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 제언

본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샘플이 대부분이 학생이라는 점과 여성만 참여 했다는점 에서 모집단을 설명하는 대표성이 떨어진다. 또한 자극물로 사용한 슈즈오 프프레이가 여성 신발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성별에 대한 차이를 밝힐 수가 없었다. 본 연구는 자신이 평상시에 가지고 싶었던 구두를 디자인 하 라는 상황에서 진행되어 특정 상황을 고려하지 못했다. 다양한 직업과, 연령, 성별을 대상으로 웨딩, 졸업과 같은 특별한 상황에서의 디자인 했을 때 어 떻게 달라지는지에 대 후속연구를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본 연구는 커스터마이제이션의 자극물을 신발로 정하였는데, 신발은 모든 소비재를 대신할 수는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신발은 기 본적인 발바닥 틀을 가지고 사이즈와 디자인을 변형하여 생산하는데, 옷에 비해서 기본적 패턴이 단순하기 때문에 커스터마이제이션이 용이한 패션 아 이템이라고 할 수 있다. 남성 드레스 셔츠의 경우도 신발과 마찬가지로 원 형 패턴에서 사이즈, 소재, 색상, 칼라, 소매, 주머니 등을 변형하는 모듈생 산이 가능한 패션 아이템으로 커스터마이제이션이 비교적 용이하다. 이 밖 에 다른 패션 아이템은 기본 원형에서 변형할 수 있는 수 많은 경우의 수가 존재하여 커스터마이제이션이 로 형태를 커스터마이제이션의 과정이 비교적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아이템의 커스터마이제이션에 대한 소비자 행

97

동에 대한 후속 연구를 진행해 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세 번째, 소비자의 개인차 변수에 의한 조절 변수가 본 연구에서는 밝 히지 않았으나, 조절변수를 찾아 커스터마이제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에게 실무적 도움을 제공해 줄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소비자의 유형에 따른 커스터마이제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보여 진다. 특히 밀레니얼 세대는 자신의 제품을 생산하고, 본인의 아이디어를 공 유하고자 하는 성향이 강하기 때문에 밀레니얼 세대와 X, Y 세대와의 비교 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98

제4장 연구 2: 큐레이션

본 장에서는 개인화서비스인 큐레이션이 소비자의 행복감과 기업태도 및 행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프라이버시 패러독스와 프라이버시 계산 이론을 중심으로 큐레이션에 대한 소비자의 인 지적 반응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가설과 연구모델을 제안하였다. 또한 설문을 통한 실증 연구를 실시하여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얻고자 하였다.

추가적으로 큐레이션 기반의 기업의 인지된 지속가능성이 행복감에 미 치는 영향과 큐레이션의 특성과 기업의 인지된 지속가능성과의 관계를 밝히 고자 하였다.

제1절 큐레이션과 행복감

본 절에서는 큐레이션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큐레이션을 받은 소비자는 자신의 구매의사결정 과정을 축소해주는 큐레이 션의 편의성을 인지하는 동시에 자신의 개인화 된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노 출해야 하는 개인정보의 침해에 대한 우려를 동시에 가지게 된다. 이에 대 한 자세한 고찰을 통해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받는 소비자의 행복감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