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I. 변화 범주 동사의 의미 유형 구분의 실제
4. 다의어 교육 현황에 대한 조사
4.3. 다의어 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다의어 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을 살펴보기 위한 설문은 총 10개 문항으로 구 성되었는데, 이들의 내용을 보면 크게 다의어 학습의 필요성 여부 및 그 이유, 다의 어 학습의 난이도 여부 및 그 이유, 수업에서 교사의 다의어 교수 방법 및 그 유용 성, 교사의 다의어 교수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사항, 마지막으로 학습자 개인의 다의 어 학습 방법의 유무 및 구체적인 학습 방법에 대한 것으로 이루어졌다. 그럼 아래에
0 50 100 150
필요하다 필요하지 않다
다의어 학습의 필요성
각각의 설문조사 문항에 대한 학습자들의 응답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보이기로 한다.
먼저, 다의어 학습이 어려운지에 대한 질문에 어렵다고 답한 학습자가 99명, 어렵 지 않다고 답한 학습자가 5명으로, 학습자들은 대부분 다의어의 학습을 어렵게 느끼 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Ⅲ-17> 다의어 학습의 필요성에 대한 조사 결과
그리고 다의어 학습이 필요하거나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 았는데, 다의어 학습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를 크게 구분해 보면, 문장 이해에 도움이 된다고 대답한 학습자가 43명, 실제 의사소통에 도움이 된다고 대답한 학습 자가 28명,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를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다고 대답한 학 습자가 18명, 하나의 동사로 다양한 표현을 생산할 수 있다고 대답한 학습자가 10명 이었다.
0 50 100 150
문장 이해에
유리
의사소통에 유리
의도한 의미 산출
다양한 의미 습득
다의어 학습이 필요한 이유
<그림 Ⅲ-18> 다의어 학습이 필요한 이유
이에 비해 다의어 학습이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5명의 학습자들은 그 이유에 대 해서 별다른 대답을 제시하지 않았다.
다음, 다의어 학습이 어려운지에 대한 질문에 대해 어렵다고 답한 학습자가 96명, 어렵지 않다고 답한 학습자가 8명으로, 앞서 다의어 학습의 필요성 여부의 질문에서 와 유사하게 다의어 학습이 어렵다고 느끼는 학습자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0 50 100 150
어렵다 어렵지 않다
다의어 학습의 난이도
<그림 Ⅲ-19> 다의어 학습의 어려움에 대한 조사 결과
그리고 다의어 학습이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에 대해(복수 응답 가능) 하나의 동사 가 무엇 때문에 여러 가지 의미를 나타낼 수 있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답한 학 습자가 32명, 다의 확장 규칙을 습득하기 어렵다고 답한 학습자가 55명, 새로 배울 다의가 전에 배운 다의와 구체적으로 어떤 관계인지 알기 어렵다고 답한 학습자가 29명, 의미가 많아 기억하기 어렵다고 답한 학습자가 81명이었다.
0 20 40 60 80 100
범주화 이유
확장 규칙 다의관계 의미가 많음
다의어 학습이 어려운 이유
<그림 Ⅲ-20> 다의어 학습의 어려운 이유
그리고 수업에서 교사가 다의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가르치는지에 대한 질문에 한 국어 예를 들어 다의를 설명한다고 답한 학습자가 89명으로 가장 많았고, 구체적인 동작이나 도식으로 설명한다고 답한 학습자가 33명, 다의 확장 규칙을 통해 설명한 다고 답한 학습자가 39명, 대응되는 중국어 낱말이나 표현을 제시하여 설명한다고 답한 학습자가 65명이었다.
0 20 40 60 80 100
예문 제시 도식 제시 확장 규칙 중국어 대응표현
확장의미를 가르치는 방법
<그림 Ⅲ-21> 교사가 확장의미를 가르치는 방법
또한 이러한 교사의 다의 교수 방법 중 어떤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지에 대한 질문에 한국어의 예문을 제시하는 방식을 선택한 학습자가 46명, 구체적 인 동작이나 도식의 제시를 선택한 학습자가 12명, 의미 확장 규칙의 제시를 선택한 학습자가 6명, 대응되는 중국어 표현의 제시를 선택한 학습자가 40명이었다.
0 10 20 30 40 50 60
예문 제시 도식 제시 확장 규칙 중국어 대응표현
가장 효과적인 확장의미 교수 방법
<그림 Ⅲ-22> 가장 효과적인 확장의미 교수 방법에 대한 조사 결과
그리고 교사의 다의어 교수에 대해 만족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85명의 학습자들이 만족한다고 답했고, 나머지 19명의 학습자들은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0 20 40 60 80 100
만족한다 만족하지 않는다
다의어 교수에 대한 만족도
<그림 Ⅲ-23> 다의어 교수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
또한 교사의 다의 교수를 만족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문장 의미에 대한 이해 능력 이 향상되기 때문으로 답한 학습자가 32명, 실제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기 때문으로 답한 학습자가 24명, 자신이 의도한 대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으로 답한 학습자가 18명, 쓰기 능력의 향상에 도움이 되기 때문으로 답한 학습자가 11명이었다. 이에 비 해 만족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다의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 인 설명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0 5 10 15 20 25 30 35
문장 이해 의사소통 능력
의미 산출 쓰기 능력
다의어 교수에 만족하는 이유
<그림 Ⅲ-24> 다의어 교수에 만족하는 이유에 대한 조사 결과
마지막으로 학습자 자신이 선호하는 다의 학습 방법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88명
의 학습자들이 있다고 답했고, 16명의 학습자들은 없다고 답했다.
0 20 40 60 80 100
있다 없다
자신만의 다의 학습 방법의 유무
<그림 Ⅲ-25> 자신만의 다의 학습 방법의 유무에 대한 조사 결과
그리고 자신이 선호하는 구체적인 다의 학습 방법에 대해서는(복수 응답 가능) 문장을 보고 의미를 추측하는 방식을 선호한다는 학습자가 59명, 사전을 통해 다의를 이해한다 고 답한 학습자가 57명, 다의 확장 규칙을 통해 학습한다고 답한 학습자가 39명, 대응되 는 중국어 단어나 표현을 통해 학습한다고 답한 학습자가 47명이었다.78)
0 10 20 30 40 50 60 70
문맥 추측 사전 활용 확장 규칙 중국어 대응표현
자신만의 다의 학습 방법
<그림 Ⅲ-26> 자신만의 다의 학습 방법에 대한 조사 결과
이상으로 다의어 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알아보았는데,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다의 어 학습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고, 실제로 학습자들은 교사의 다의어 교수 방식에 대해 대
78) 그 외에 기타의 다의 학습 방법으로 다양한 텍스트를 통한 반복 연습이나 다의들 간의 공통성과 차이성을 통해 학습한다고 답한 학습자들도 8명 있었다.
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었으나, 만족스럽지 않다고 생각하는 학습자들도 일부 있었다. 이는 새로운 다의어 교수 방식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학습자들은 대 부분 자신만의 다의어 학습 방법을 가지고 있었는데, 주로 맥락 속에서 의미를 추측하거나 대응되는 중국어의 표현을 통해 다의어를 학습한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