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ual value - Minimum Value Dimension Index =
Maximum value - Minimum Value
이것은 대부분 선행연구들이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에 한국환경정책․평가연 구원의 평가방법을 사용하고 있어 선행연구 결과와의 비교를 위해 Dimension Index방법을 이용하였다. Dimension Index방법은 아래 식을 이용하여 각 평가 요소의 값을 구하고 그 값에 따라 순위를 정하는 방법이다.
3.4.2 부호결정
자료를 표준화한 다음에는 평가요소 별로 부호를 결정한다. 이 경우에 부호 는 취약성과 관련하여 개념적으로 부여하게 되는데 평가요소의 값이 커질수록 취약성이 커지는 경우 (+)부호를 부여하고 평가요소의 값이 커질수록 취약성이 작아지는 경우에는 (-)부호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취약성과 비례관계에 있는 기후노출 차원의 평가요소 변수는 (+)부호를 부여하고 민감도 차원의 평가요소 변수는 취약성을 높이는데 기여하는 경우에는 (+)부호를 부여하고 취약성을 낮추는데 기여하는 경우에는 (-)부호를 부여한다. 한편 적응능력 차원의 평가요소의 경우에는 <표 3-6>에서 와 같이 최종 취약성 평가 계산식에서 (-)를 하기 때문에 그 자체가 취약성을 낮추는데 기여하므로 변수의 값을 그대로 사용하기 위해 (+)부호를 적용한다.
평가지표 평가계산식 연안도시 기후노출 강우 + 풍속 + 해수면
연안도시 민감도 인적요소 + 시설요소 + 토지요소 + 해양요소 연안도시 적응능력 경제능력 + 사회능력 + 행정능력 + 대응능력 연안도시 풍수해 취약성 (기후노출 + 민감도) / 2 - 적응능력
3.4.3 평가지표 계산
모든 평가요소의 변수에 대한 부호를 결정한 후에 연안도시의 평가지표인 연 안도시 기후노출 값, 연안도시 민감도 값, 연안도시 적응능력 값을 계산한다.
각 지표의 값은 <표 3-6>과 같이 먼저 지표를 구성하는 평가요소들에 대하여 표준화 값에 부호를 붙인 값을 합산하여 평가인자의 값을 구하고 각 평가인자 의 값을 합산하여 구한다.
<표 3-6> 연안도시 풍수해 취약성 평가지표 계산57)
최종적으로 연안도시 풍수해 취약성 값은 <표 3-6>에서 연안도시 기후노출, 연안도시 민감도, 연안도시 적응능력 지표값의 함수관계를 이용하여 구한다. 여 기서 구한 연안도시 풍수해 취약성은 그 값이 클수록 연안도시가 풍수해에 취 약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평가지표의 연산과정을 울진군 사례를 통해 살펴보면 먼저 2008년에서 2017 년까지의 울진군 통계연보, 기상청 자동기상관측연보, 국립해양조사원의 자료를 조사하여 평가요소별 자료값을 기입하고 Dimension Index방법을 적용하기 위 해 평가요소별로 최고값, 최소값, 평균값을 구하여 그 값을 표준화한다. 다음으 로 위에서 설명한 대로 평가요소의 부호를 정하고 <표 3-6>의 평가계산식을 적 용하여 <표 3-7>과 같이 각 평가지표값을 구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값을 이용하여 연안도시 풍수해 취약성 값을 구한다.
57) 저자 작성
평가 차원
평가
인자 평가요소 최고값 최소값 평균값 표준화 부호 부호
적용
기후 노출
강수량
1일 최대강수량(mm) 180.4 64.2 119.55 0.4763 + +0.4763 1일 강수량이 80mm
이상인 날수(일) 5 0 1.8 0.3600 + +0.3600
풍속
최대 순간풍속(m/s) 30.2 17.5 24.56 0.5559 + +0.5559 최대풍속(14m/s)
이상인 날수(일) 2 0 1 0.5000 + +0.5000
해수면
평균 해수면 높이(cm)
(기준 464cm) 15.1 12.1 12.51 0.1366 + +0.1366 최고 해수면 높이(cm) 20.9 13.2 14.63 0.1857 + +0.1857 +3.0373
민감도
인적요소
인구밀도(명/km2) 53.57 53.53 53.55 0.5000 + +0.5000 취약인구(65세 이상
인구비율(%)) 23.9 23.47 23.7 0.5348 + +0.5348
시설요소
단위면적당 도로길이
(km/km2) 0.4323 0.4303 0.4313 -0.5000 - -0.5000 하수도 보급률(%) 66.3 25.34 57.3 -0.7802 - -0.7802
자연요소
국토면적 중 산림면적(%) 85.22 85.09 85.17 -0.6153 - -0.6153 해안선 길이(km) 111.8 101.2 106.5 0.5000 + +0.5000 해양요소
고극조위(cm) 75 45 55.8 0.3600 + +0.3600
저극조위(cm) -16 -14 -14.6 -0.3000 - -0.3000
-0.3007
적응 능력
경제능력
예산규모(백만원) 977,395 519,047 695,377.17 0.3847 + +0.3847 지자체 예산중 예비비(백만원) 22,403 423 7,916.17 0.3409 + +0.3409
사회능력
의료기관수(개소) 44 22 38.83 0.7650 + +0.7650
의료기관 인력수(명) 296 210 265.83 0.6491 + +0.6491
행정능력
공무원수(명) 748 587 651.17 0.3985 + +0.3985
소방장비(구급차수)(대) 6 6 6 0 + 0
대응능력
공원(녹지)면적(m2) 33,221.70 32,982.20 33,171.83 0.7917 + +0.7917 제방면적(m2) 683,916 681,167 682,968.33 0.6552 + +0.6552 -3.9851
<표 3-7> 울진군 풍수해 취약성 평가지표 연산58)
58) 저자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