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제 5 장 연안도시 풍수해 방재계획 개선방안

연안도시 풍수해 방재계획 개선방안은 제3장 풍수해 취약성 평가결과와 제4 장 풍수해 방재계획 분석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풍수해 취약성 개선과 방재관련 법제도 개선, 풍수해 방재기준 개선, 연안도시 방재계획 개선으로 나 누어 제안하였다.

5.1.2 민감도 취약성 개선

민감도 평가결과에 따르면 인구밀도와 산림면적이 연안도시의 풍수해 취약성 민감도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안도시의 풍수해 취 약성을 낮추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홍수 및 태풍 등 풍수해에 취약한 연안도 시의 인구밀도를 낮추고 산림면적과 같은 녹지면적을 늘리고 연안침식에 대한 풍수해 방재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연안도시의 인구밀도를 낮추고 녹지면적을 늘리기 위한 방안으로 프랑스 의 연안토지 매입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프랑스의 연안토지 매입제도는 각 종 개발압력으로 부터 연안에서의 환경, 생태, 경관을 보존하는 것은 물론 자연 재해로부터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책으로 프랑스는 침식과 재해위험지역을 대상으로 연안토지를 매입하여 개발에 따른 인위적 침식원인을 차단하고 있다.

프랑스의 연안토지 매입제도는 해안법 에 근거하여 추진되고 있으며 국가 주 도아래 계획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추진되고 있으며 지역별로 해안관리에 관한 실행계획을 수립하나 해안선에서 10m 이내 행위제한 규정을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으며 해안선에서 10m 이내에서는 건축물의 신축을 금지하고 있다. 110)

이처럼 민감도 취약성 개선방안으로 무분별한 연안개발과 인구유입을 막기 위해 풍수해 발생 위험 연안지역의 토지를 국가가 매입하는 연안토지 매입제도 를 제안한다.

<그림 5-1> 연안토지 매입제도 개념111)

110) 윤성순 외3인, 2017.12. 연안침식 대응정책의 개선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p.103, p.142 111) 위의 책, p.151

5.1.3 적응능력 취약성 개선

적응능력 평가결과에 따르면 연안도시의 풍수해 취약성에 대한 적응능력의 중요한 평가요소로 공원․녹지면적과 제방면적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연안도시 의 풍수해 취약성을 낮추기 위해서는 도시의 공원․녹지면적과 제방을 증가시 켜야 한다. 이는 수해와 풍해를 막기 위한 대책으로 방파제 설치와 풍수해 취 약지역 내 완충공간 확보가 요구된다.

따라서 완충공간 확보를 위한 해외사례로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일 본은 재해대책으로 도시방재계획의 일환으로 방재공원을 조성하고 있다.

<표 5-1> 일본의 방재공원 특징112)

종류 성격 역할 비고(한국)

광역공원 광역방재거점 기능을 지닌 도시

공원(광역방재거점형 공원) 주로 광역적 복구, 부흥활동

거점을 하는 도시공원 광역권 근린공원 도시공원 광역피난지 기능을 지닌 도시

공원(광역피난지형 공원) 지진, 화재 등 재해 발생한 경우

광역적 피난에 이용되는 도시공원 도시지역권 근린공원 근린공원 1차 피난지 기능을 지닌 도시

공원(1차피난지형 공원) 지진, 화재 등 재해 발생한 경우 일시적 피난에 이용되는 도시공원

근린생활권, 도보권, 근린공원 녹도 피난로 기능을 지닌 도시공원 광역피난지와 안전한 장소로

연결되는 피난로나 녹도 - 완충녹지 배후 일반시가지를 차단하는

완충녹지 주된 재해를 방지하는 목적과

완충녹지 등의 도시공원 완충녹지 가구공원 생활권방재거점 기능을 지닌 도시

공원(생활권방재거점형 공원) 주로 생활권방재활동 거점을

하는 도시공원 소공원,

어린이공원 일본의 방재공원은 법적인 지위를 가진 도시공원이 아니지만 기존 도시공원법 에서 분류하고 있는 공원을 크기에 따라 피난권역과 피난인구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기능을 부여하고 있으며, 재해 시 각 유형별로 어떤 역할과 시설을 갖추어 야 하는지를 권장하고 있다. 이처럼 일본의 방재공원은 평상시 오픈스페이스로 써 도시공원 기능을 유지하다가 유사시 방재공원으로 전환해 사용하고 있다.113) 따라서 적응능력 취약성 개선방안으로 연안도시 완충공간 확보를 위해 연안방 재공원 조성을 대안으로 제안한다.

112) 도창희, 2017.12.12 [기고]일본 도시공원, 유사시 ‘방재공원’으로 전환, Landscape Times (http://www.l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