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I. 변화 범주 동사의 의미 유형 구분의 실제
3. 동사 의미 유형의 등급화 원리
3.2. 학습자 모국어와의 대응관계
3.2.3. 동사 ‘오르다’의 다의 대조분석
이제 또 다른 지향적 은유가 작용하는 동사 ‘오르다’의 은유적 의미의 난이도 구분 에 대해 논의하여 보기로 한다. 먼저 상승의 변화를 나타내는 ‘오르다’의 경우를 보 기로 하는데, 이를 위해 역시 앞선 절에서 구분한 ‘오르다’의 의미 결과를 가져오기 로 하는데, 먼저 ‘오르다’가 ‘에’ 성분과 결합하여 나타내는 의미를 구분한 결과를 보 이면 다음과 같다.
위치변화: 기차에 오르다, 배에 오르다, 뭍에 오르다 위치변화의 시작: 여행길에 오르다, 귀로에 오르다
위치변화의 결과: 모처럼 저녁상에 갈비가 올랐다, 고등어가 도마에 오르다 상태변화: 사업이 비로소 정상 궤도에 올랐다 구설수에 오르다
지위의 상승: 왕위에 오르다, 관직에 오르다, 벼슬길에 오르다 자격의 승격: 호적에 오르다, 사전에 오르다
위와 같이 ‘오르다’는 ‘에’ 성분과의 결합에서 크게 위치변화와 상태변화의 의미를 보이는데, 이들 각각은 세 가지의 하위의미로 다시 구분되는데, 위치변화의 경우, 위 치변화의 과정을 뜻하는 의미, 위치변화의 시작을 뜻하는 의미, 위치변화의 결과를 뜻하는 의미로 구분되고, 상태변화의 경우, 상태의 단순한 변화, 신분이나 지위의 상 승, 자격의 승격 변화로 하위구분하였는데, 이들 ‘오르다’의 의미가 중국어의 대응 낱 말인 ‘上’의 의미와의 대응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위치변화의 과정을 나타내는 경우 는 아래와 같이 대응됨을 알 수 있다.
(11) ㄱ. 上山(산에 오르다) ㄴ. 上車(차에 오르다) ㄷ. 上船(배에 오르다)
또한, ‘여행길에 오르다’와 같이 위치변화의 시작을 의미하는 경우에도 중국어에서 도 대응 낱말인 ‘上’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2) 上路(길을 오르다)
그리고 ‘맛있는 요리가 밥상에 올랐다’에서의 ‘오르다’의 위치변화의 결과를 나타내 는 경우에도 중국에서는 역시 대응 낱말 ‘上’으로 표현된다.
(13) 上菜(요리가 오르다)
이와 같이 ‘오르다’가 위치변화의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 그 구체적인 의미들은 대 체적으로 중국어의 대응 낱말인 ‘上’과 일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의미는 학 습자들에게 쉽게 이해될 가능성이 높은 의미들이라 할 수 있다.
다음 ‘오르다’가 ‘에’ 성분과 결합하여 나타나는 은유적 의미인 상태변화의 의미가 중국어의 대응 낱말과 어떤 관계를 보이는지 알아보기로 하는데, 이 경우도 앞선 위 치변화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의 상태변화의 의미가 중국어의 낱말인 ‘上’과
서로 대응됨을 알 수 있다. 상태변화의 의미를 나타내는 중국어 ‘上’의 예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14) ㄱ. 上軌道(궤도에 오르다) ㄴ. 登上王位(왕위에 오르다) ㄷ. 上戶口(호적에 오르다)
위와 같이 ‘오르다’가 ‘에’ 성분과 결합하여 상태변화의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에도 중국어의 ‘상’과 대응관계를 보이기 때문에 중국인 학습자들이 이들 의미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은 그리 어려워 보이지 않는다.
요컨대, ‘오르다’가 부사격조사 ‘에’ 성분과 결합하여 나타나는 의미는 대체적으로 중국어에서 동일한 낱말로 대응되기 때문에 이들 의미는 교육 단계에서 비교적 낮은 등급을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제 ‘오르다’가 주격조사 ‘이’ 성분과 결합하여 나타나는 의미가 중국어와 어떤 대 응관계를 보이는지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앞선 절에서 분석한 ‘오 르다’의 해당 의미의 구분 결과를 가져온다.
(1) 사물의 상승: 불길이 오르다, 김이 오르다, 연기가 오르다 (2) 수치의 증가: 등록금이 오르다, 혈압이 오르다, 성적이 오르다
위에서 문자적 의미로 쓰이는 ‘불길이 오르다’, ‘연기가 오르다’에서 ‘오르다’의 의 미는 중국어에서는 ‘상’으로 표현되는 것이 아니라 뿜어져 나온다는 의미의 ‘冒’로 표 현된다.
(15) ㄱ. 冒火(불이 뿜어져 나오다) ㄴ. 冒烟(연기가 뿜어져 나오다)
이처럼 문자적 의미라 해도 학습자의 모국어에서 대응되는 낱말로 표현되지 않고 다른 낱말로 표현되는 의미는 학습자들이 이해하기 어려워할 수 있기 때문에 의미 제시 순서를 뒤로 미루는 것이 타당할 수 있다.
다음,「많음 또는 높음은 위」의 개념적 은유가 작용하는 ‘오르다’의 경우는 그 앞
에 오는 명사의 특성에 따라 중국어에서 대응되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들 예를 보이면 아래와 같다.
(16) ㄱ. 学费涨了(등록금이 불다) ㄴ. 血压上升(혈압이 오르다) ㄷ. 成绩上升(성적이 오르다)
이와 같이 ‘오르다’의 선행명사로 ‘등록금’과 같은 ‘돈’ 관련 명사가 오는 경우, 일 반적으로 중국어에서는 위의 의미를 나타내는 ‘上昇’으로 대응되는 것이 ‘불다’의 의 미를 나타내는 ‘漲’에 대응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혈압’이나 ‘성적’과 같은 명사와 결합하는 경우 ‘오르다’의 의미는 중국어의 ‘上昇’과 대응됨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 서 이들 ‘오르다’의 두 가지 의미는 서로 다른 단계에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 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추상 명사 ‘기세’나 ‘인기’와 결합된 동사 ‘오르다’의 경우도 중 국어의 ‘上昇’에 대응한다.
(17) ㄱ. 气势上昇(기세가 오르다) ㄴ. 人气上昇(인기가 오르다)
따라서 이들 의미는 앞선 ‘혈압이 오르다’, ‘성적이 오르다’와 같은 단계에 제시하 는 것이 좋을 듯하다.
이상의 ‘오르다’의 의미에 대한 등급 구분의 결과를 단계별로 정리하여 보면 먼저 문자적 의미이면서 중국어의 대응 낱말로 범주화되는 의미를 가장 먼저 제시하고 다 음 은유적 의미이지만 중국어의 대응 낱말로 범주화되는 의미를 제시하고, 그리고 문자적 의미이지만 중국어의 대응 낱말로 범주화되지 않는 의미를 제시하며, 마지막 으로 은유적 의미이면서 중국어의 대응 낱말로 범주화되지 않는 의미를 제시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이를 도표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의미 단계 의미 유형 용례
1단계 위치변화의 결과 요리가 오르다
2단계 수치의 증가(1) 혈압이 오르다
3단계 사물의 상승 불길이 오르다
4단계 수치의 증가(2) 등록금이 오르다
<표 Ⅲ-3> 동사 ‘오르다’의 단계적 의미 구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