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정책방향과 제도개편: ‘전민과학기술인재화’와 국제수준 추구

‘세계적인 교육발전 추세’의 ‘우리식’ 수용

김정은 시대의 교육정책은 기본적으로는 김정일 집권 후기 교육정책 의 연장선상에서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1990년 대 경제난에 따른 공교육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북한에서는 2000년 대 이후 ‘교육에서의 실리주의’를 표방하면서 교육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강조해왔다. 과학기술교육과 외국어교육을 강화하고 조기에 영재를 발굴하며 중등 및 고등교육에서 ‘수재교육’을 강화함으로써 IT를 비롯한 첨단과학기술 분야의 인재를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정책이 취해졌다.69)

김정은 시대에는 기본적으로 이와 같은 방향성을 견지하면서, ‘글로 벌 스탠더드’를 적용하여 교육제도와 교육과정을 조정하고 교육의 질 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리고자 하는 시도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70) 또한, 정보화 시대라는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여, 정보통신기술 을 비롯한 과학기술교육을 강화하고 교육정보화를 추진하고 있다.

김정은 시대 교육정책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은 ‘글로벌

69) 조정아, “김정은시대 북한 교육정책 방향과 중등교육과정 개편,” 󰡔통일정책연구󰡕, 제23권 2호 (2014), p. 179.

70) 예를 들면, 북한의 교육계에서는 대학교육의 질 관리를 위해 국제표준인 ISO9000 계열 질관리체계표준 도입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수요 자 중심의 원칙 하에 교육과정 관리와 지속적 개선을 강조하고 있다. 박영철박영순,

“대학, 전문학교교수질관리에 대한 ISO9000계렬 질관리체계표준도입의 가능성,”

󰡔교원선전수첩󰡕, 1호 (2015); 박영철‧박영순, “고등교육 부문에서 국규 10900(ISO 9000)계렬 질관리체계표준을 도입해야 할 필요성,” 󰡔고등교육󰡕, 2호 (2015); 김혁철,

“원격교육평가와 국가규격 10900(ISO9000)계렬표준의 유기적결합방법,” 󰡔고등 교육󰡕, 4호 (2015).

Ⅴ. 교육: 공교육 개혁과 교육격차 확대 161 스탠더드’에 대한 이해와 이를 반영한 제도 개선이다. 김정은은 ‘새 세기 교육혁명’을 수행하기 위해 “자기 땅에 발을 붙이고 눈은 세계를 내다보는 주체적인 입장과 안목에서” 세계적인 교육발전 경험을 수용 하여 교육을 ‘우리식’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함을 강조한 바 있다. 최고 지도자의 발언과 당의 공식 담론에서뿐만 아니라 교육 관련 신문과 정기간행물에도 국제적인 교육 동향에 대해 해설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교육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기사가 많이 등장하고 있다. 2012년 학제개정을 필두로 이루어지고 있는 중등 및 고등교육 제도 개선의 방향 또한 ‘세계적 교육발전 추세’를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71) 국제적 흐름을 염두에 둔 교육제도 및 교육과정 개선뿐만 아니라 최근 에는 외국과의 경쟁과 교류도 강조되고 있다.72)

학제개편과 12년제 의무교육 실시

김정은 집권 이후 교육 부문에서 이루어진 첫 번째 가시적인 개혁 조치는 초중등 학제개편과 12년제 의무교육 실시였다. 북한은 2012년 9월 25일 개최된 최고인민회의 제12기 6차 회의에서 ‘전반적12년제 의무교육을 실시함에 대하여’라는 법령을 발표하여 학제개편을 단행 하고, 그 후속조치로 2013년부터 교육과정 개정과 새 교과서 편찬 작업을 추진하였다. 학제개편 이전의 기본 학제는 4년간의 초등교육, 6년간의 중등교육, 4∼5년간의 고등교육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2012년

71) 조정아, “김정은시대 북한 교육정책 방향과 중등교육과정 개편,” pp. 184~185.

72) 2016년 9월 27일 ‘김일성종합대학창립 70돐에 즈음하여 대학 교직원, 학생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김정은은 대학에 외국인유학생들을 많이 받아들이고 박사원생들을 중심으로 다른 나라에 유학을 보내는 사업을 진행할 것을 지시하였다. 또한 이 서한에서 “우리의 경쟁대상은 세계이며 경쟁의 주인공은 바로 김일성종합대학 학 생들”이라고 하면서 김일성종합대학을 국제적 수준의 대학으로 발전시키는 과제를 제시하였다. “주체혁명의 새시대 김일성종합대학의 기본임무에 대하여,” 󰡔노동신문󰡕, 2016.9.30.

162 김정은 시대 북한 경제사회 8대 변화

학제개편을 통해 초등교육을 1년 연장하고 전기 중등교육기관인 초급 중학교와 후기 중등교육기관인 고급중학교로 분리하여, 5년간의 초등 교육에 이어 3년간의 전기 중등교육, 3년간의 후기 중등교육, 4∼5년 간의 고등교육을 진행하도록 하였다. 학제개편 당시 중등교육기관은 계열이 분리되어 있지 않은 단선형 학제였으나, 2017년 후기 중등교 육 수준에서 실업계열인 기술고급중학교를 100여 개교 설치하였다.

취학 전 교육기관은 2년제 유치원이며, 초등학교 입학 연령은 만 6세 로 이전과 변동이 없다. 학제개편으로 의무교육기간을 1년 연장하여, 유치원 높은반 1년부터 고급중학교까지 총 12년간의 교육을 의무교육 으로 진행하도록 하였다.

<그림 Ⅴ-1> 북한 학제

자료: 저자 작성

2012년 학제개편은 선진적인 교육제도와 교육과정의 도입을 통해, 경제난의 영향으로 하락하였던 교육의 질을 회복하고자 하는 시도였

Ⅴ. 교육: 공교육 개혁과 교육격차 확대 163 다고 볼 수 있다. 학제개편 결과, 북한의 학제는 기존 학제에 비해 국제표준학제에 보다 가까워졌고, 남한 학제와의 차이도 줄어들었다.

2012년 학제개편에서 초등교육 기간을 연장한 것은 소학교 학생들의 기초학력을 제고함으로써 중등학교에 입학하는 학생들의 교육수준을 높여 중등교육을 정상화하고자 하는 의도를 지닌 것이었다. 또한, 초급 중학교와 고급중학교를 분리함으로써 초급중학교 단계에서는 각 분야 의 기초지식 획득에, 고급중학교 단계에서는 기초 과학기술지식뿐만 아니라 실생활과 산업현장에서의 활용가능성에 초점을 맞춘 교육을 실시하고자 한 것으로 판단된다.

‘전민과학기술인재화’와 고등교육 제도 개혁

2016년 5월에 열린 조선노동당 7차 당대회에서는 과학기술강국 건설을 위한 ‘전민과학기술인재화’가 목표로 제시되었다. ‘전민과학기 술인재화’란 모든 사회 구성원들을 “대학졸업정도의 지식을 소유한 지식형근로자로, 과학기술발전의 담당자로 준비시키는” 것을 의미 한다.73) ‘전민과학기술인재화’ 라는 목표를 추진하기 위한 교육전략은 국제적 추세를 반영한 고등교육 구조조정과 대학-산업현장 간 연계성 강화로 요약할 수 있다. 고등교육 구조 조정과 관련하여, 연구형 대학 과 직업기술대학의 분리, 대학 통합, 대학-박사원(대학원) 연속교육체 계 발전, 주요 대학의 과학연구 및 국제학술교류 거점화 등이 추진되고 있다. 특히 2012년 이후 종합대학 증설이 진행되어, 기존에 3개에 불과하였던 종합대학이 2016년 현재 10여 개로 늘어났다. 종합대학 증설은 각 도별로 존재하는 교원대학, 사범대학을 통합하여 지역별 종합대학을 만들거나, 지역 내 유사 부문의 단과대학을 통합하여 부문별

73) 최종식, “전민과학기술인재화의 본질,” 󰡔고등교육󰡕, 9호 (2016), p. 4.

164 김정은 시대 북한 경제사회 8대 변화

종합대학을 만드는 방식74)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이외에도 산업 및 과학기술 발전을 고려한 학과 통폐합 및 신설, 교육과정 조정, 대학 입시제도 개선, 대학 학점제 도입 확대, 대학원 교육제도 개선, 원격교육 확대 등의 제도 개혁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흐름 속에서, 북한 교육계에서는 글로벌 스탠더드를 염두에 둔 교육제도 개혁이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대학 통폐합과 학과 조정 등 고등교육 제도 개혁은 중국의 개혁 개방 과정에서 이루어졌던 조치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향후 북한 교육 개혁의 귀추를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75)

다만, 이와 같은 교육개혁이 목표대로 이루어지려면 여러 가지 조건 이 선결되어야 한다. 우선, 교육시설 및 교육환경 개선, 교원 확충 및 생활조건 보장, 교육정보화 등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교육예산의 대폭 확충이 필수적이나, 국가적 차원에서 별도의 재정을 마련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북한 교육의 근본적인 문제인 엄격히 통제 되는 과도한 정치사상교육은 교육개혁의 근본적인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76)

74)예를 들어, 함흥콤퓨터기술대학, 함흥경공업대학, 함흥건설대학은 함흥화학공업 종합대학으로 통합되었다. “북한, 대학체계 개편…종합대학·직업기술대학 신설,”

󰡔연합뉴스󰡕, 2015.5.15,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5 /15/0200000000AKR20150515180400014.HTML?input=1195m> (검색일:

2018.9.10.).

75) 조정아, “전국교육일꾼대회 대회 담화를 통해 본 북한의 교육개혁 전략,” (통일연구원 Online Series CO 14-13, 2014.9.16), p. 5, <http://www.kinu.or.kr/pyxis- api/1/digital-files/24bbbf41-150e-40c1-a638-890ee505d03e> (검색일:

2018.9.24.).

76) 위의 글, p. 6.

Ⅴ. 교육: 공교육 개혁과 교육격차 확대 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