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대북한 국제협력의 새로운 모색

북한의 개혁과 개방이 전제되지 않는 한 전면적인 국제협력이 실시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지만, 비핵화에 대한 상응조치로서의 대북한 경제지원과 인도주의적 정 신에 의거한 대북한 경제지원은 추진되고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대대적 원조가 추진 되지 못하고 있으며, 국제적 NGOs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원조와 세계식량기구

(WFP)에 의한 긴급구호차원의 식량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맥락에

서 볼 때, 북한의 개혁‧개방과 북한 주민 삶의 질 향상을 동시에 촉진하는 새로운 형태 의 국제협력 틀의 마련이 시급하다 하겠다.

첫째, 북한에게는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성공적 경제성장을 이룩한 남한이라는 경제

적 파트너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즉, 북한의 경제회생을 위해서는 남한의 도움이 필수적이며, 국제사회의 대북한 원조 및 경제지원이 가능하기 위해서도 남한이 북한에 대한 지원을 보증하는 유무형의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북한의 중국과의 접경지역인 신의주를 남한과 북한 및 중국이 공동으로 개발하는 3각 협력 형태의 경제협력 모델을 추진하는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 다른 형태의 3각협 력은 남한과 북한 및 러시아가 공동으로 북한의 철도 개보수 사업 및 나진항 현대화사 업을 추진하는 것이다. 이러한 3각협력 형태의 경제개발사업은 북한의 경제를 재건하 는 실질적 효과가 있음과 동시에 북한의 대남한 예속에 대한 경계심을 완화하는 효과 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즉, 남북한을 포함한 주변국가들 및 관심국가들의 3각협력 을 다층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양자간 국제협력이 성취하기 어려운 문제들을 다룰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기존의 대북한 국제협력 틀을 진화적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 가 있다. 즉, 6자회담 틀 내에서 구성된 에너지경제실무그룹의 활동을 바탕으로, 1990 년대 초반부터 추진되었던 두만강유역개발사업(TRADP)와 같은 지역개발사업을 추 진하는 것도 현 시점에서는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유엔개발기구(UNDP) 는 두만강유역개발사업을 통해서 접경국가 그룹과 비접경국가 그룹을 구분한 형태의 지역개발사업 사업을 추진한 바 있다. 따라서 북한 개발사업을 위한 국제협력의 포괄 적 틀을 한국 및 미‧일‧중‧러 등 주변 4국을 직접 관련 당사국으로 하는 북한 개발그 룹을 구성하고, EU 등 KEDO 참여 경험국가들을 간접 관련 당사국으로 초청하는 형 태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동 기구의 활동은 현재 진행중인 에너지경제실무그룹의 대 북한 경제지원 역할을 확대하는 것을 포함해서, 북한 개발 관련 전반적 청사진을 마련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냉전이 종식된 이후 양산 된 국제사회의 북한 전문가들을 활용할 수 있는 포괄적 틀을 마련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북한 국제협력의 활성화와 관련, 북한의 전략적 가치에 대한 보다 심 층적 이해와 미래지향적 발전의 모색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북한은 냉 전의 종식과 함께 도래된 체제생존의 위기감으로 인해서 핵무기 개발을 통한 체제보 장의 길을 선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조성된 북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북한의 경제 적 중요성을 국제사회가 직시하지 못하게 하고 있다. 즉, 국제사회는 북한의 군사안보 적 전략적 가치에 대해서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지만, 북한의 지경학적 중요성에 따 른 전략적 가치는 경시하게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협력이 활

1_ KOTRA, 2007년 북한의 대외무역동향 , KOTRA 자료 08-015 (2008).

2_ 2002.9.17 북‧일 평양선언문.

3_ <http://daccessdds.un.org/doc/UNDOC/GEN/N06/572/07/PDF/N0657207.pdf?OpenEleme nt> Resolution 1718, Adopted by the Security Council at its 5551st Meeting, on 14 October 2006.

4_ Atlantic Council, U.S-North Korea Relations: An Analytic Compendium of U.S. Policies, Laws & Regulations, Washington (D.C.: The Atlantic Council of the United States, 2007).

5_ <www.kedo.org>.

6_ <www.imf.org>. IMF Member’s Quotas and Voting Power, and IMF Board of Governors.

Last Updated: June 20, 2008.

7_ <www.worldbank.org>. Basic Facts; IBRD Articles of Agreement: Membership in and Capital of the Bank.

성화되기 위해서는 북한이 개혁‧개방에 전면적으로 나서야 함은 물론, 북한의 동북아 지역에서의 지경학적 중요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다양한 형태의 협력사업을 전개할 수 있다는 점을 널리 알려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북한의 경제현실과 발전방향

최 수 영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