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해외 연안도시 방재사례
2.3.1 미국
<그림 2-7>은 뉴욕시 홍수위험 지역을 나타내고 있으며 예비홍수 보험료율 지 도(Preliminary Flood Insurance Rate Maps, PFIRMs)는 연간 1%의 확률로 발생 하는 홍수 기간에 수위 상승이 예상되는 정도를 보여준다. 또한 연간 발생률 1%의 범람원26)은 100년 빈도 범람원으로 지칭되며 이 높이는 지도에 기준홍수 위(Base Flood Elevation, BFE)27)로 표시되어 있다.
뉴욕시는 기후변화로 인하여 연안도시의 폭풍 해일, 폭우 및 이상 만조의 위 험이 증가하고 있다. 지난 100년간 뉴욕 시의 해수면은 이미 1피트 상승했다.
뉴욕시는 기후변화에 따라 해수면이 2050년대까지 8~30인치, 21세기 말까지 15~75인치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림 2-8> 뉴욕시 연간홍수 발생률 1% 범람원 구역28)
연간 발생률 1%의 범람원은 세 구역(V 구역, 연안 A 구역, A 구역)으로 나 누어지며, 각 구역의 홍수 위험도는 차등적이다. V 구역과 연안 A구역은 파도 에 취약하며, A 구역은 홍수에 취약하나 파도에 의한 피해는 취약하지 않다.
또한 저확률 X 구역은 홍수 확률이 A 구역보다 낮다.
26) FEMA의 홍수 보험료율 지도에 주어진 년도 내 1%의 확률로 홍수가 발생하는 지역으로 지정된 지역 27) FEMA의 홍수 보험료율 지도상 연간 1% 확률 폭풍 시 홍수 수량의 증가에 따라 예상되는 홍수위를
피트 단위로 산출하여 나타낸 것
28) www.nyc.gov/floodtext, NYC Planning
1) 홍수방재 규정
뉴욕시의 홍수방재 규정은 새로운 건물과 기존 건물에 높은 홍수위를 준수하 도록 하고 있으며 이 규정은 연간 홍수 발생률 1%의 범람원 내에 위치한 건물 에 적용되며 지정된 범람원 전역에 홍수방재 건물을 장려하고 있다.
<표 2-6> 뉴욕시 홍수방재 규정29)
구분 내용 비고
높이
건물이 홍수위 이상에서 같은 바닥면적을 보장하기 위해 홍수위로부터 높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
홍수위가 보통인 지역의 경우 추가 높이는 주차, 진입 및 보관을 위해 범람할 공간의 유용성을 향상 하도록 설계
진입 계단, 경사로 및 로비는 바닥 면적에서 제외되거나 허용된 장애물로 재배치
1층 사용
침수형 홍수방재공법 적용시 홍수위 이하는 사용을 제한하고, 건조형 홍수방재공법 적용시 바닥 면적 에서 1층은 제외
주차 지상에 거리 주차가 가능할 경우 더 많은 유연성이 허용
기계 시스템
홍수위 이상에 기계 시스템의 위치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할 때 더 많은 유연성이 허용
29) www.nyc.gov/floodtext, NYC Planning
2) 홍수방재 건축
홍수방재 건축은 홍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줄이고, 범람원에 지어 지는 신축 건물은 홍수방재 기준을 준수해야 하며 기존 건물은 보강공사 또는 재건축을 통해 이 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다.
신축건물의 홍수방재는 연간 홍수 발생률 1%의 범람원 내에 있는 모든 신축 건물 또는 개축 및 보수공사를 하는 건물은 연방정부의 홍수방재 건축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주거용 건물은 주거공간을 설계홍수높이 보다 높여 지어야 하 며, 주차, 창고 또는 건물 진입공간과 같은 용도만 예상설계홍수위30)보다 낮은 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 기계설비는 높은 곳에 설치하고, 벽들은 침수형 홍수 방재공법으로 지어야 한다. 위험에 취약한 V 구역(<그림 2-8>참조) 내에서는 설계홍수높이보다 낮은 공간은 파도의 움직임을 허용할 수 있도록 개방해두거 나 폭풍시 건물 주요구조에 피해 없이 떨어져 나갈 수 있는 재료와 방법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주상복합 또는 비주거 건물의 경우 높게 올려 짓거나 침수형 홍수방재공법 또는 건조형 홍수방재공법들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림 2-9> 침수형 홍수방재 공법31) <그림 2-10> 건조형 홍수방재 공법32)
30) 예상설계홍수위(DFE) : 구조물을 높이거나 또는 홍수 방재 처리가 되어야 하는 최소한의 고도 로서, 연간 1% 확률의 폭풍 시 홍수의 예상 고도인 기준홍수위에 명시된 여유 높이 또는 안전을 위한 추가 높이를 더하여 산정
31) www.nyc.gov/floodtext, NYC Planning 32) 위의 인터넷주소와 같음
① 부지는 근접 사면의 가장 낮은 높이까지 성토를 함
② DFE 이하의 공간은 주차, 건물 진입 및 창고 등으로만 사용
③ 기계시스템은 DFE보다 높은 곳에 위치
④ 식물 또는 꺾인 계단 설치로 건물외관 향상
⑤ 옥상을 추가하여 손실된 저층부를 보완
⑥ 상업공간은 제거 가능한 방수막을 설치하여 침수방지 처리
침수형 홍수방재공법을 적용한 건물은 예상설계홍수위(DEF)보다 낮은 곳에 방수건축자재들을 사용하고 주차, 건물진입, 창고 등으로 이용을 제한한다. 이 로써 건물의 비주거 공간인 저층부에 물의 흐름을 허용함으로서 피해를 줄이는 방법이다. 건조형 홍수방재공법은 주상복합건물이나 비주거용 건물의 예상 홍 수수위보다 낮은 부분에 있는 모든 입구에 제거 가능한 방수막 등을 설치하는 등으로 물이 건물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방법이다.
3) 홍수보험 제도
홍수보험 제도는 홍수방재 건축과 더불어 홍수위험을 줄이는 하나의 방법으 로 폭우 또는 폭풍해일로 야기된 홍수에 따른 건물의 피해를 보상한다. 홍수보 험료는 홍수구역이 고위험 구역일수록 보험료가 높아지고 최저 주거층이 기준 홍수위(BFE) 보다 높을수록 보험료가 낮아진다. 그리고 건물유형이 1인 가구, 2~4인 가구, 아파트 및 비주거 건물일 경우도 보험료가 달라진다.
<그림 2-11> 기준홍수위(BFE)에 따른 보험료 비교33)
33) www.nyc.gov/floodtext, NYC Plan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