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IV. 개념적 은유를 활용한 동사 의미 교육의 설계

3. 동사 의미 교육의 방법

3.3. 경험적 상관성 인식하기

먼저, ‘오르다’의 의미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동사 ‘오르다’의 의미에도 기본적으로「변화는 이동」의 은유가 적용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산에 오르다’, ‘불길이 오르다’와 같이 문자적 의미로 사용된 표현에서

‘오르다’는 위치변화를 나타내는데,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산에 오르다’는 중국어에 서 ‘오르다’와 대응하는 낱말인 ‘上’을 사용하여 ‘上山’으로 대응되지만, ‘불길이 오르

다’의 경우 이러한 대응관계가 성립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문자적 의미의 표현이더 라도 학습자의 모국어로 대응되지 않는 경우에는 언어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개념적 은유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즉, ‘대상의 수직적 위치변화는 위로의 상승’의 개념적 은유가 작용하여 ‘불길’이나 ‘연기’가 위로 상승하는 현상은 ‘오르다’로 표현할 수 있 음을 학습자들에게 알려 줄 필요가 있다. 다음 은유적 의미의 경우,「높음은 위」의 개념적 은유가 적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혈압이 오르다’, ‘성적이 오르다’는 ‘혈압이 높아지다’, ‘성적이 높아지다’를 의미하는데, 이와 같이 특정 수치의 높아지는 상태를 표현할 경우에는 동사 ‘오르다’를 사용할 수 있음을 학습자들에게 설명할 필요가 있 다. 그리고 금전적으로 많아지는 상태를 묘사할 경우 ‘등록금이 오르다’, ‘전기 요금 이 오르다’와 같이 ‘오르다’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많음은 위」의 개념적 은유가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는데, 이는 실제로 어떤 물건을 많이 쌓을수록 그 높이가 올 라가는 경험적 사실과 밀접한 관련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은유적 의 미를 설명할 경우에는 이러한 경험적 상관성을 제시하면 학습자의 의미 이해에 도움 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내리다’의 의미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동사 ‘내리다’의 은유적 의미에 대해 앞선 분석에서 총 8가지로 구분한 바 있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를 다시 가져오면 다음과 같다.

1단계: (1)「어둠은 아래」예) 어둠이 내리다 (2)「도착은 아래」예) 서울역에 내리다 (3)「끝남은 아래」예) 막이 내리다 (4)「안정됨은 아래」예) 뿌리가 내리다 (5)「통제받음은 아래」예) 명령이 내리다 (6)「결정함은 아래」예) 결정을 내리다

2단계: (7) 경험적 상관성으로 설명되는 의미 예) 체증이 내리다 3단계: (8) 서로 다른 낱말로 범주화되는 의미 예) 살이 내리다

위의 ‘내리다’의 은유적 의미들 중 (1)-(6)은 중국어에서도 대응되는 낱말로 표현되 는 것들로, 학습자들에게 그 대응되는 중국어 표현을 제시하면 의미 이해에 많은 도 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이에 더해 이러한 은유적 의미들은 경험적 상관성을 지니고 있는데, 이러한 경험적 상관성을 학습자들에게 설명하면 의미를 이해하고 기억하는

데 촉진 역할을 할 것으로 본다. 예컨대,「어둠은 아래」의 은유가 작용하는 ‘어둠이 내리다’의 경우, 해가 지면서 하늘에서 내리비추던 햇빛이 사라지면서 지상이 어두워 지게 되는데, 이를 마치 하늘에서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운 것으로 간주하여 ‘어둠이 내리다’로 표현한 것이다. 따라서 해당 의미를 가르칠 경우 중국어의 대응표현과 함 께 이러한 경험적 사실을 덧붙이면 학습자의 의미 습득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도착은 아래」의 은유가 적용되는 ‘서울역에 내리다’의 경우, 중국어에서는

‘도착’의 의미를 나타내는 ‘到’를 사용하여 ‘到首尔站’으로 표현되어 서로 대응관계를 보이지 않지만, 우리는 일반적으로 교통수단을 통해 어떤 특정한 곳에 도착하였을 경우 그 교통수단에서 내리는 행위를 하게 되는데, 이러한 행위를 ‘하차’라는 표현으 로 묘사한다. 따라서 어떤 곳에 도착한다는 것은 타고 있던 교통수단에서 내림을 뜻 하므로 ‘도착하다’의 의미를 나타낼 때 ‘내리다’라는 동사를 사용할 수 있음을 학습자 들에게 설명해 주면 이들이 해당 의미를 이해하고 기억하는 데 도움을 제공할 수 있 다. 이러한 경험적 사실은 언어 보편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언어 교육적으로 그 활 용 가치가 높다고 하겠다.

그리고「종료는 아래」의 은유가 작용하는 ‘막이 내리다’, ‘막을 내리다’의 경우, 중 국어에서도 ‘내리다’에 대응하는 낱말 ‘落下’를 사용하여 ‘落下帷幕’로 표현되기 때문 에 학습자들은 이러한 대응표현을 통해 비교적 해당 의미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덧붙여 해당 의미에 대한 경험적 사실을 설명하는 것이 의미의 기억에 유용한 데, 일반적으로 무대 위에서 공연이 끝나게 되면 막이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광경 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경험적 사실로 말미암아 공연이 끝난 상황을 의미할 경우

‘막이 내리다’ 또는 ‘막을 내리다’로 표현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같은 경험적 사실 역시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보편적으로 일어나는 상황이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 면 해당 의미의 습득을 촉진할 수 있다고 본다.

다음,「안정은 아래」의 은유가 작용하는 ‘뿌리가 내리다’ 또는 ‘뿌리를 내리다’의 경우,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중국어에서도 ‘내리다’와 대응되는 낱말이라 할 수 있 는 ‘扎下’를 사용하여 ‘扎下根’로 표현하는데, 이러한 대응관계는 ‘내리다’의 해당 의 미를 쉽게 이해하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의미의 기억을 강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경험적 사실을 들 수 있다. 실제로 나무가 뿌리를 땅속으로 깊숙이 뿌리를 박을수록 그 나무는 점점 더 안정적이면서 튼실하게 성장할 수 있는데, 이처럼 나무의 뿌리가 아래로 향할수록 그 나무는 안정적이라는 사실로부터 어떤 사람이나 대상이 특정 환

경에 정착하여 안정된 상태를 나타내고자 할 때 ‘뿌리가 내리다’ 또는 ‘뿌리를 내리 다’로 표현한다. 이러한 경험적 사실 또한 학습자들의 의미 기억에 생생한 이미지를 부여하여 해당 의미의 습득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통제는 아래」의 은유가 작용하는 ‘명령이 내리다’ 또는 ‘명령을 내리다’의 경우, 앞서 논의한 대로 중국어에서도 대응되는 표현 ‘下令’이 있는데, 이런 대응표현 을 제시하면 학습자의 의미 이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데, 이와 더불어 실제로 ‘명 령’이라는 것은 지위가 높은 위에서 지위가 낮은 아래로 전달되는데, 이러한 경험적 사실이 언어에 반영되어 ‘명령이 내리다’ 또는 ‘명령을 내리다’와 같은 표현이 가능하 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험적 사실은 해당 의미를 보다 생생하게 습득할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해 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결정은 아래」의 은유가 작용하는 ‘결정을 내리다’의 경우, 이 역시 중국 어에서 대응되는 표현 ‘下決定’이 있으므로, 학습자들이 ‘내리다’의 해당 의미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 이 대응표현을 제시함과 동시에, 바로 위에서 논의한 ‘명령을 내리다’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표현이 생성될 수 있는 경험적 사실을 다음과 같이 설 명할 수 있다. ‘결정’은 지위가 높은 곳에서 정해져 아래로 전달되므로 아래를 지향 하는 낱말인 ‘내리다’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다음, ‘체증이 내리다’는 중국어에서 대응되는 낱말로 표현되지 않는데, 이럴 경우 우리는 해당 표현의 경험적 사실로 학습자들의 의미 습득을 촉진할 수 있다. 이 표 현에 반영된 경험적 사실은 다음과 같다. 우리는 음식물을 먹고 나서 소화가 잘 되 지 않을 경우 배속에 더부룩함을 느낀다. 그래서 소화제를 먹거나 손가락을 따서 피 를 내어 소화를 촉진시키고자 한다. 그러고 나서 음식물이 배속에서 소화되면 우리 는 더부룩했던 속이 시원해지면서 무언가 막혔던 것이 몸속에서 아래로 내려감을 느 낀다. 이러한 경험적 사실을 바탕으로 우리는 음식물이 뱃속에서 막혔다가 소화가 되는 경우 ‘체증이 내리다’로 표현하게 되는 것이다. 즉, ‘체증이 내리다’의 경우 그 의미에「소실은 아래」의 은유가 작용함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살이 내리다’의 경우, 한국어에서는「적음은 아래」의 은유가 적용되 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중국어에서는 ‘내리다’와 대응되는 낱말로 표현되지 않고,

‘줄어들다’와 대응되는 낱말인 ‘減’을 사용하여 ‘減肥’로 표현된다.81) 그러나 이러한 81)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살이 내리다’는 단순한 일차 은유가 아닌「적음은 아래」나「낮음은

아래」와 같은 두 가지의 일차 은유가 통합된 복합 은유로 인식될 수 있다.

표현도 우리 모두에게 공통되는 경험적 사실을 찾을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체중이 감량되면 몸무게 수치가 낮아지는데, 이러한 사실은 또 다른 개념적 은유인 ‘낮음은 아래’를 생산하게 하는데, 이러한 은유에 의해 우리는 ‘살이 내리다’와 같은 은유적 표현을 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그 의미에「적음은 아래」의 개념적 은유가 작용 한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