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이상의 연구 결과들로부터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효과적인 협동학습을 위한 시 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학습을 위한 소집단 구성을 위해 사전 과학 성적에 따라 이질적, 성 별에 따라 동질적으로 소집단을 구성하면서 동시에 학생들의 집단주의 성향에 따 라서는 동질적인 집단 구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집단주의 성향이 비슷한 학생들 끼리 소집단 활동을 할 때 소집단 활동에 대한 목표와 개인의 목표가 일치하여 성 취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비해 집단주의 성향이 낮은 학생들만으로 구성된 동 질적 소집단이나 이질적 소집단의 경우에는 구성원들의 과학 학습 동기를 향상시 켜 활발한 대화를 촉진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단기적인 교육 성과로 는 집단주의 성향이 동질적인 학생들이 모여 협동학습을 하는 것이 좋겠지만, 장기 적으로는 집단주의 성향이 이질적인 학생들이 모인 집단의 어려움도 발전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측면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생들이 협동학습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와 언어적 상호작용의 빈 도, 선호하는 갈등행동 전략 등 집단주의 성향이라는 창을 통해 알게 된 협동학습 의 메커니즘을 과학학습 지도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HC 수준 학생들은 협동, 조 화, 존중, 배려, 여유를 중요시하고, LC 수준 학생들은 경쟁, 신속함, 정확성, 점수 를 중요시한다. 이러한 가치의 차이로 인해 동질 집단에서 HC 수준 학생들은 서로 질문하고 자세하게 설명해주는 방식으로 만족스러운 협동학습을 하였으나 동질 집 단에서 LC 수준 학생들은 상호작용 유발 빈도가 낮았고 갈등상황에서도 협력보다 는 회피와 경쟁 전략을 사용하였으며, 이질 집단에서는 협동학습이 원활하게 진행 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집단 구성원 간의 활발한 대화와 상호신뢰를 바탕으 로 협동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LC 수준 학생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쟁이나 점수 측면에서 불리하게 작용하지 않는다는 확신을 줄 수 있다면 LC 수준 학생들도 좀 더 여유 있는 자세로 협력 전략을 사용하며 협동학습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학생들을 집단주의 성향 검사에 의해 집단주의 성향 상위 수준과 집단주 의 성향 하위 수준으로 구획하였지만 학생들 내면에는 집단주의 성향 상위와 하위 수준이 모두 내재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고, 학생 개인의 집단주의 성향 수준이 변

화되거나 발전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고 학생들을 지도할 필요가 있다. 협동학습 과정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상호작용 사례는 집단별로 특징적이고 특이한 사례를 제시한 것이다. 이러한 학생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그 학생에 대한 전부를 나타내는 것은 아닌 것이다. 또한, 집단주의 성향 상위 수준이 좋거나 옳고, 집단주의 성향 하위 수준이 나쁘거나 그르다는 가치 판단도 쉽게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이런 측면에서도 지도 교사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넷째, 학생들이 학습을 위한 대화를 할 때의 다양한 기술들을 지도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기와 같이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개별 진술들이 모여 과학적인 개념을 상세화하거나 확장시킬 수 있는 정교화 상호작용이 많이 나 타날 수 있도록 지도하고, 학생 상호간의 의견이 대립하여 갈등이 유발되었을 때 감정적 대응보다는 논리적으로 자신의 생각을 명확하게 표현하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갈등 상황은 부정적인 사회-정서적 상호작용으로 끝나는 경우도 있었고 이는 과학 학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부드러운 말씨로 친화적인 상 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교사의 사전 지도와 세심한 순회 지도가 필요하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연구 과제를 아 래와 같이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과학에서 화학 내용으로 협동학습의 교수 효과를 연구하였으나, 협동학습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연 구 대상, 학습 과제 등으로 다양하기 때문에,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협동학습 상황 을 체계적으로 조직하여 집단 구성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구성원의 집단주의 성향이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매개하는 목표 구 조나 동기와 같은 변인에 대한 분석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인지적 측면에서는 집단주의 성향 측면에서 동질 집단으로 구성하는 것 이 좋으나, 정의적인 측면이나 언어적 상호작용 연구 결과에서는 혼재되어 있다. 즉, 이질 집단 학생들의 경우에 협동학습을 통하여 자신감과 친화성은 향상되었으 나 이질 집단 구성원 중 LC 수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는 통제 집단보다 낮게 나 타났다. 따라서 집단주의 성향 측면에서 동질 집단으로 구성하는 것 이외에 이질 집단 학생들이 협동학습을 통해 성취도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협동학습이 진행되는 동안 이질 집단

내 LC 수준 학생의 학습 상황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면담하는 방법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집단주의 성향이 낮고 개인주의 성향이 높은 학생들은 자신들의 리더십 능력이 다른 학생들에 비해 평균보다 높다고 믿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Triandis,

1995), 학생들의 협동학습 토의 과정에서 이러한 특성이 나타나는지, 이러한 특성이

인지적, 정의적 학습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연구도 필요하다. 또한, 집단주의 성향에 따른 이질 집단과 동질 집단에서 이 학생들이 조장 역할을 할 때와 기록자, 자료관리자, 질문자의 역할을 할 때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조사하 고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로부터 이질 집단에서 LC 수준 학생들의 학습 동 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기대할 수 있다.

넷째, 지식 구성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리학적, 문화적 측면에서의 새 로운 학습자 변인을 찾고 이러한 변인이 직접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학습 내용, 토 론학습 등의 수업 방법을 대상으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협동학습과 같이 구성원들 사이의 상호의존성이 중요한 소집단 활동에서 구성원이 가진 인지 적, 심리적, 문화적 특성은 갈등을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성양경,

2006), 협동학습에서 갈등행동을 유발하는 변인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더 진행

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이 연구는 협동을 목표로 학습 자료 등을 공유하는 LT 모형을 사용한 협동학습에서 집단주의 성향에 따른 집단 구성의 교수 효과와 언어적 상호작용을 조사하였으므로, 집단 사이의 경쟁이 강조되는 STAD 모형 등 다른 협동학습 모형 을 적용한 과학 수업에서 집단주의 성향에 따른 집단 구성의 교수 효과와 상호작 용도 연구할 필요가 있다. 특히, 갈등행동의 빈도가 낮게 나타났으므로 갈등행동이 더욱 유발될 수 있는 과학탐구과정이나 사회적 합의 형성을 강조한 개념 학습에서 집단주의 성향에 따른 집단 구성을 이질적, 동질적으로 했을 때 학생들 사이의 언 어적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여섯째, 전달된 메시지 안에 의미가 포함된 분명하고 직접적인 메시지를 사용 하는 저맥락 대화 유형은 개인주의적인 문화에서, 사람이나 사회문화적인 맥락에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 암시적이고 간접적인 메시지를 사용하는 고맥락 대화 유형 은 집단주의적인 문화에서 사용되므로(Gudykunst et al., 1988), 과학 협동학습 과정

에서 학생들의 대화 유형을 이에 따라 분석하고 어떤 경우에 오개념이 낮고 과학 학습에 효과적인지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본 연구에서는 Oetzel(1998b)의 갈등행동 분석틀을 수정하여 과학 협동 학습에서 학생들 사이의 갈등행동을 분석하였으나 다른 이론적 관점에서의 갈등행 동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Holt와 DeVore(2005)는 순조로움, 기권, 타협, 문제해결, 강제의 다섯 가지 갈등관리 유형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갈등관리 유형이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문화 간, 남성과 여성 간, 조직 내 역할에 따른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제안하였으므로 과학학습을 위한 더 나은 지도 방향을 얻기 위하여 이 와 같이 다양한 측면에서 협동학습에서의 갈등행동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집단주의 성향과 동기, 개성, 정서지능, 장의존-장독립과 같은 심리적인 변인들과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조사하고 이들이 과학 협동학습과 같은 과학학습에 서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특 히 정서 지능과 같은 변인은 소집단의 응집성과 수행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Rapisarda, 2002), 집단주의 성향과 정서 지능과의 관계와 더불어 협동학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참 고 문 헌

강석진 (2000). 토론 과정에서 사회적 합의 형성을 강조한 개념 학습 전략: 교수 효

과 및 소집단 토론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강인애 (1997). 왜 구성주의인가? : 정보화 시대와 학습자 중심의 교육환경. 서울: 문음사.

고한중, 이은진, 강석진 (2013). 학생들의 집단주의 성향에 따른 협동학습 전략의 효

과. 대한화학회지, 57(3), 389-397.

곽영순 (2001a). 과학교사들이 진단한 과학과 협동학습의 실태. 한국지구과학회지,

22(5), 360-376.

곽영순 (2001b). 구성주의 인식론의 이론적 배경. 한국지구과학회지, 22(5), 427-447.

교육과학기술부 (2011a). 과학과 교육과정(별책 9).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 361호.

교육과학기술부 (2011b).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육과정(별책 3). 교육 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김경순 (2005). 화학 개념 학습에서 협동적 CAI와 상호동료교수적 CAI의 효과: 개

념 이해와 언어적 상호작용.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선자, 김기한, 박종석, 박종욱 (2007). 성별 소집단 구성에 따른 상호작용 사례 연

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7), 559-569.

김정일, 김범기 (2004). 중학생의 과학 실험 수업에서 소집단 구성 크기가 과학 탐

구 능력과 과학 태도에 미치는 효과.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14(1), 68-82.

노태희, 김경순, 윤선애, 한재영 (2004). 과제 지향 보상을 활용한 협동학습에서 소

집단 활동 점검 과정이 중학교 과학 수업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지, 24(5), 843-850.

노태희, 박수연, 임희준, 차정호 (1998). 협동학습 전략에서 소집단 구성 방법의 효

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1), 61-70.

노태희, 서인호, 한재영, 전경문, 차정호 (2000a). 협동학습에서 학생의 의사소통 불

안에 따른 소집단 구성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174-182.

노태희, 차정호, 전경문, 정태호, 한재영, 최용남 (1999). 개념학습에 적용한 협동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