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과학기술교육 강화와 교육정보화 추진

168 김정은 시대 북한 경제사회 8대 변화

Ⅴ. 교육: 공교육 개혁과 교육격차 확대 169

<그림 Ⅴ-3> 북한의 개정 교과서(초급중학교 1학년 정보기술 교과서)

자료: 󰡔정보기술(초급중학교 제1학년용)󰡕 (평양: 교육도서출판사, 2013), pp. 43~44.

국제기구의 통계자료를 통해 학교에서 진행되는 정보통신기술 교육 의 효과를 간접적으로 유추해볼 수 있다. 최근 석달간 파일 작업, 문서, 스프레드시트, 프리젠테이션, 프로그램 작성 등의 컴퓨터 관련 작업 중 한 가지 이상을 수행한 경험이 있는 사람의 비율은 전체 연령대에서 30.1%, 남성 41.0%에 불과하나, 고급중학교 취학연령대인 15~17세 에서는 여성 65.9%, 남성 65.2%로 높게 나타났고, 성별 격차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84)

84)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of the DPR Korea and UNICEF, DPR Korea Multiple Indicator Cluster Survey 2017, Survey Findings Report (Pyongyang: UNICEF DPRK, 2018), pp. 34~35.

170 김정은 시대 북한 경제사회 8대 변화

‘다매체교수’ 확대와 ‘다기능화된 교실’ 증설

세계적인 정보화 추세 속에서 북한에서도 다양한 정보화 매체와 기 술을 활용한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2000년대 중반부터 북한에서는 전자도서, 동영상자료 등 전자매체의 학습자료화, 모의실험이나 설계 등 컴퓨터를 활용한 교육이 추진되었다. ‘교육의 현대화’라고 불리어 온 이와 같은 움직임은 김정은 시대에는 ‘교육사업의 정보화’로 명명되 면서 한 단계 발전되고 있다. 교육지원 프로그램 연구개발, 멀티미디어 편집물 제작기지 구축 및 보급체계 정비, 원격교육의 광범위한 도입, 교육행정 정보화 등이 교육정보화의 과제로 제시되고 있다.85)

교육정보화는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수업 방법에 변화를 가져온다.

주요 대학과 제1중학교 등 교육환경이 우수한 학교들을 중심으로 수업 에 사진과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매체를 활용하는 ‘다매체교수’가 확대되고 있다. ‘다매체교수’를 진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 및 컴퓨터 네트워크, 가상컴퓨터 환경, 액정 TV 등을 갖춘 ‘다기능화된 교실’을 구축하는 사업도 진행되고 있다. 2014년에는 김일성종합대학에서 모 든 교실이 다기능화된 교실로 전환되었고, 2016년에는 대학과 각급 학교에서 2만 3천여 개의 교실이 다기능화된 교실로 전환되었다.86) 아직까지는 북한의 일반적인 학급들이 이와 같은 멀티미디어 교수환 경을 갖추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이러한 움직임은 향후 북한 교육의 발전 방향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변화라고 볼 수 있다.

원격교육 확대를 통한 ‘전민과학기술인재화’

북한의 교육정보화와 관련하여 가장 주목해야 할 부분은 원격교육

85) 김덕현, “교육사업의 정보화는 지식경제시대에 맞게 교육의 질을 최상의 수준으로 높이기 위한 필수적요구,” 󰡔교원선전수첩󰡕, 4호 (2013), pp. 54~56.

86) 조선중앙통신사, 󰡔조선중앙년감󰡕 (평양: 조선중앙통신사, 2017), p. 437.

Ⅴ. 교육: 공교육 개혁과 교육격차 확대 171 이다. 북한에서는 해방 이후 우편을 활용한 통신교육제도를 도입했고, 이후 라디오와 TV가 보급됨에 따라 방송을 활용한 원격교육제도를 운영하였다. 2000년대 들어 컴퓨터 네트워크에 기반을 둔 이러닝을 활용한 원격교육이 도입되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주로 대학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이러닝을 활용한 원격교육을 진행했다.87) 컴퓨터 와 네트워크를 활용한 원격교육이 본격적으로 추진된 것은 2007년 김책공업종합대학에 원격교육센터가 설립되면서부터이다. 2010년에 는 김책공업종합대학에 원격교육대학이 설립되어 근로자들을 대상으 로 교육을 실시하게 되었고, 2011년에는 김형직사범대학에서 원격교 육을 통해 대학교원들에 대한 재교육을 진행하였다.88)

김정은 시대 들어서 원격교육은 ‘전민과학기술인재화’를 이루기 위 한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매김한다. 김책공업종합대학의 전례를 따라 각 부문의 주요 대학에 원격교육대학을 부설하는 방식을 통해 원격교 육대학을 확대하였다. 2016년 북한의 언론매체89)에서는 전국 50개 대학에 원격교육대학이 구축되어 운영 중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원격 대학에서는 본 대학의 전공 분야와 유사 분야의 기업소 현장기술자와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학생을 선발하여, 컴퓨터 네트워크 기반 원격교 육 방식으로 대학 수준의 강의를 제공한다. 김책공업종합대학 원격교 육대학 사례를 살펴보면, 2015년 기준으로 40개 학과에 8천여 명의 학생들이 재학 중이었고, 2015년 10월에 110명의 첫 졸업생들이 배출 되었다. 이들은 김정숙평양제사공장, 황해제철련합기업소 등 20여 개 기업소의 현장기술자들이었다. 학생들이 소속된 기업소에서는 통신네 트워크와 시설을 갖춘 원격강의실을 설치하여 기업소에 소속된 학생

87) 김지수, “북한 성인대상 원격교육에 관한 연구: 변천과정을 통해 드러난 특성 분석 을 중심으로,” 󰡔평생학습사회󰡕, 제5권 2호 (2009), p. 198.

88) 조선중앙통신사, 󰡔조선중앙년감󰡕 (평양: 조선중앙통신사, 2016), p. 285.

89) 󰡔조선중앙통신󰡕, 2016.10.21.

172 김정은 시대 북한 경제사회 8대 변화

들이 원격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교육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2015년 기준으로, 1,700여 개 기관과 기업소에서 원격교육대학 학습이 이루 어지고 있다.90) 김책공업종합대학에서는 태블릿과 휴대전화를 이용한 원격교육도 진행하고 있다.91) 선행연구에 의하면, 북한의 이러닝 수준 은 상당한 발전단계에 도달해있다.92)

<사진 Ⅴ-1> 금컵체육인종합식료공장의 원격교육

자료: 연합뉴스 제공

90) 󰡔교육신문󰡕, 2015.11.12.

91) 교육신문사, “김책공업종합대학 원격교육사업에서 얻은 경험(2),” 󰡔고등교육󰡕, 10호 (2017), p. 27.

92) 이희정은 이러닝의 8개 표준영역 중 인프라, 콘텐츠, 표준화에 초점을 맞추어 북한 의 원격교육 발전 수준을 진단한 결과, 북한의 원격교육이 개발, 발전, 확장의 3단계 중 콘텐츠 측면에서는 발전단계, 표준 측면에서는 확장단계, 인프라 측면에 서는 개발단계와 발전단계의 사이 정도에 위치해있다고 분석하였다. 이희정, “김정 은 시대 북한 원격교육 현황 연구: 교육컨텐츠, 표준, 인프라를 중심으로,” 󰡔통일교 육연구󰡕, 제14권 2호 (2017), p. 2.

Ⅴ. 교육: 공교육 개혁과 교육격차 확대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