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179-200)

본 연구는 기존의 광고리터러시 연구와 소비자역량 연구, 매체 관련 연구들의 고찰을 통해 파편화되었던 지식들을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 시라는 하나의 체계 안에서 구성하고, 통합적 모형의 기틀을 마련하였 다. 다만, 본 연구에서 도출한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 개념을 일반 화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실증적 자료의 축적과 검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도 복수의 전문가 의견과 소비자들의 경험들로부터 이론적 틀의 실증적 검증을 통한 타당화를 완료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탐색적 단계에 서 더 나아가, 향후 다양한 소비자계층을 대상으로 개념의 보편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실증적 자료가 추가적으로 축적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도출한 소비자의 모바일광고리터러시의 하위차원 과 세부요소는 고정된 것이 아니므로, 광고의 패러다임 변화 및 연구주 제와 대상의 변화에 따라 끊임없이 재검토와 확장의 방향성을 모색할 필 요가 있다. 본 연구 또한 모바일 광고환경으로의 변화와, 리터러시의 주 체인 소비자 측면의 요구도를 고려하여 기존의 광고리터러시 개념을 연 구자의 논리를 토대로 확장하고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발전한 후 속연구들에서도 연구자의 고유한 관점의 전개와 시의적절한 광고환경 변 화의 반영을 통해, 본 연구의 개념을 보완하고 차별화할 수 있는 광고리 터러시 관련 학술적 지식들이 발전되기를 바란다.

척도개발 과정에서 본 연구는 소비자의 모바일 광고리터러시에 포함 된 일부 세부요소를 특정 광고사례의 선정을 통해 측정하였다. 이는 소 비자의 내면에 축적된 지식들의 상태 뿐만 아니라, 광고를 보았을 때 소

비자가 실제로 발휘할 수 있는 리터러시를 함께 측정하기 위한 필수불가 결한 과정이었으며, 개별광고의 특성에 의한 편향을 방지하기 위해 명확 히 설정한 기준에 근거하여 광고사례를 선정하고 문항을 개발하였다. 또 한, 본 척도의 사례와 함께 그 기준을 제시하여, 척도활용의 보편화 방 안을 모색하였다. 그러나 보편 지식을 중심으로 측정한 세부요소에 비하 여 개별광고의 특성에 기인한 영향이 완전히 배제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서는 척도 기준의 명확성을 더욱 정교화하는 등, 척도의 보편화 가능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들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통계적 측면에서는 소비자의 모바일광고리터 러시 척도를 검증하고, 완성한 척도를 이용한 실제 측정을 수행하는 것 으로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그러나 앞으로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와 의 인과관계를 예측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을 탐색하여, 이론적 지식 의 체계를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소비자의 모바일광고리터러시 개념이 현실의 세계에 반영되었을 때, 그의 최종적 종착점은 소비자의 모바일 광고관련 최적 의사결정을 통한 복지 향상이 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변수들과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의 인과관계 를 검증하는 단계까지는 포함하지 않았다. 이는 이론적 관점과 실용적 관점의 양 측면에서 발전시킬 필요가 있는 주제라고 하겠다. 향후 정교 하게 설계된 인과관계 모형을 포함한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 관련 후속연구들의 등장을 기대해본다.

참고문헌

고한준(2010), 광고 메시지에 대한 이해가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광 고학연구, 21(1), 7-21.

구명진·여정성(2015), 소비자 정보탐색단계별 탐색어려움과 구매결정:

상품유형성을 중심으로,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1(2), 59-85.

권순희(2006), 텔레비전 광고 텍스트 분석을 통한 비평적 이해 교육, 교 과교육학연구, 10(2), 343-359.

김상현·한영주(2012), 스마트폰에서 구현되는 모바일 광고의 수용자 태 도에 관한 연구: PC에서 구현되는 웹 광고와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23(1), 253-279.

김영순(2007), 광고 리터러시를 위한 기호학적 방법론, 기호학연구, 21, 359-385.

김재훈, 모바일 기기 하드웨어적 요소와 브랜드앱 사용자 몰입반응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3(1), 713-726.

김정숙(2014), 학교 소비자교육의 내용 분석: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기 술·가정 교과서의 ‘청소년 소비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 회지, 23(1), 63-84.

김정현·최현자(2011), 소비자 재무관리역량 척도 개발 연구, Financial Planning Review, 4(3), 1-36

남기화(2011), 소비자의 모바일 광고 수용과정과 잠재적 피해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남기화·여정성(2005), 아동소비자 대상 방송광고 실태분석을 통한 규제 방안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3(1), 203-223.

남기화·여정성(2011), 모바일 광고의 단계별 수용과정에 관한 연구, 소 비자학연구, 22(4), 1-28.

남수정·유현정(2010), 의약품 표시와 소비자능력, 소비문화연구, 13(1), 21-37

남인용·장천(2014), 모바일 앱광고의 특성이 광고가치 및 광고태도에 미 치는 영향: 한국과 중국의 스마트폰 사용자를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 연구, 12(4), 198-207.

문선영·고한준(2015), 모바일 메신저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 른 광고효과 및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26(1), 275-297.

민현선·이기춘(1991), 청소년소비자의 TV 광고판별능력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2(2), 55-69.

박경애·방기연(2007), 교육대학원 상담전공 교사들의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상담학연구, 8(3), 1185-1204.

박수경·이기춘(1990), 소비자사회화측면에서 본 아동소비자의 TV광고정 보처리능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8(1), 31-47.

서인주(2009), 대학생 소비자능력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 소비자교육효과 측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4), 115-139.

손상희·김경자·나종연·최신애(2010), 녹색소비역량의 구성체계와 측정 지표에 관한 연구, 소비자정책교육연구, 6(3), 95-119.

안순태(2012), 어린이의 광고리터러시: 광고에 대한 이해와 태도, 한국언 론학보, 56(2), 72-91.

안순태(2014), 인터넷 신문 기사형 광고에 대한 어린이의 이해: 광고리터 러시와 광고 표식 효과, 한국 언론학보, 58(2), 246-268.

안순태(2015), 소득수준에 따른 어린이 광고리터러시, 한국방속학보, 29(2), 116-148.

안정임(2013), 연령집단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 비교연구, 학습과학연구, 7(1), 1-21

안정임·서윤경(2014),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격차의 세부요인 분석 - 세대와 경제수준을 중심으로,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2), 69-78.

안정임·서윤경·김선미(2015),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관점에서 본 청 소년의 인터넷 위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청소년학연구, 22(10), 101-129.

양덕순(2014), 통신서비스 소비자역량 평가 항목 및 지표 개발: 이동전화 서비스를 중심으로,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0(2), 1-18.

양현미(2012), 스마트 리터러시 정의와 구성요소에 관한 델파이 연구, 경 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세진·한규훈(2008), 광고매체로서의 휴대폰 이용행태 및 수용자 접점 분석: 모바일 다이어리기법의 적용, OOH광고학연구, 5(1), 111-133.

이원경(2002), 아동을 위한 광고리터러시 교육 효과 연구: 초등학교 2학 년 아동을 대상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진명·나종연(2015), 온라인 맞춤형 광고 인식에 따른 소비자유형 연 구: 효용과 비용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3(9), 105-114.

이희복(2012), 광고활용교육(AIE)이란 무엇인가?: 탐색적인 접근을 중심으 로, 한국광고홍보학보, 14(1), 160-181)

이희복·이경렬·홍문기(2015), 온라인에서 광고와 정보의 구분을 어떻게 할 것인가?, 광고학연구, 26(5), 125-150.

이희복·차유철·정승혜(2013), 광고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 연구: 영국의 미디어 스마트 사례를 중심으로, 광고PR실학연구, 6(4), 32-49.

장연주(2013),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과 유형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차영란(2015), 모바일 광고의 속성과 그에 의한 신뢰 및 태도가 구매에 미치는 영향, 광고PR실학연구, 8(1), pp.38-64.

최은숙·이기춘·박명희·김기옥·윤정혜(1990), 소비자학의 성립과 연구 영역, 소비자학연구, 1(1), 19-40.

최인규·한상필(2008), 모바일 광고 회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 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9(3), 523-547.

최지원(2013), 소비자의 모바일광고 수용의도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최아영(2014), 스마트기술 경험에서의 소비자 효용·비효용 연구, 서울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한성희(2010), 대학생 소비자의 TV광고정보인지 및 이해에 관한 연구: 광 고 속 소비자기만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9(2), 343-359.

함정식·김명광(2014),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난이도 설정에 대한 비 판적 검토-제25회~제27회 중급 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 66, 145-185.

황광선·김홍주·조일형(2016), 국가연구개발 성과관리 정책 특징 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0(2), 1-21.

황진주(2014), 메타평가를 통한 소비자중심경영 인증제도 활성화 방안 연 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황진주·여정성(2006), 인터넷광고의 기능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자율규제

방안 연구, 소비자학연구, 17(1), 95-115.

An, S., Jin, H. S. & Park, E. H.(2014), Children's Advertising Literacy for Advergames: Perception of the Game as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43(1), 63-72.

Friestad, M. & Wright, P.(1994), The Persuasion Knowledge Model: How People Cope with Persuasion Attemp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1(1), 1-31.

Ham, C. D. & Nelson, M. R.(2016), The Role of Persuasion Knowledge, Assesement of Benefit and Harm, and Third-person Perception in coping with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Computers in Human Behavior, 62, 689-702.

Jacoby, J. & Hoyer, W. D.(1989), The Comprehension/Miscomprehension of Print Communication: Selected Finding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5(4), 434-443.

John, D. R.(1999), Consumer Socialization of Children: A Retrospective Look at Twenty-Five Years of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6(3), 183-213.

Livingstone, S., Couvering E. V. & Thumin, N.(2004), Adult Media Literacy, Ofcom Report.

Livingstone(2008), Internet Literacy: Young People’s Negotiation of New Online Opportunities, Ditital Youth, Innovation, and the Unexpected., Cambridge, MA: The Media Press, 101-122

Livingstone, S. & Helsper, E. J.(2006), Does Advertising Literacy Mediate the Effects of Advertising on Children? A Critical Examination of Two Linked Research Literatures in Relation to Obesity and Food Choice, Journal of Communication, 56(3), 560-584.

Malmelin, N.(2010), What is Advertising Literacy? Exploring the dimensions of Advertising Literacy, Journal of Visual Literacy, 29(2), 2-21.

O’Donohoe, S. & Tynan, C.(1998), Beyond sophistication: Dimensions of Advertising Literacy,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17(4), 467-482.

Owen, L., Lewis, C., Auty, S. & Buijzen, M.(2013), Is Children's Understanding of Nontraditional Advertising Comparable to Their Understanding of Television Advertising?, Journal of Public Policy &

Marketing, 32(2), 195-206.

Rosenbaum, J. E., Beentjes, J. W. J., & Konig, R. P.(2008), Mapping Media Literacy: Key Concepts and Future Direction, Communication Yearbook, 32, 312-353.

Robertson, T. S & Rossiter, J. R. (1974a), Children’s TV Commercials:

Testing the Defenses, Journal of Communication, 24(4), 137-144.

Robertson, T. S. & Rossiter, J. R. (1974b), Children and Commercial Persuasion: An Attribution Theory Analysi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1), 13-20.

Rozendaal, E., Buijzen, M. & Valkenburg, P.(2009), Do childrend’s cognitive advertising defenses reduce their desire for advertised products?, communications, 34(3), 287-303.

Rozendaal, E., Buijzen, M. & Valkenburg, P.(2010), Comparing Children’s and Adults’ Cognitive Advertising Competences in the Netherlands, Journal of Children and Media, 4(1), 77-89.

Rozendaal, E., Lapierre, M. A., van Reijmersdal, E. A. & Buijzen, M.(2011), Reconsidering Advertising Literacy as a Defense Against Advertising Effects, Media Psychology, 14(4), 333-354.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179-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