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III. 변화 범주 동사의 의미 유형 구분의 실제

3. 동사 의미 유형의 등급화 원리

3.1. 의미의 추상성 정도

‘팔다’의 대상으로 쓰인 ‘명의나 명분’과 같은 추상적인 대상은 그 동작의 주체가 해 당 대상의 가치를 이용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앞선 ‘사다’에서 그 대상의 가치 를 이용하는 경우와 유사한 경우라 할 수 있다. 즉, ‘있다는 것’은 언제든지 ‘사용 가 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탈되었다는 것’은 그것을 사용하여 그 대상의 가치가 감소되었거나 없어짐을 뜻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끝으로 (4)의 경우 비록 특수한 용법이기는 하나, 주어가 돈을 주고 쌀을 구입하였으므로, 실제적 으로 대상으로 쓰인 ‘쌀’이 아닌 ‘돈’이 주어에서 없어짐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의어의 의미확장은 원형의미의 용법을 다른 ‘국면’(facet)에 적용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하이네(Heine, 1991: 48)는 개념영역의 일반적인 확장 방향을

‘사람>대상>활동>공간>시간>질’과 같이 나타내는데, 이는 개념이 비유적으로 확장 될 경우 ‘사람’을 중심으로 하여 ‘대상’, ‘활동’, ‘공간’, ‘시간’, ‘질’의 차례로 나아감을 뜻한다. 이를 바탕으로 임지룡(2009: 211-4)은 의미 확장의 양상을 다음의 여섯 가지 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사람 → 짐승 → 생물 → 무생물>의 확장이다. 여기서 확장의 기준점은

‘사람’이다. 언어는 본질적으로 사람의 생존을 위하여 만들어진 것인데, ‘사람’에게 사 용된 낱말을 이용하여 ‘짐승’, ‘생물’, ‘무생물’로 확장한다. 예컨대, ‘먹다’라는 동사는

‘사람이 음식물을 먹는 행위’에서 ‘짐승이 먹이를 먹는 행위’로 확장되며, ‘물기를 머 금은 잎새’에서처럼 생물로 확장되며, ‘{기름/풀} 먹은 종이’에서처럼 무생물로 확장 된다.

둘째, <구체성 → 추상성>의 확장이다. 여기서 확장의 기준점은 ‘구체성’인데, 이 를 바탕으로 ‘추상성’으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컨대, ‘밝다’의 경우를 보면

‘빛’을 중심으로 ‘색 → 표정 → 분위기 → 눈/귀 → 사리’의 밝음으로 확장된다.

셋째, <공간 → 시간 → 추상>의 확장이다. 여기서 확장의 기준점은 ‘공간’인데, 이는 우리가 가장 쉽게 지각할 수 있는 범주이며, 이를 바탕으로 시간성, 추상성으로 진행된다.72) 예컨대, ‘짧다’라는 낱말은 ‘길이’의 척도인 “연필이 짧다”에서 “시간이 짧다”, “경험이 짧다” 등으로 확장된다.

넷째, <물리적 → 사회적 → 심리적> 확장이다. 여기서 확장의 기준점은 ‘물리적’

공간인데,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심리적 공간으로 진행된다. 예컨대, 다음의 ‘-에 있 다’는 세 가지 존재방식이 이 과정을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0) ㄱ. 그는 서재에 있다.

ㄴ. 그는 대학 연구소에 있다.

ㄷ. 그는 우리들의 마음속에 있다.

72) 이와 관련하여 기본(Givón, 1979: 314-7)은 우주를 분류하는 데에 쓰이는 의미자질을 구체적, 시간적, 추상적으로 나누어 그 내포관계를 ‘공간>시간>추상’으로 진행됨을 보 이면서, 통시적으로 공간적 의미는 시간적 의미로 전이될 수 있고, 시간적 의미는 추상 적 의미로 전이될 수 있으나 그 각각의 역은 일어나지 않는다고 하였다.

다섯째, <일반성 → 비유성 → 관용성>의 확장이다. 이 경우 확장의 기준점은 ‘일 반성’이다. 언어는 일차적으로 글자 그대로의 용법을 중심을 쓰이며, 이차적으로 비 유성을 획득하는데, 비유가 한층 굳어져서 관용성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예컨대, 위 의 ‘짧다’에서 “연필이 짧다”는 글자 그대로의 일반적인 표현이며, “경험이 짧다”는 추상적인 비유표현이며, “입이 짧다”는 관용표현이 된다.

여섯째, <내용어→기능어>의 확장이다. 어휘적 의미를 갖고 있는 ‘내용어’(content word)는 ‘기능어’(function word)로 확장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의미 표백 화’(semantic bleaching)라고 한다. 예컨대, 보조용언이나 조사 ‘부터’, ‘조차’ 등은 내 용어에서 기능어로의 의미 표백화 과정을 보여 준다.

요컨대, 인간의 인지 원리는 ‘사람·구체성·공간·물리적·일반성·내용어’ 등을 중심으 로 하나의 기본의미에서 의미의 확장이 일어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다의어가 형성 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앞선 절에서 분석한 동사들 중에서, ‘가다’, ‘오다’, ‘오르다’, ‘내리다’

의 동사들은 그 의미에 지향적 은유가 적용됨을 확인하였고, ‘주다’, ‘받다’, ‘사다’,

‘팔다’의 동사의 경우에는 그 의미에 존재론적 은유가 적용됨을 확인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은유에 대한 인지적 이해에 정도성의 차이가 있다고 보고, 이들 은유적 의미 에 대해 난이도를 부여하고자 한다. 이러한 인지적 난이도의 설정은 결국 개념적 은 유의 목표영역의 추상성 정도와 관련될 것으로 보이는데, 목표영역의 추상성을 보이 기 위해 앞서 구분한 동사의 의미 유형들을 다시 가져오기로 한다. 동사 ‘가다’의 경 우, 본고는 그 의미를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다.

공간변화: 한국에 가다 시간변화: 시간이 가다

상태생성: 손해가 가다, 이해가 가다, 주름이 가다, 금이 가다, 정이 가다 상태유지: 평생을 가다

상태도달: 소식이 가다 상태소멸: 전깃불이 가다

위와 같이 동사 ‘가다’는「변화는 이동」의 은유에 의해 다양한 유형의 변화 관련 의미가 생성되는데, 이들 의미는 공간변화에서부터 시작하여 시간변화, 상태변화로

그 개념영역의 범위가 확장된다고 볼 수 있는데, 여기서 공간변화의 의미는 문자적 의미로 그 의미 이해에 있어 별다른 어려움이 따르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기타의 은유적 의미의 경우는 그 이해에 있어 정도성의 차이를 보일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 서 이들 은유적 의미는 그 추상성 정도에 따라 시간변화의 의미를 일차적 은유, 즉 은유성이 낮은 의미로, 상태 변화의 의미를 이차적 은유, 즉 은유성이 높은 의미로 구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위의 ‘가다’의 의미 구분에서 알 수 있듯이, 시간변화의 의미는 하나의 의미로 구분되지만, 상태변화의 경우 그 의미는 ‘상태생성’, ‘상태유 지’, ‘상태도달’, ‘상태소실’과 같이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는 ‘변화’ 개념의 전반적인 단계에 대한 구분과 일치하는 것으로, 변화가 생기고, 그 변화가 유지되며, 그러다가 특정 상태에 도달하게 되고, 최종에는 그 상태의 소실로 이어지는 변화의 모든 단계를 동사 ‘가다’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상태변화의 의미를 나타내는 여러 가지 은유적 의미들을 교육할 경우 이들의 난이도를 어떻게 식별하여 제시할 것인가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들 의 미는 모두 상태 변화의 의미를 나타낸다는 점에서는 그 의미의 은유성 즉 추상성의 정도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의미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의 경우, 이들 의미의 이해 난이도는 동일하다고 판단하기는 어려운데, 이는 학습자의 모국어 에서 대응되는 낱말의 의미에 상태 변화의 구체적인 양상의 의미가 존재하는 경우에 는 해당 의미의 이해가 쉬울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어려울 수가 있다. 따 라서 본고는 동일한 개념영역의 의미라 할지라도 학습자 모국어에서 대응되는 낱말 의 의미와 대조를 통해 그 난이도를 구분하고자 한다. 즉, 학습자 모국어의 대응되는 낱말에 해당 의미가 존재한다면 그 의미는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판단하 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그 의미의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자 한 다.

3.2. 학습자 모국어와의 대응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