) 17(27.4)
없다 21(65.6) 26(81.2) 47(73.4) 21(70.0) 24(75.0) 45(72.6) 협동학습을 한다는
말을 들었을 때
매우 좋았다 6(18.8) 5(15.6) 11(17.2) 4(13.3) 3( 9.4) 7(11.3) 좋았다 13(40.6) 10(31.2) 23(35.9) 7(23.3) 10(31.2) 17(27.4) 그저 그랬다 13(40.6) 13(40.6) 26(40.6) 16(53.3) 12(37.5) 28(45.2) 안 좋았다 - 3( 9.4) 3( 4.7) 3(10.0) 5(15.6) 8(12.9) 매우 안 좋았다 - 1( 3.1) 1( 1.6) - 2( 6.2) 2( 3.2)
협동학습 후
매우 좋아졌다 17(53.1) 11(34.4) 28(43.8) 5(16.7) 8(25.0) 13(21.0) 약간 좋아졌다 6(18.8) 11(34.4) 17(26.6) 10(33.3) 10(31.2) 20(32.3) 처음과 비슷했다 4(12.5) 7(21.9) 11(17.2) 2( 6.7) 6(18.8) 8(12.9) 약간 싫어졌다 5(15.6) 3( 9.4) 8(12.5) 12(40.0) 6(18.8) 18(29.0) 매우 싫어졌다 - - - 1( 3.3) 2( 6.2) 3( 4.8) 좋아하는 역할
조장 10(31.2) 7(21.9) 17(26.6) 6(20.0) 7(21.9) 13(21.0) 기록자 8(25.0) 11(34.4) 19(29.7) 10(33.3) 11(34.4) 21(33.9) 자료 관리자 12(37.5) 11(34.4) 23(35.9) 10(33.3) 13(40.6) 23(37.1)
질문자 2( 6.2) 3( 9.4) 5( 7.8) 4(13.3) 1( 3.1) 5( 8.1)
역할 점검,조 활동 점검 후 노력했다
매우 그렇다 6(18.8) 6(18.8) 12(18.8) 4(13.3) 7(21.9) 11(17.7) 그렇다 10(31.2) 15(46.9) 25(39.1) 13(43.3) 11(34.4) 24(38.7) 보통이다 13(40.6) 11(34.4) 24(37.5) 9(30.0) 11(34.4) 20(32.3) 그렇지 않다 2( 6.2) - 2( 3.1) 1( 3.3) 3( 9.4) 4( 6.5) 매우 그렇지 않다 1( 3.1) - 1( 1.6) 3(10.0) - 3( 4.8) 조점수로 개인을
평가하는 방법
매우 좋다 7(21.9) 6(18.8) 13(20.3) 1( 3.3) 8(25.0) 9(14.5) 좋다 11(34.4) 9(28.1) 20(31.2) 8(26.7) 5(15.6) 13(21.0) 그저 그렇다 7(21.9) 9(28.1) 16(25.0) 12(40.0) 12(37.5) 24(38.7)
싫다 3( 9.4) 5(15.6) 8(12.5) 4(13.3) 5(15.6) 9(14.5)
매우 싫다 4(12.5) 3( 9.4) 7(10.9) 5(16.7) 2( 6.2) 7(11.3)
토의에 대해 만족
매우 그렇다 6(18.8) 6(18.8) 12(18.8) 6(20.0) 9(28.1) 15(24.2) 그렇다 12(37.5) 6(18.8) 18(28.1) 10(33.3) 12(37.5) 22(35.5) 보통이다 10(31.2) 15(46.9) 25(39.1) 6(20.0) 5(15.6) 11(17.7) 그렇지 않다 3( 9.4) 2( 6.2) 5( 7.8) 7(23.3) 6(18.8) 13(21.0) 매우 그렇지 않다 1( 3.1) 3( 9.4) 4( 6.2) 1( 3.3) - 1( 1.6) 토의할 때 갈등이나
의견 대립
매우 많았다 1( 3.1) 6(18.8) 7(10.9) 2( 6.7) 2( 6.2) 4( 6.5)
많았다 8(25.0) 4(12.5) 12(18.8) 2( 6.7) 3( 9.4) 5( 8.1)
보통이다 3( 9.4) 5(15.6) 8(12.5) 11(36.7) 7(21.9) 18(29.0) 없는 편 이었다 14(43.8) 8(25.0) 22(34.4) 12(40.0) 16(50.0) 28(45.2) 전혀 없었다 6(18.8) 9(28.1) 15(23.4) 3(10.0) 4(12.5) 7(11.3) 협동이 잘 된 조원
있다 19(59.4) 25(78.1) 44(68.8) 16(53.3) 18(56.2) 34(54.8) 없다 11(34.4) 6(18.8) 17(26.6) 14(46.7) 14(43.8) 28(45.2)
무응답 2( 6.2) 1( 3.1) 3( 4.7) - - -
협동이 잘 안 된 조원
있다 10(31.2) 11(34.4) 21(32.8) 11(36.7) 11(34.4) 22(35.5) 없다 22(68.8) 19(59.4) 41(64.1) 19(63.3) 21(65.6) 40(64.5)
무응답 - 2( 6.2) 2( 3.1) - - -
조점수로 개인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하여 긍정적인 응답은 HC 수준 학생의
경우(51.6%)보다 LC 수준 학생의 경우(35.5%)에서 다소 낮게 나타났다. 이는 만족
감 영역 점수에 대하여 집단주의 성향 수준에 따라 이원 변량 분석을 한 결과, LC 수준 학생의 평균(3.56)이 HC 수준 학생의 평균(3.74)보다 낮은 경향성(p=.075)과 일 치하는 결과이다.
학생 M(동질 집단, LC 수준, 성취 수준 상위, 남학생)
면 담 자 조점수를 수행평가에 넣는다고 할 때 마음이 어땠었는지 솔직하게 이야기해 줄 수 있 어요?
학 생 M 조금 안 좋았어요.
면 담 자 음…. 어떤 식으로 안 좋았어요? 학 생 M 혼자 잘해도 딴 애들이 안하면 끝이니까.
학생 E (동질 집단, HC 수준, 성취 수준 상위, 남학생)
면 담 자 수행평가에 개인퀴즈점수로 하는 것과 조점수로 하는 것은 내신 성적에 영향이 있지 않나요?
학 생 E 물론 영향이 없지 않아 있는데 그게 우리들은 어차피 팀활동 점수로 하게 되어있고 여기서 불만을 표현한다거나 그런 것 까지는 없고요. 그냥 내신점수에 반영이 되더라 도 이게 우리조만 그런 게 아니라 다른 조도 그런 거고, 우리조가 그만큼 다른 애들 을 챙겨주지 못하고 자기이익만 생각한다는 거고, 내신도 어떻게 보면 그렇게 다른 사람을 배려하고 그런 것도 포함되야 한다고 생각하거든요.
위의 면담 사례로 보아 동질 집단의 LC 수준 학생들은 협동학습에서의 평가 방법에 대한 불만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동질 집단의 LC 수준에서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은 성취도가 낮은 조원 때문에 자신의 성적이 낮아지는 것에 대해 불 만이 컸으며, 조점수를 공개하는 것도 불편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비 해 동질 집단의 HC 수준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교사의 평가 방법에 대하여 긍정적 으로 생각하며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까지도 포함하는 것을 좋다고 생각하는 학생 도 있었다.
토의에 대해 만족하는지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은 HC 수준 학생의 경우(46.9%) 보다 LC 수준 학생의 경우(59.7%)에 더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의 설문 응답 사례를 보면, HC 수준 학생들의 경우에는 친구의 의견을 존중했을 때, 역할 분담이 잘 되 었을 때, 이해가 느린 친구도 배려하면서 토의를 진행했을 때 토의가 잘 되었다고
생각하고 있는 반면, LC 수준 학생들은 빠르게 답을 찾았을 때나 토의 결과가 정 답이었을 때 토의가 잘 되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의할 때 갈등이나 의견대립이 ‘매우 많았다’와 ‘많았다’고 응답한 비율은 LC 수준의 학생(14.6%)보다 HC 수준의 학생의 경우(29.7%)에 더 높았다. 학생들이 생 각하는 갈등이나 의견대립은 주로 활동지의 문제를 해결할 때와 토의에 집중을 하 지 않고 떠들 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HC 수준 학생들보다 LC 수준 학생들의 경우에 개인 의견을 앞세우는 것을 갈등의 원인으로 제시한 사례가 더 많았다. 학생들은 갈등이나 의견대립이 있을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생님께 질문 하거나 교과서를 찾아보는 것 이외에 한번씩 더 생각해 보거나 이유를 물어보고 친구의 의견을 존중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등이나 의견대 립이 없었던 경우는 그냥 서로 양보를 하거나 한명의 의견이 맞는 거 같으면 그걸 로 했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예도 있었다.
조에서 자신과 마음이 잘 맞거나 협동이 잘 된 조원이 있었는가에 대하여 ‘있 다’고 응답한 비율은 동질 집단의 HC 수준 학생의 경우에 가장 높았다(78.1%). 학 생들은 협동이 잘 되었다고 생각하는 조원의 예로 자신의 의견에 대하여 맞장구를 쳐주거나 존중하고 배려해 주는 친구를 꼽았다. 한편, 조에서 자신과 마음이 잘 맞 지 않거나 협동이 잘 안된 조원이 있었는가에 대하여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집단 별로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학생들은 협동이 잘 안 되었다고 생각하는 조원의 예로 너무 자신의 의견만 고집하거나 잘난 척 하는 친구, 쓸데없이 엎드리고 투덜 거려서 조원들 모두를 힘들고 지치게 만드는 친구가 이에 해당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다음 면담 사례에서처럼 혼자서만 하려는 학생에 대해서도 다소 이상하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생 N(동질 집단, LC 수준, 성취 수준 하위, 남학생)
면 담 자 협동학습 할 때 문제점이 있었나요?
학 생 N 음… 여기서요 얘들이 있었어요. 근데 재신이는 거의 다 혼자하는 걸 좋아했어요. 면 담 자 자세히 말해주세요.
학 생 N 좀 걸렸어요. 근데 나중에 가면서 괜찮아졌어요.
면 담 자 토의가 잘 안되거나 하는 게 있었나요? 아니면 불만이 있었나요? 학 생 N 불만은 없었죠, 애들이. 그러고 혼자하는 걸 좋아하니까 좀 이상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