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성을 이루고 있는 하위 차원에 대한 논의는 학자, 글로벌 기구 에 의해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지속가능성은 환경적, 경제적, 사 회적 차원인 세 차원(TBL: Triple Bottom Line)으로 구성된다고 보는 시각이 일반적이다(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2005). TBL의 세 가지 차원은 상호 연관적이며, 차원끼리는 서로 다양한 방법으로 영향을 준다(Daly, 1973;
Elkington & Robins, 1994). Crane & Matten(2004)은 기업의 지속가능성은 경제, 환경, 사회적인 면을 고려하여 자연환경과 사회 시스템을 장기적으로 유지
42
및 관리하는데 있다고 주장하였다. 세 차원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찰은 다 음과 같다.
(1)
환경적 지속가능성지속가능성의 개념이 환경문제에 대한 사람들의 의식이 높아지게 되면 서 시작된 만큼 환경적 지속가능성은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Delmas
& Pekovic, 2013). Daly(1973)는 환경적 차원은 지속가능성의 궁극적 수단이며
근간이 된다고 주장하였다. 환경적 차원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정의는 몇몇 의 학자에 의해서 내려졌다. Gray &
Bebbington
(2001)는 환경에 대한 기업의 입장을 개선하고자 전략을 수립 및 시행하면서 동시에 환경 보존을 위해 지 속적으로 시스템을 개선하고 효과적인 관리를 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또 한 정헌배(1995)는 기업이 가진 고유한 산업활동으로 인해 발행되는 환경훼 손을 최소화하고 환경을 위해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기업에게 요구되는 지속가능성의 환경적 차원의 수준은 환경문제에 대한 사 람들의 인식과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더욱 높아졌을 뿐만 아니라, 실제적으 로 환경문제에 대한 글로벌 환경규제가 강화되었다. 예를 들어, 1997년 교토 의정서(Kyoto protocol)가 기후변화협약 제 3차 당사국총회에서 채택됨으로써, 기업은 온실가스 총 배출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이산화탄소 배출 절감을 위 해서 반드시 실제적인 참여를 해야 한다(Talay & Yoon, 2013). 환경보존에 대 한 사람들의 높은 관심뿐만 아니라 규제도 강화되는 현 시점에서, 기업은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해서 환경윤리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전략을 수립하는 것은 필수 불가결한 것으로 보인다(윤대혁, 2011; McDonald & Oates, 2006).
산업의 내재된 속성상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은 불가피하다고 보여진다.
패션제품은 제작 단계부터 폐기단계까지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친환경 소
43
재를 쓴다고 하더라고 목화를 재배하거나 누에를 기르는 과정에서 중금속과 농약으로 생태계를 오염시킨다(신근정, 2009).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해마다 늘어나는 의류쓰레기는 환경에 적지 않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패션제품은 사람이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의식주 중 한 요소 로 패션제품의 소비는 불가피할 뿐만 아니라 의복은 착장자의 정체성을 드 러낼 수 있는 의사소통의 도구이기도 하기 때문에 패션 제품에 대한 소비는 앞으로도 존재할 것이다. 그 동안에 패션기업의 환경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노력으로는 천연소재 사용, 헌 옷 수거 및 재판매, 업사이클링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환경보호 및 유지를 위한 노력의 결과물은 크게 반응적 업적, 예방적 업적, 치유적 업적 세 가지로 나누어 평가할 수 있다(이진규, 1995).
반응적 업적은 기업이 환경 보호를 위한 법적 기준에 순응하는 것을 의미하 고, 치유적 업적은 과거 생태계 훼손을 치유하고 보상하려는 것을 의미한다.
예방적 관점은 기업이 자사의 활동이 환경에 미치게 될 문제를 미리 예측하 여 책임지는 방향으로 노력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 속가능한 발전은 하기 위해서는 바로 예방적 관점이 중요하다(이진규, 1995).
그 동안 기업의 환경적 차원을 평가는 친환경 제품을 생산하는지, 산업 폐기물을 감소했는지, 물 사용량, 이산화 탄소 배출량, 재생에너지 개발과 이용, 에너지 절약 등으로 해 왔다(차근호, 1994, ISO, 2010; Savitz & Weber,
2006; Schmidheiny, 1992). 그러나 이 같은 차원의 평가는 반응적 업적이며, 앞
으로는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 및 서비스가 환경의 예방적 관점에 적합한지 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화 서비스가 환경 의 예방적 관점에서 어느 정도 지속가능성을 가지는지 인지했을 때 소비자 의 감정, 태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밝히고자 한다. Pedersen,
Gwozdz, & Hvass(2016)은 소비자가 기업이 환경오염에 책임감을 인지하고 환
경개선에 목표를 둔다고 인지했을 때, 기업이 경제적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44
평가한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특정 기업이 환경적 책임 지각이 높을수록 기업 신뢰가 높아지며 고객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 결과도 존 재한다(박종철 & 이광현, 200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소비자가 인지할 때, 소비자는 태도,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하고 이들의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2)
경제적 지속가능성경제적 지속가능성은 기업이 장기간 존속할 수 있도록 경영하고 있는지 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재무적 성과와 기업이 가진 경쟁력의 유무 로 평가한다(Konrad, Steurer, Langer, & Martinuzzi, 2006). 기업은 자사가 속한 산업 분야에서 장기간 생존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부분이 이 바로 경제적 차원이기 때문에, 사실 경제적 지속가능성은 기업이 존재하기 위한 기본적 인 차원이라고도 볼 수 있다. 경제적 측면에서 지속가능성을 추구하게 되면 더욱 경쟁력이 증대되고, 기업이미지가 향상되며, 장기간 존속하게 될 것이 다라고 여러 보고서나 학자들은 언급하고 있다(지속가능경영원, 2008). 즉 기 업은 자사가 갖추고 있는 경제적 자산을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관리해야 한 다는 것이다.
경제적 차원은 일반적으로 기업이 얼마나 판매를 하여 이익을 창출하였 는지, 투자 대비 이익(ROI: Return of Investment), 시장 점유율 증대 여부, 일자 리 창출 정도 등을 의미하며(Savitz & Weber, 2006), 이와 같이 눈에 보이는 것으로 평가된다. 반면, 가치창출, 품질향상, 핵심역량, 정보투명성 등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것으로도 경제적 차원을 평가하는 연구도 있다(e.g., 윤대 혁, 2011; 이진 & 강현수, 2003; Elkington, 1997; Epstein & Roy, 2003). 예를 들어, 기업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향상하고자 노력하는 것을 소비자가 인지하게 되
45
면 해당 기업에 대해서 호혜성을 지각하게 되며 이는 곧 구매행위를 통해 기업에 보답하고자 하는 동기를 갖게 된다(Goranson & Berkowitz, 1966;
Morales, 2005). 또한 기업이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인지하
게 되면 소비자는 기업에 대한 신뢰가 형성되기도 하며(박종철 & 이광현,
2009), 기업의 경제적 지속가능성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평가한다(Pedersen,
Gwozdz, & Hvass, 2016).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종합해 봤을 때, 경제적 지속가능성은 소비자로서 의 개인과 기업의 구성원으로서의 개인에게 모두 직접적으로 이득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차원이라고 예상해 볼 수 있다. 따라서 경제적 지속가능성은 소 비자의 감정, 태도 및 행동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해 볼 수 있다.
(3)
사회적 지속가능성사회적 지속가능성은 개인과 조직, 사회제도는 상호 의존적이라는 생각 을 바탕으로 도덕적, 윤리적, 경제적 가치의 틀 안에서 행동하는 것을 의미 한다 (McFarland, 1982). 이 외에도 사회적 지속가능성은 여러 학자들에 의해 서 정의되었다. 예를 들어, 사회적 책임활동과 윤리경영의 실천을 통한 사회 적 가치를 창출하는 것(윤대혁, 2011; Brown & Dacin, 1997), 기업의 이익을 기 부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의 복지를 향상시키는 활동(Kotler & Lee, 2005), 사회 에 해악을 최소화하고 기여를 최대화 하는 기업의 노력(Petkus & Woodruff,
1992) 등이 있다.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정의에서도 알 수 있듯이, 사회
적 지속가능성의 기본 전제는 기업과 사회는 서로 분리 될 수 없는 상호적 관계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990년 대 이후 여러 기업에서는 근로자의 권리, 지역사회 기부, 후원활
46
동, 공정거래, 아동노동착취 반대 운동 등 사회적 책임 의식을 가지는 노력 을 다방면으로 해왔다(Yoon, Gu¨rhan-Canli, & Schwarz, 2006). 또한 사회적 지 속가능성과 유사한 개념으로 의류학에서는 로하스 패션(하승연 & 박재옥,
2009), 윤리적 패션(문희강 외, 2013), 슬로우 패션(노주현 & 김민자, 2011)이
연구되어 오기도 했다. 소비자들은 기업에게 경제적 가치 외에 투명경영 및 윤리경영을 요구하고, 사회 공헌 활동을 많이 수행하는 기업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Hess, Rogovsky, & Dunfee, 2002). 국제표준 또한 강화되고 있는 실정 인데, 2010년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환경보호, 인권보호, 공정한 조직 운영 등 사회적 경영 인증 시스템인 ISO26000을 제정하였다(이창원, 2009).
사회적 차원에 대한 선행 연구로는 소비자의 권익보호, 제품에 대한 책 임, 고객의 요구를 적극 반영하는 소비자 중심의 다양한 연구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사회 공헌 활동, 기부활동, 사회적 편익, 커뮤니티 참여 등에 관 한 연구가 있다(e.g., Carroll, 1979, 1991; Davis, 1973; Epstein & Roy, 2003; Hannan
& Freeman, 1984; Hess, Rogovsky, & Dunfee, 2002; López, Garcia, & Rodriguez, 2007).
일반적으로, 기업의 사회 공헌 활동이나 기부 등을 수행하는 사회적 차원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노력하는 기업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Hess, Rogovsky, &
Dunfee, 2002). 또한 소비자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인지할 경우 기업
신뢰와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박종철 & 이광현, 2009), 기업이 경제 적으로 더욱 성장할 것이라고 인지한다는 연구 결과가 존재한다(Pedersen,
Gwozdz, & Hvass, 2016). 따라서 소비자가 기업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인지
하게 된다면, 소비자의 감정, 태도,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