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집단주의 성향의 개념과 특징

3. 문화적 차원과 집단주의 성향

3.3 집단주의 성향의 개념과 특징

인간 행동은 사람과 물리적․사회적 환경 사이의 함수로, 사람마다 타인, 사회적 환경과의 통합(integration) 정도가 다르다. 어떤 사람들은 타인을 고려하지 않고 자 신의 일만을 하며, 집단으로부터 독립된 자아를 정의하고 개인으로서 존재한다. 이 들은 혼자의 힘으로 살아갈 수 있다고 믿는다. 반면에 어떤 사람들은 타인의 즐거 움뿐만 아니라 문제도 공유하며, 자아를 집단의 측면에서 보고 집단에서 개인을 드 러내지 않는다. 이들은 집단이나 공동체를 생존을 위한 기본 단위로 여긴다. 전자 를 개인주의자, 후자를 집단주의자라고 명명할 수 있다(Hui, 1988).

Triandis 등(1985)은 개인주의-집단주의를 심리적인 영역으로 확장하였다. 일리

노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요인 분석 결과, 개인적 목표를 집단 목표에 종속, 자 아의 확장으로서의 내집단, 내집단 정체성의 세 가지 측면이 확인되었다. 보상을 분배할 때 개인주의자는 공정함을, 집단주의자는 평등과 필요를 기준으로 하였다. 또한, 개인주의자는 편안한 생활, 경쟁, 즐거움, 사회적 인식의 가치를 강조하고, 집 단주의자는 협동, 평등, 정직의 가치를 강조하였다. 개인주의자는 성취동기, 소외, 무질서, 외로움을 더 많이 가지고 있었고, 집단주의자는 질적으로 우수한 사회적 지지를 더 많이 받았다.

Triandis(1995, 1996)는 개인주의와 집단주의를 다음 네 가지 특성을 가지고 정

의하였다.

∙ 자아 개념: 개인주의자는 개인을, 집단주의자는 집단을 기준으로 사회적인 공 간을 나눈다. 개인주의자의 자아는 자율적이고 집단으로부터 독립적이며

(Reykowski, 1994), 집단주의자의 자아는 집단 구성원들과 상호의존적이다

(Markus & Kitayama, 1991).

∙ 목표 구조: 개인주의자는 개인의 목표와 내집단의 목표가 양립할 수 없다고 간주하고, 두 목표 사이에 차이가 생기는 경우 개인의 목표를 우선시한다. 집 단주의자는 개인의 목표를 내집단의 목표와 양립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두 목표 사이에 차이가 생긴다면 내집단 목표를 우선시한다(Schwartz, 1990, 1992, 1994; Triandis, 1988, 1990).

∙ 행동은 규준과 태도의 함수: 여러 가지 상황에서 사회적 행동을 결정할 때 개인주의자는 규준보다 태도를 중요시하고, 집단주의자는 태도보다 규준을 중 요시하여 결정한다(Bontempo & Rivero, 1992; Miller, 1994).

∙ 내집단의 요구나 사회적 교환을 중시: 개인주의자는 관계의 이익과 비용에 주목하여, 이익보다 비용이 크면 관계를 끊는다. 집단주의자는 내집단 구성원 들의 요구에 주목하여, 개인의 관점에서 비용을 치러야하지만 내집단 관점에 서 바람직하다면 관계를 지속시킨다. 일반적으로 개인주의자는 교환 관계와 관련 있고, 집단주의자는 공동 관계와 관련 있다(Mills & Clark, 1982).

Hui와 Triandis(1986)는 집단주의를 사람 사이의 관계와 관련된 느낌, 감정, 신 념, 이데올로기, 행동 양식이라고 주장하였고, 심리학자와 인류학자 46명을 대상으 로 개인주의-집단주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들이 중요하다고 응답한 주제 를 <표 7>과 같이 정리하였다(Triandis et al., 1985).

<표 7>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중요한 주제들(Triandis et al., 1985)

개인주의 집단주의

개인이 행동을 조절 내집단이 행동을 조절

자기만족 상호의존적

내집단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가 무관 내집단의 목표에 개인의 목표를 종속시킴

내집단 대립도 유익할 수 있음 내집단의 조화가 중요

범죄가 조절 수치심이 조절

개인적 운명 내집단과 공동 운명체라고 느낌

개인이 심리학적 영역의 중심 내집단이 심리학적 영역의 중심

자아는 내집단과 차별적임 내집단은 자아의 확장

개인주의 성향인 사람은 자신의 목표 달성을 위하여 자기중심적이고, 개인적 정체성을 강조하고, 내적인 능력, 생각, 느낌을 강조한다. 반면에 집단주의 성향인 사람은 타인의 목표를 촉진하여 집단 지향적이고, 집단적 정체성, 외적이고 공공적 인 역할과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Moon, 2005; Wink, 1997). Moon(2005)은 개

인주의와 집단주의의 특징과 요소에 대한 몇 가지 주장들을 <표 8>과 같이 정리하 였다.

<표 8>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의 특징과 요소(Moon, 2005)

개인주의 집단주의

Gelfand et al., 1996;

Kim et al., 1994;

Triandis, 1989, 2001;

Triandis et al., 1993;

Triandis & Suh, 2002

내집단으로부터의 감정적 분

태도와 비용/이익 계산에 의 한 행동 조절

동의하지 않는 내집단 구성원 과도 기꺼이 대면함

독립성, 자기의존성

자신을 변화시키기보다 환경 을 바꾸려고 노력함

내집단의 목표보다 개인의 목 표를 우선함

타인과 차별을 두고 자율적으 로 행동함으로써 독립적임

중심적 역할과 윤리적인 기초 로서 개인적인 권리를 사용

내집단에 대한 감정적 의지

내집단 규칙에 의한 행동 조

내집단의 조화를 강조

내집단의 권위 수용

복종, 의무, 협동, 상호의존성

환경을 바꾸기보다 자신을 변 화시켜 그것에 맞추려고 노력

개인적 목표와 내집단 목표 간의 차이가 없고, 차이가 있 다면 공동체의 목표에 개인의 목표를 종속시킴

가족이 가장 중심적 역할을 하고 모든 조직의 모범이 됨 Tafarodi, Lang, &

Smith, 1999;

Tafarodi & Swann, 1996; Tafarodi &

Walters, 1999

선택과 행동에서 자율성

사회적 자기 주장성

자기 충족, 고립, 독립, 분명 한 계약

공동체보다 자기를 우선함

유대감, 상호 복종, 타협

복잡하게 얽혀 조화를 이룸, 상호의존적, 맥락화

공동체의 목표에 개인의 목표 를 종속시킴

Ho & Chiu, 1994

개인의 본질적 가치

자기 주장성 또는 자율성

개인적 판단과 결정

불순응, 주장, 갈등

자기 의존

행복에 대한 개인적 책임

그룹이나 공동체의 우월성

공동체의 가치나 생존이 개인 의 그것보다 앞선다는 원리

사회 규칙에 순응, 유연성,

상호의존성, 협력

개인의 행복은 집단의 행복에 의존

Markus와 Kitayama(1991)는 개인주의의 특성으로 독립적 자아해석 (independent construal of the self)이라는 용어를 사용했고, 집단주의의 특성으로 상호의존적 자아해석(interdependent construal of the self)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이들은 다음 <표 9>와 같이 자아 개념에 대한 독립적 관점과 상호의존적 관점을 비교하고, 이러한 다른 관점이 어떻게 인지, 감정, 동기의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주 는지를 알아보았다.

<표 9> 독립적 자아해석과 상호의존적 자아해석의 주요 차이점(Markus &

Kitayama, 1991)

독립적 자아해석 상호의존적 자아해석

정의 사회적 맥락으로부터 분리 사회적 맥락과 연결

구조 묶인, 단일, 안정 유연, 다양

중요한 점 내재적, 개인적(능력, 생각, 감정) 외부적, 공공적(지위, 역할, 관계)

과제

유일무이한 자아를 표현

내적인 속성을 자각하는 자신의 목표를 촉진하는

직접적인: “네 생각이 무엇인지를 말하라

소유물, 적합한

누군가의 적합한 장소를 차지하는 적절한 활동에 관여하는

타인의 목표를 촉진하는

간접적인: “타인의 마음을 읽어라

타인의 역할

자기 평가(self-evaluation): 사회적 비교, 반성적 업적평가를 위해 타 인이 중요

자기 정의(self-definition): 자기를 정의하는 특정 맥락에서 타인과의 관계

자아 존중감1 근거

자기를 표현하고, 내적인 속성을 확인하는 능력

사회적 맥락에서 조화를 유지하고 자아를 순응시키고 재교육하는 능

그림

자아

친구 친구

동료 형제자매

자아

친구 친구

동료

형제자매

자아

1 자아 존중은 주로 서양에서 나타나는 현상일 수 있고, 자아 존중감의 개념은 자기 만족감 으로 대체되거나, 문화적으로 통제되는 과제를 완수했을 때의 인식을 반영하는 용어로 대체 될 수 있다.

Bloom(1984)은 동일한 윤리 문제에 대한 응답이 타이완 사람과 홍콩 사람은 비슷하게 나타났고 미국인의 응답은 이들과 달랐다고 보고했다. 이는 응답자가 독 립적 자아를 가졌는지 또는 상호의존적 자아를 가졌는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것 이며, 독립적 자아는 자신의 내적인 속성을 표현하며, 상호의존적 자아는 사회적인 맥락에서 조화를 유지하고 자아를 순응시킨다(Markus & Kitayama, 1991).

Alavi와 McCormick(2004)은 개인주의-집단주의적인 문화에서 자아해석의 연구

를 위해 개발되었던 틀(Markus & Kitayama, 1991; Triandis, 1995; Triandis &

Gelfand, 1998)을 <표 10>과 같이 수직적이고 수평적인 개인주의 성향과 집단주의 성향이라는 용어로 개념화하였다.

<표 10> 팀 맥락에서 집단주의 성향의 다른 영역들(Alavi & McCormick, 2004)

독립적 자아 상호의존적 자아

수직적 자아

수직적 개인주의(vertical idiocentrism) : 자아를 다른 팀 구성원과는 독립적이 고 더 우월하다고 인식

수직적 집단주의(vertical allocentrism) : 자아를 다른 팀원과 상호의존적이고 팀에 복종하는 존재로 인식

수평적 자아

수평적 개인주의

(horizontal idiocentrism)

: 자아를 다른 팀 구성원과는 독립적이 고 비슷하다고 인식

수평적 집단주의 (horizontal allocentrism)

: 자아를 다른 팀원과 상호의존적이고 비슷하다고 인식

한규석과 오점조(1993)는 초등학교 6학년 312명 중에서 집단주의 성향 검사 결 과 상위 약 20%에 해당되는 남녀학생 각 30명씩을 두레 성향자로, 하위 약 20%에 해당되는 남녀학생 각 30명씩을 홀로 성향자로 선발하여 아동들이 일상생활을 하 면서 가졌던 10개의 교류 일화를 가지고 가설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 두레 성향 자는 내집단과 교류할 때 자기노출을 많이 하고, 만났을 때 화를 내는 일이 적고, 만남에서 만족하는 경향이 외집단과의 교류시보다 강했다. 반면 홀로 성향자는 내 외집단에 대한 구별이 두레 성향자만큼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Hui와 Triandis(1986)는 46명의 심리학자와 인류학자를 대상으로 개인주의자와

집단주의자가 여러 가지 상황에서 어떻게 반응할지를 상상하게 하는 질문에 대한 답을 하도록 하여 개인주의자와 집단주의자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