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한국의 대응: 통일외교전략

Dalam dokumen 2002년 협동연구 요약집 (Halaman 34-38)

I. 남북한 실질적 통합과 주변국의 역할 : 환경과 사례

Ⅶ. 한국의 대응: 통일외교전략

북한과의 논의도 추구하면서, 대일 통일외교를 전개하여야 할 것이다. 특 히, 북한사회가 북한식 시장경제의 발전과 더불어 시민사회가 형성되기 시작하면, 북한식 시장경제체제에 상응할 수 있는 정치체제의 요구 등 다 양한 사회적 요구가 분출될 수 있고, 이는 북한사회에 균열과 갈등, 혼란 등을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한국은 북한 주민들이 자본주의 시장경제체 제에 적합한 민주주적 가치관을 갖출 수 있도록 대북 지원을 위한 대일 및 대미 사회문화외교를 전개하여야 할 것이다.

3. 대중 통일외교전략

한국은 대중 군사협력 관계를 확대하고 쌍무적인 안보대화를 더욱 증진 시켜 나감으로써 한반도 현안에 대해 중국과 사전에 협의하는 체제를 구 축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한국은 중국당국이 한국의 자본과 교역이 대북 투자 우선 순위 로 인해 자국의 동북 3성에 유치되지 않을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고, 이와 같이 중국의 우려가 남북경제공동체의 건설에 부정적 영 향을 미치지 않도록 대중 경제외교를 전개하여야 할 것이다.

또 한국정부는 중국이 북한체제가 급격한 민주화와 남북한 통일을 선호 하지 않는다는 점을 인식하여 남북한 비정치분야 교류와 협력이 북한의 민주화와 남한위주의 통일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지 않은 점을 중국측에 강조할 필요가 있다.

4. 대러 통일외교전략

남북한의 실질적 통합을 위해 한국은 대러 통일외교전략을 다음과 같이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첫째, 한국 정부는 러시아와 더욱 긴밀하게 협력하여 개방된 북한의 정 치‧경제‧사회적 안정을 위한 여건과 환경을 조성하여 북한이 남북통일 이 후에도 남북연합단계의 완성기와 별 반 차이가 없는 개방된 북한의 안정 을 위한 공동협력의 대 러시아 전략을 추구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남북한의 실질적 통합단계에서 한국 정부는 러시아에게 동북아시 아 역내 안정을 위한 실질적인 중재자 역할을 촉구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남북한의 실질적 통합단계에서 한국 정부는 러시아의 21세기 국 가 발전전략의 핵심 목표인 극동‧시베리아 지역에서의 실질적인 성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장기적이고 호혜적 차원에서 대 러시아 통일외교 전략 을 추구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이 시기에 한국 정부는 러시아가 개방된 북한 경제의 안정을 더 욱 유도하는 대 러시아 경제외교 전략을 추구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한국 정부는 보다 본격적으로 사회문화분야에서 러시아 인적 네트워크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정책을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남북정치공동체 형성 방안

박 영 호 (통일연구원) 김 학 성 (통일연구원) 손 기 웅 (통일연구원) 이 교 덕 (통일연구원) 전 현 준 (통일연구원)

남북연합 하에서의 남북정치공동체 형성 방안

< 목 차 >

Ⅰ. 서 론

Ⅱ. 정치통합의 개념과 이론

Ⅲ. 사례연구의 시사점

Ⅳ. 정치공동체 형성 방안

Dalam dokumen 2002년 협동연구 요약집 (Halaman 3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