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초중등교육과정과 교과서 개정

Ⅴ. 교육: 공교육 개혁과 교육격차 확대 165

166 김정은 시대 북한 경제사회 8대 변화

하도록 하였으며,77) ‘콤퓨터’ 과목의 내용요소를 확충하여 ‘정보기술’로 개편하였다. 영어와 ‘정보기술’ 과목은 소학교 4학년부터 가르치고 있다.

과목별 수업시수 변화를 보면, 영어과 수업시수와 비중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정보기술 과목의 비중도 중등단계에서 증가하였다.

개정 교육과정은 나선형 교육과정, 통합교과 등 국제적 교육과정의 흐름을 부분적으로 반영하였다. 또한, 교과교육을 통해 특정한 지식이 나 기술뿐만 아니라 사고력, 탐구력, 창조력 등 일반적인 지적 능력과 지식의 활용능력을 함양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교육과정 구성 및 교과 목 체계의 변화는 북한 당국이 교육 부문에서 지향하고 있는 세계화, 정보화의 방향성을 보여준다.78)

흥미도와 학습자 활동을 강화한 새 교과서

교과서는 더욱 두드러진 변화를 보여준다. 외형 면에서 총천연색을 사용하거나 읽기 편한 다양한 활자체, 아이콘, 삽화 등을 사용하여 가독성과 흥미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교과서에 삽입된 이미지도 실제 사진을 많이 활용하였다. 다음 <그림 Ⅴ-2>와 같이 일방적인 주입식, 암기식 교육을 지양하고 학생들이 다양한 활동을 통해 수업에 주도적 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교과서 내용 전개방식을 개선하였으며, 그에 맞는 교육방법을 장려하고 있다.79)

교과서 내용과 편성 체계 면에서도 국제적 흐름을 소개하거나, 학습 자 중심의 탐구활동을 강조하는 등 최신 교육방법을 적용하는 시도가 눈에 띈다. 예를 들어 수학교과의 문장제 문제에서 현대적 스포츠의

77) 교육과정 개정 이전에 중학교 기술교과의 하나였던 ‘실습’과목의 경우, 성별에 따라 ‘남학생 실습’과 ‘여학생 실습’으로 다른 내용을 가르쳤다.

78) 조정아 외, 󰡔김정은 시대 북한의 교육정책, 교육과정, 교과서󰡕 (서울: 통일연구원, 2015), p. 262.

79) 위의 책, p. 262.

Ⅴ. 교육: 공교육 개혁과 교육격차 확대 167 내용이 활용되고 있으며, ‘사회주의 도덕’ 교과에서는 지도자의 교시 내용을 대폭 축소하면서 정치・사상적 요소를 최대한 배제하였다.80) 자연과학 및 기술 교과에서는 통합교육, 실생활의 응용, 과학적 연구방 법론 습득을 강조하고 통합적 사고를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단순한 지식의 습득이 아니라 직접적인 체험, 관찰 등의 활동을 통해 과학적 사고력을 배양하고 활용성을 강화하려는 의도를 보여주었다.81)

영어과에서는 2000년대 초반의 본보기 문장 반복훈련을 통한 문장 외우기와 문법 위주의 내용구성에서 벗어나, 듣기와 말하기 교육을 강화 하고 언어 통합기능 위주로 교과서를 구성하였다.82) 또한, 삽화를 활용한 단어 연결하기, 컴퓨터를 통한 활동 등 새로운 교육방법을 적용하였다.

<그림 Ⅴ-2> 북한의 개정 교과서(초급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

자료: 󰡔영어(초급중학교 제1학년용)󰡕(교육도서출판사, 2013), pp. 8~9.

80) 김정원 외, 󰡔북한 교육정책 동향 분석 및 서지 정보 구축󰡕(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14), p. 79.

81) 조정아 외, 󰡔김정은 시대 북한의 교육정책, 교육과정, 교과서󰡕, pp. 190~191.

82) 2015-16학년도부터는 대학입학시험과 예비시험에서도 기존의 필답시험에 더하 여 외국어 청취 및 회화시험이 도입되었다. 󰡔교원신문󰡕, 2014.10.30.

168 김정은 시대 북한 경제사회 8대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