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동사 ‘오르다’, ‘내리다’의 의미 교육 내용

IV. 개념적 은유를 활용한 동사 의미 교육의 설계

2. 동사 의미 교육의 내용

2.2. 동사 ‘오르다’, ‘내리다’의 의미 교육 내용

공통의미 은유의미 용례 개념적 은유

변화 시간변화 가을이 오다 「시간은 이동」

상태생성 감기가 오다 「생성은 가까움」

다음의 표와 같다.

<표 Ⅳ-2> 동사 ‘오다’의 의미 교육 내용

위와 같이 ‘오다’는 전체적으로 [변화]의 의미를 나타내는데, 이러한 추상적인 공통 의미의 제시는 학습자로 하여금 ‘오다’가 포함된 표현의 의미를 [변화]의 의미와 관 련하여 생각하게 하는 교육적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추상적인 원형의미는 구 체적인 문맥, 즉 위치, 시간, 상태 등의 문맥과 결합하여 구체적인 의미로 실현되는 데, [위치변화]를 나타내는 ‘오다’의 의미는 그 선행명사로 ‘위치’를 나타내는 명사가 옴을 제시하는 것이 좋은데, 이 경우 학습자들에게 ‘오다’는 한 곳에서 다른 한 곳으 로 위치가 변화되는 경우에 사용된다는 점을 설명하여 ‘오다’의 [위치변화]의 의미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 다음, ‘가을이 오다’에서와 같이 ‘오다’는 시간 관련 명사와 결합 하여 특정 시간이 기준점인 화자에게로 가까이 접근함을 나타내고 있다는 점을 설명 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도 ‘시간’은 변화의 대상으로서 학습자들에게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태변화]의 의미를 나타내는 ‘감기가 오다’의 경우인데, 이 러한 의미는 ‘오다’가 기준점으로 향하는 의미적 특성에 따라 그 기준점이 되는 화자 나 화자의 일부분에 특정 상태가 생성됨을 나타내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의미 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대응되는 낱말의 중국어 표현이 있다면 이를 제시하는 것 이 유용하다.

공통의미 은유의미 용례 개념적 은유

상태변화 많아짐 살이 오르다 「많음은 위」

높아짐 가격이 오르다 「높음은 위」

유형을 보이면 다음과 같다.

(1)「많음은 위」: 살이 오르다 (2)「높음은 위」: 가격이 오르다

위와 같이 ‘오르다’는 그것의 ‘상승’의 의미특성이 지니는 은유적 함의에 따라 ‘특 정 사물의 위로의 상승’, ‘많음’ 또는 ‘높음’, 그리고 ‘좋음’을 ‘오르다’로 표현할 수 있 게 한다. 이와 같은 개념적 은유는 ‘오르다’의 의미 교육 내용으로 삼을 수 있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이 제시할 수 있다.

<표 Ⅳ-3> ‘오르다’의 의미 교육 내용

이와 같이 개념적 은유「많음은 위」,「좋음은 위」가 적용된 ‘오르다’의 의미는 실제로 우리가 경험하는 사실로부터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교수·학습의 흥미를 북돋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 먼저「많음은 위」의 은유가 작용하는 동 사 ‘오르다’의 의미 교육 내용을 아래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1) 동사 ‘오르다’는 무엇이 많아지는 상황을 묘사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2) 구체적인 용례 ‘살이 오르다’를 제시한다.

(3) 이 개념적 은유는 우리의 일상적인 체험에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는데 실제로 우리는 벽돌과 같은 사물을 쌓을 경우 그것이 많이 쌓일수록 그 높 이가 높아짐을 경험하게 된다.

다음,「높음은 위」의 개념적 은유가 작용하는 동사 ‘오르다’의 의미 교육 내용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공통의미 은유의미 용례 개념적 은유

변화

어둠 어둠이 내리다 「어둠은 아래」

도착 서울역에 내리다 「도착은 아래」

종료 막이 내리다 「종료는 아래」

안정 뿌리가 내리다 「안정은 아래」

통제 명령이 내리다 「통제는 아래」

결정 결정을 내리다 「결정은 아래」

소실 체증이 내리다 「소실은 아래」

적음 살이 내리다 「적음은 아래」

(1) 동사 ‘오르다’는 무엇이 높아지는 상황을 묘사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2) 구체적인 용례 ‘기온이 오르다’를 제시한다.

(3) 이 개념적 은유 역시 우리의 일상적인 체험에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는 데 예컨대, 우리가 무더운 여름에 기온을 측정할 경우 온도계의 수은주가 위 로 상승하게 됨을 경험한다.

이제 ‘내리다’의 은유적 의미 교육 내용을 제시해 보기로 하는데, 여기에서도 ‘오르 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내리다’의 의미특성인 ‘하강’이 내포하고 있는 함의에 따라 그 은유적 의미의 교육 내용을 설정할 수 있다.

<표 Ⅳ-4> 동사 ‘내리다’의 의미 교육 내용

앞선 장에서 ‘내리다’의 은유적 의미를 그 교육적 난이도에 따라 3등급으로 구분하 였는데, 여기서 1단계에 속하는 의미들은 중국어에서와 공통된 개념적 은유에 의해 범주화되는 의미이기에 학습자들에게 대응되는 중국어 표현을 제시하면 비교적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의미들이다. 또한 이에 덧붙여 각각의 의미들을 실제 경험에 근거하 여 생생하게 기억하게 하기 위해 그 경험적 사실을 설명해 주는 것이 의미 습득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두 언어에서 동일한 개념적 은유로 범주화되지는 않지만 우리의 경험적 사실 로 이해할 수 있는 의미가 있는데, 위의 2단계에 속하는 것이 여기에 해당된다고 하 겠다. ‘체증이 내리다’와 같은 표현의 경우, ‘위속의 음식물이 소화되다’의 의미로, 우 리는 실제로 먹은 음식물이 속에서 막혔던 것이 소화가 되면, 그 음식물이 아래로

위에서 아래로 내려갔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체증이 내리다’로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곧 ‘체증이 없어지다’ 또는 ‘체증이 사라지다’의 의미로 실제로 중국어에서는 이 같은 의미를 ‘소화되다’의 의미를 지닌 동사 ‘消化’로 표현하는데, 이는 ‘먹은 음식물 이 없어짐’을 의미한다.79) 따라서 해당 의미를 가르칠 경우에는 우리의 이 같은 경험 적 사실을 제시하면서 설명하는 것이 의미 습득에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살이 내리다’와 같이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서로 다른 낱말로 범주화되 는 의미가 중국인 학습자들에게는 가장 어려운 의미가 될 수 있는데, 이는 앞선 ‘살 이 오르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중국어에서는 문자적으로 해당 의미를 표현하는 것 과 달리 한국어에서는 ‘줄어듦은 아래’의 개념적 은유가 작용하여 그 의미를 은유적 으로 표현한다는 차이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범주화의 차이도 우리의 경험적 사실에 비추어 그 의미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할 수 있는데, 우리는 쌓아 놓은 어떤 물건을 하나씩 내리면 그 물건의 높이가 낮아짐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경험적 사실에 비추어 물건의 양이 줄어드는 상황을 우리는 ‘아래’의 의미특 성을 지니고 있는 낱말 ‘내리다’로 표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은유적 의미를 그것의 경험적 사실을 들어 설명하면 학습자들의 의미 이해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