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이념과 정치선전의 족쇄 벗어나는 관광산업

Ⅰ. 시장과 산업: 시장을 디딤돌로 회복 중인 산업 73 슈퍼마켓에서 구매하는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종합시 장은 북한 시장경제의 중심지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다.

74 김정은 시대 북한 경제사회 8대 변화

상품을 개발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내국인의 국내관광에 대해서도 종전과 달리 선전이나 교육 일변도에서 벗어나 위락이나 휴양 등의 측면도 추가하기 시작하였다. 이제 북한 주민들도 돈과 시간이 있으면 평양 등 대도시의 위락시설이나 마식령 스키장 등 관광지에서 여가를 보낼 수 있게 되었다.

생활밀착형 관광 상품 증가

최근 북한의 관광 상품 중 눈에 띄는 것은 맥주파티 등 생활밀착형 관광 상품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통제된 상황에서 북한 당국 이 보여주는 것만 관광하기 보다는 북한의 문화와 북한 주민의 생활을 경험하고 싶은 서구 관광객의 요구를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제 외국인 관광객은 이전보다 훨씬 자유롭게 북한의 문화를 느끼고 북한의 생활을 접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외국인 관광객과 북한 주민이 접촉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이 되어 가고 있다. 그리고 외국인 관광객은 북한 당국의 허용 하에 이러한 과정에서 찍은 사진 등을 SNS를 통해서 전 세계와 공유하고 있다.

북한 사회의 개방 확대는 관광정책과는 다른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북한 정부의 관광을 통한 재정확보 노력이 결과적으로 북한 사회를 대내외적으로 개방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도 무시해서 는 안 될 것이다.18)

18) 이석기 외, 󰡔북한의 서비스 산업󰡕, p. 159.

Ⅰ. 시장과 산업: 시장을 디딤돌로 회복 중인 산업 75

연도 관광 상품명 내용

2009 보트관광 대동강에서 보트를 타는 관광 상품

2011

자전거투어 평양-남포 청년영웅도로를 자전거로 이동 골프관광 평양골프장에서 진행된 아마추어 골프대회 자동차관광 중-북 라선변경관광 자동차 이용 관광 상품

환형관광 북-중-러 3국 환형 관광 상품 주체사상관광 주체사상을 배우는 관광 상품

2012

경제관광 남포 천리마제강소 등을 둘러보는 관광 상품 테마관광 김일성 주석 탄생 100주년 기념 관광 상품 골프관광 평양 아마추어 골프시합 관광 상품 비행기관광 고려항공 보유 비행기 종류 관람 및 견학

2013

정치관광 군 관계자, 남북대치 상황 및 핵문제 등 설명 철도관광 철도 이용 동해안지역 관광(원산, 함흥, 청진 등) 베테랑투어 평양에서 무궤도전차와 전차 타고 도심 이동

맥주관광 낙원백화점 생맥주 양조장 등 견학

2014

새해맞이관광 불꽃놀이 참가, 가정집·양조장·미림승마구락부 방문 노동체험관광 농민과 함께 모내기, 김매기, 과일수확 체험 묘향산캠핑관광 묘향산 트래킹 이후 숙박은 텐트 이용

열차관광 관광전문열차 이용 지역 도시 및 명승지 관광 스키투어 마식령 스키장에서 스키타기

지하철관광 평양 지하철 2호선 첫 이용 관광 상품

프로레슬링관광 일본 안토니오 이노키 등 주최 국제프로레슬링대회 2015 평양헬기투어 헬기로 평양 상공 관광(영 파이오이너 투어스)

2016

경비행기관광 북한이 자체 개발했다는 경비행기로 평양상공 관광 에어쇼관광 원산국제공항에서 에어쇼를 관람하는 관광 상품 대동강맥주축제 대동강변의 유람선 무지개호에서 맥주축제를 테마로 한

관광 상품

2017 가을철 마라톤대회 매년 4월에 개최하는 국제마라톤대회와 별개로 가을철에 마라톤대회 개최

평양 도보관광 상품 평양 시내를 도보로 관광하는 관광 상품

<표 Ⅰ-1> 김정은 체제 전후 새로 선보인 관광 상품

자료: 이석기 외, 󰡔북한의 서비스 산업󰡕(세종: 산업연구원, 2017), p. 153.

76 김정은 시대 북한 경제사회 8대 변화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은 외국인 자본 유치를 위해 경제특구와 경제 개발구를 설치하는 한편, 관광산업을 수출산업으로 개발하기 위해 상 당한 노력과 투자를 하고 있다. 관광산업의 육성을 위한 투자는 원산갈 마해양관광개발구에 집중되고 있다. 이 지역에 대한 외국으로부터의 접근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국제공항인 갈마 비행장을 건설·개항하였 으며, 2018년 신년사에서 원산갈마해양관광특구의 조기 완공이 제기 된 이후 관광특구 일대를 대대적으로 개발하고 있는데, 적어도 수백동 의 건물이 건설 중인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관광 부문이 대북 경제제 재가 완화되면 가장 우선적으로 재개될 수 있는 분야이기 때문에 향후 이 지역에서의 남북경협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