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동사 ‘가다’, ‘오다’의 의미 교육 내용

IV. 개념적 은유를 활용한 동사 의미 교육의 설계

2. 동사 의미 교육의 내용

2.1. 동사 ‘가다’, ‘오다’의 의미 교육 내용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은유의 본질은 인간의 사고 작용과 관련되는데, 은유는 인 간의 사고 작용을 통해 새로운 의미를 창조하는 과정에 해당된다. 따라서 은유의 본 질을 파악하기 위한 교육은 학습자들의 창의적 사고력의 함양을 위한 방향으로 설정 되어야 한다. 이러한 은유의 본질이 특정 낱말의 의미에 반영된 것이 그 낱말의 추 상적인 원형의미라 할 수 있다. 즉 특정 낱말의 원형의미는 해당 낱말에 작용하는 은유의 의미적 성격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앞서 분석한 동사 ‘가다’를 예로 들면, 이 ‘가다’의 원형의미는 ‘변화’로 설정되었는데, 이는 이 낱말이 전체적으로 변화와 관련된 의미를 나타냄을 뜻한다. 이는 역으로 생각하면, 만약 우리가 ‘변화’ 관련 의 미를 나타내고자 할 경우, 동사 ‘가다’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은유의 본질과 관련된 은유 교육 내용에서 가장 먼저 제시되어야 하는 것은 원형의 미로, 이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해당 동사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하고 사용할 때 ‘변 화’라는 의미영역에서 사고할 수 있도록 해 줄 수 있기 때문에 의미의 습득을 용이 하게 할 수 있다. 아래에 그 예를 보이기로 한다.

<표 Ⅳ-1> 동사 ‘가다’의 의미 교육 내용

위와 같이 ‘가다’의 의미를 교수함에 있어서 먼저 그 구체적인 공통의미를 제시하 여 ‘가다’가 전체적으로 어떤 의미영역을 나타내는 동사인지를 인식하게 한다. 다음

‘가다’의 가장 기본적인 의미를 제시하는데, 이 경우 ‘가다’는 ‘변화’의 일종인 ‘위치변 화’의 의미를 나타냄을 설명하는데, 이러한 기본의미는 실제로 공간적인 의미 성격이 강하고 또 학습자의 모국어인 중국어로도 대응되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비교적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의미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은유의 본질과 관련된 동사 의 미 교수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그 의미가 비교적 추상적인 경우로 예컨대, 위의 ‘여 름이 가다’와 같이 ‘시간변화’의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 기존의 의미 설명 방식은 ‘가 다’를 이동 동사로 보고, 그 대상인 ‘시간’을 ‘이동의 대상’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이러 한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이었다. 물론 이러한 설명 방식도 의미의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본고는 또 다른 설명 방식으로 동사 ‘가다’를 ‘변화’의 의미범주로 보고,

‘여름이 가다’와 같은 표현에서와 같이 ‘시간’도 변화의 대상이어서 특정 시간에서 다 른 한 특정 시간으로 바뀐다는 점을 강조하여 그 의미를 설명하는 방식을 취하고자 한다. 이러한 의미 설명 방식의 장점은 앞서 동사 ‘가다’의 의미를 그 대상의 이동의 관점에서뿐만 아니라 ‘가다’가 기술하는 사건의 성격에 초점을 맞추어 그 의미를 설 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효용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태소실’

의 의미를 나타내는 ‘맛이 가다’의 표현에서도 ‘맛’이라는 상태가 정상적인 데에서 비 정상적인 데로 바뀌었음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 이 ‘맛이 가다’의 의미를 변화의 일종인 [상태소실]의 의미로 설명하는 것은 중국인 학습자들이 해당 의미를 이해하는 데 매우 유리할 수 있는데, 이는 ‘맛이 가다’의 중 국어 대응표현이 ‘變味’로, 한국어로 직역하면 ‘맛이 변하다’인데 이는 중국어에서 맛 의 비정상적 상태로의 바뀜을 동사 ‘變’으로 표현한다는 경험적 사실은 중국인 학습 자들에게 이러한 의미를 ‘이동’의 관점보다는 ‘변화’의 관점으로 설명하는 것이 더 효 과적임을 알 수 있다.

요컨대, 은유의 본질과 관련된 동사의 의미 교육 내용에서 가장 먼저 제시되어야 할 요소는 원형의미이고, 다음 그 구체적인 의미가 이 원형의미의 일종임을 밝히고, 또한 학습자의 모국어와 대응관계를 보이는지를 살피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은 절차 에 따라 동사 ‘가다’의 의미 교육 절차를 다음과 같이 구성해 볼 수 있다.

(1) 동사 ‘가다’는 여러 가지 의미를 나타내는 다의어로 이들은 공통적으로 ‘변화’

의 의미를 나타냄을 설명한다.

(2) 동사 ‘가다’의 기본의미인 ‘위치변화’를 나타내는 용례 ‘집에 가다’를 든다.

(3) 동사 ‘가다’의 은유적 의미를 나타내는 표현인 ‘시간이 가다’나 ‘맛이 가다’를 제시하고 이들과 각각 유의 관계를 보이는 표현을 들어 학습자들의 의미 이해 를 촉진한다. 또한 다음과 같이 중국어의 대응 표현도 함께 제시한다.

(18) ㄱ. 시간이 흐르다(时间流去) ㄴ. 맛이 상하다(味道变坏了)

또한 이상의 활동 과정을 통해 ‘가다’의 은유적 의미를 이해한 토대 하에 ‘가다’의 은유적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실제로 동사 ‘가다’가 어떤 명사와 결합할 수 있는지를 선택하는 연습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시간변화]의 의미를 나타내는 ‘가다’와 결합할 수 있는 명사: 시간 관련 명사 예 컨대, 세월, 계절(봄, 여름, 가을, 겨울) 등

[상태변화]의 의미를 나타내는 ‘가다’와 결합할 수 있는 명사:

상태지속: 시간 관련 명사 평생/사흘을 가다 상태소실: 전기/맛이(가) 가다

상태생성: 피해/손해/무리/정/마음/신경이(가) 가다 상태도달: 소식/신호/연락이(가) 가다

이와 같이 ‘가다’ 동사와 결합할 수 있는 명사들의 대상부류를 제시하여 학습자들 이 실제로 해당 동사를 사용하여 의도하는 의미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다음, 동사 ‘오다’의 교육 내용을 은유의 본질과 관련하여 제시해 보기로 한다. 앞 서 논의한 바대로 ‘오다’ 역시 ‘가다’와 마찬가지로 전반적으로 ‘변화’의 의미를 나타 내는데, ‘가다’와 다른 점이라면 그 기준점이 다르다는 것인데, ‘가다’가 기준점에서 멀어지는 경우와 달리 ‘오다’는 기준점으로 가까워지는 경우를 의미한다. 따라서 동 사 ‘오다’의 은유적 의미는 ‘가까움’이 함의하는 내용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데, 즉 ‘오 다’는 기준점인 화자 쪽으로 가까워지는 변화를 가리킨다고 할 수 있다. 앞선 ‘가다’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오다’의 의미 교육 내용을 은유의 본질과 관련하여 제시하면

공통의미 은유의미 용례 개념적 은유

변화 시간변화 가을이 오다 「시간은 이동」

상태생성 감기가 오다 「생성은 가까움」

다음의 표와 같다.

<표 Ⅳ-2> 동사 ‘오다’의 의미 교육 내용

위와 같이 ‘오다’는 전체적으로 [변화]의 의미를 나타내는데, 이러한 추상적인 공통 의미의 제시는 학습자로 하여금 ‘오다’가 포함된 표현의 의미를 [변화]의 의미와 관 련하여 생각하게 하는 교육적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추상적인 원형의미는 구 체적인 문맥, 즉 위치, 시간, 상태 등의 문맥과 결합하여 구체적인 의미로 실현되는 데, [위치변화]를 나타내는 ‘오다’의 의미는 그 선행명사로 ‘위치’를 나타내는 명사가 옴을 제시하는 것이 좋은데, 이 경우 학습자들에게 ‘오다’는 한 곳에서 다른 한 곳으 로 위치가 변화되는 경우에 사용된다는 점을 설명하여 ‘오다’의 [위치변화]의 의미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 다음, ‘가을이 오다’에서와 같이 ‘오다’는 시간 관련 명사와 결합 하여 특정 시간이 기준점인 화자에게로 가까이 접근함을 나타내고 있다는 점을 설명 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도 ‘시간’은 변화의 대상으로서 학습자들에게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태변화]의 의미를 나타내는 ‘감기가 오다’의 경우인데, 이 러한 의미는 ‘오다’가 기준점으로 향하는 의미적 특성에 따라 그 기준점이 되는 화자 나 화자의 일부분에 특정 상태가 생성됨을 나타내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의미 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대응되는 낱말의 중국어 표현이 있다면 이를 제시하는 것 이 유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