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일자리 찾는 사람들

노동시장에서는 새로운 인력을 찾는 기업과 새로운 일자리를 찾는 노동자가 만나 거래(고용)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북한에서는 체제 특 성상 노동시장이 형성될 수 없다. 학생, 군인, 고령자 등을 제외하고 경제활동이 가능한 모든 주민은 국가에서 지정한 직장에 배치되어 노 동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실업은 존재하지 않으며, 노동력이라는 상품이 거래될 여지도 없는 것이다.

38) 홍제환, 󰡔김정은 정권 5년의 북한경제: 경제정책을 중심으로󰡕 (서울: 통일연구원, 2017), p. 72.

Ⅱ. 기업과 노동: 강화되는 기업의 자율성 107

대체로 ‘자신에게 고용되어’ 자영업에 종사

그러나 현실에서는, 비록 아직 초보적인 형태이긴 하지만, 사적 노 동시장이 형성되어 있다. 앞서 본 바와 같이, 국영 생산시설이 제대로 가동되지 않자 직장에 소속되어 있긴 하지만 실제로는 출근하지 않는 주민이 크게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일자리를 필요로 하는 사람이 늘어 났다. 또 돈주를 비롯한 개인이 운영하는 공장․기업이 늘어남에 따라 노동력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형성된 노동수요 와 공급이 만나 사적 고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북한 경제 여건상 생성되는 일자리보다 일자리를 필요로 하 는 사람이 많을 수밖에 없다. 또한 생성되는 일자리 중에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일자리도 드물다. 고정적인 일자리보다는 일용직을 비롯 해 단기적으로 일할 수 있는 일자리 위주로 노동수요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탓에 일자리를 필요로 하는 사람 중 상당수는 자신에 게 고용되어(self-employed), 영세한 자영업자로서 경제활동에 종사 하며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그렇긴 하지만 사적 고용 규모도 갈수록 커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앞서 개인의 기업 활동과 관련해 소개했던 연구에서 사적 고용에 대한 조사도 이루어진 바 있는데, <표 Ⅱ-2>에 제시된 것처럼, 김정은 시대 들어와 사적 고용 규모가 양적으로 팽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108 김정은 시대 북한 경제사회 8대 변화

설문 문항

매우 많았다 어느 정도 있었다 2012년

조사

2015년 조사

2012년 조사

2015년 조사 다른 사람의 밭에서 농사일을 도와주고 돈을

받는 사람 16.5 35.0 45.9 49.4

개인이 하는 고깃배에서 돈을 받고 일하는 사람 37.6 53.1 34.9 26.9 개인이 하는 국수 생산기지에서 돈을 받고

일하는 사람 40.4 44.4 24.8 43.1

화물차에 실을 짐을 날라주면서 돈을 받는 사람 45.0 68.1 43.1 27.5 (상업)관리소에 적을 걸고 집에서 하는 식당의

종업원 17.4 28.8 28.4 49.4

개인이 하는 편의봉사시설에서 돈을 받고

일하는 사람 18.3 30.6 51.4 50.0

<표 Ⅱ-2> 북한의 사적 고용 수준

(단위: %)

자료: 양문수․윤인주, “북한 기업의 사실상의 사유화: 수준과 추세에 관한 정량적 분석,” 󰡔통일연구󰡕, 제20권 2호 (2016), pp. 69~74.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사적 고용

사적 고용은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일단 개인이 가내수공업 형태의 생산을 하면서 필요한 인력을 고용하는 경 우가 있다. 예를 들어, 개인이 신발을 생산할 경우, 고무바닥을 만드는 공정이나 ‘신발눈깔’이라 부르는 운동화 끈을 꿰는 구멍을 만드는 공정 등에 사람을 고용하여 맡기기도 한다.39) 돈주가 국영기업의 명의 및 생산시설을 대여하여 생산하면서 국영기업 소속 노동자를 고용해 생산 하는 경우도 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이 경우 임금은 돈주가 지불한다.

39) “대북제재에 개인 신발제조시장 활성화, 이유는?,” 󰡔데일리NK󰡕, 2016.3.24,

<https://www.dailynk.com/%EB%8C%80%EB%B6%81-%EC%A0%9C%EC

%9E%AC%EC%97%90-%EA%B0%9C%EC%9D%B8-%EC%8B%A0%EB%B0%

9C%EC%A0%9C%EC%A1%B0%EC%8B%9C%EC%9E%A5-%ED%99%9C%E C%84%B1/> (검색일: 2018.8.7.).

Ⅱ. 기업과 노동: 강화되는 기업의 자율성 109 국영기업 소속이지만 실제로는 개인이 운영하는 상점이나 식당도 많은데, 이러한 곳에서도 사적 고용이 늘어나고 있다. 여기서 일하는 노동자는 상점이나 식당이 속한 국영기업 소속이지만, 임금은 이를 운영하는 개인이 지급한다.40) 또한 평성에서 ‘돈주 아파트’라고 불리는 동네에는 식모살이 하는 여성이 많은데, 이들은 한 달에 15달러, 북한 돈으로 12만 원 정도를 받는다고 한다.41)

손전화 보급으로 구인·구직 용이해져

그럼 북한에서 고용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북한에서 인터넷 보급이 확산되고 있긴 하지만, 노동시장 자체가 비공식적으로 형성되고 있는 탓에 우리처럼 인터넷을 통해 공개적으로 구인·구직 정보가 오고가기 는 어렵다. 그렇다고 우리와 같이 인력사무소가 있어서 이를 통해 일자 리를 구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북한에서 노동수요와 공급을 연결해주는 역할은 거간꾼(중개인)42) 이 하는 경우가 많다. 노동력이 필요해 거간꾼에게 요청하면 이들이 재빨리 노동자를 모아온다고 한다.43) 특히 요즘은 손전화(핸드폰)가

40) 이석기·양문수·정은이, 󰡔북한 시장실태 분석󰡕, p. 279.

41) “‘北 가정부 월급 15달러’…비공식 노동자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데일리NK󰡕, 2018.7.23, <https://www.dailynk.com/%E5%8C%97-%EA%B0%80%EC%A 0%95%EB%B6%80-%EC%9B%94%EA%B8%89-15%EB%8B%AC%EB%9F%A C-%EB%B9%84%EA%B3%B5%EC%8B%9D-%EB%85%B8%EB%8F%99%EC%

9E%90-%EC%96%B4%EB%96%BB%EA%B2%8C-%EB%B0%94%EB%9D%B C%EB%B3%BC/> (검색일: 2018.8.7.).

42) 지역에 따라 이들은 ‘중매쟁이’ 혹은 ‘사람장사꾼’ 등으로도 불린다. 김영희, “북한 의 5대시장 형성과 작동 메커니즘을 통해 본 시장화 실태,” 󰡔KDB북한개발󰡕, 통권 10호 (2017), p. 75.

43) “北서 핸드폰으로 일공(日工) 모집…30분만에 수십명 몰려,” 󰡔데일리NK󰡕, 2016.8.18,

<https://www.dailynk.com/%E5%8C%97%EC%84%9C-%ED%95%B8%E B%93%9C%ED%8F%B0%EC%9C%BC%EB%A1%9C-%EC%9D%BC%EA%B 3%B5%E6%97%A5%E5%B7%A5%EB%AA%A8%EC%A7%9130%EB%B6%84%

EB%A7%8C/> (검색일: 2018.9.7.).

110 김정은 시대 북한 경제사회 8대 변화

보급되어 있어 사전에 구축되어 있는 연락망을 활용해 쉽게 인력을 확보할 수 있다.44) 쉬고 있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소규모 노동력은 지인을 통해서도 손쉽게 구할 수 있다.

이처럼 북한에서 사적 노동시장이 양적으로 팽창하고, 구인·구직을 연결하는 시스템도 차츰 개선되어 가고 있긴 하지만, 질적으로는 개선 될 부분이 많다. 우선 일용직 등 단기적인 일자리가 대부분이어서 노동 자가 안정적인 일자리를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비공식적인 형태로 형성되다보니, 임금 체불, 산업재해 등 노동자가 겪는 어려움을 보호해 줄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다. 이러한 요소는 사적 노동시장의 성장을 가로막는 요인이 되고 있는데, 한편으로는 현재와 같이 노동시장이 비공식적으로 형성된 상황에서는 불가피한 측면도 있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