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해외 연안도시 방재사례
2.3.2 영국
개발사업 후보지는 순차검증 과정을 통해 홍수위험이 최소가 되는 지역에 우 선적으로 지정된다. 먼저 홍수구역-1(Flood Zone 1)에 속하는 입지가 우선적으 로 고려되며 홍수구역-1(Flood Zone 1)에 합리적인 입지가 없는 경우에는 홍수 구역-2(Flood Zone 2) 내지 홍수구역-3(Flood Zone 3)에 속하는 입지가 순차적 으로 검토된다. 순차검증을 적용한 결과 합리적인 가용지가 없거나 홍수위험지 역임에도 불구하고 지속가능한 개발 측면이 월등히 우세한 경우에는 예외검증 을 통해 홍수위험지역에서의 개발을 허용하되 엄격한 홍수위험관리방안을 마련 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개발을 허용하도록 한다.
<표 2-8> 영국의 홍수위험지역 구분36)
구분 연간 홍수확률 개발용도
Flood Zone 1
(낮은 확률) 1/1,000미만 · 모든 토지이용도 개발 가능
Flood Zone 2 (중간 확률)
내륙 :
1/100~1/1,000 해안 :
1/200~1/1,000
· 수자원관리시설 (홍수통제시설, 펌프, 부두, 수운지원시설, 수변공간시설)·
· 홍수취약도가 낮거나 중간정도인 필수기반 시설
· 예외검증을 통과한 홍수취약도가 높은 시설 (지하주택, 유해물질 보관시설, 비상대패시설, 경찰서, 소방서, 통신시설 등)
Flood Zone 3a (높은 확률)
내륙 : 1/100 이상 해안 : 1/200 이상
· 수자원관리시설 또는 홍수취약도가 낮은 용도는 허용되지만, 그 외의 용도는 불허 또는 엄격한 검증과정을 거쳐 개발
Flood Zone 3b (홍수조절지)
1/20 이상 또는 1/1,000 미만확률의 홍수설계지
· 홍수조절지
· 예외검증을 통과한 필수기반시설(대피도로, 발전소, 변전소, 풍력발전소 등)
36) 국립방재교육연구원 방재연구소, 2010.12, 도시방재기준 개발을 위한 요소별 분류 및 방향 설정, p.43
<표 2-9> 영국의 홍수위험 취약도에 따른 시설제한37)
구분 내용
친수개발
· 홍수조절 기반시설
· 상수도 및 펌프장
· 우수관거 및 펌프장
· 모래 및 자갈 작업장
· 선착장, 마리나, 부두
· 선박시설
· 선박 건조장, 부두 주변 생산작업장
· 수상 레크레이션(숙박시설 제외)
· 해안 구조대 건물
· 오픈스페이스, 야외스포츠, 레크레이션 용지
필수기반시설
· 위험지역을 통과하는 필수 교통시설
· 운영상의 이유로 홍수위험지에 위치해야 하는 필수 공공시설 (발전소, 변조소 및 홍수시 운영할 필요가 있는 수처리시설)
· 풍력발전소
낮은 취약도
· 홍수시 운영의무가 없는 경찰서, 소방서
· 상저, 식당, 카페, 업무시설, 일반산업시설, 저장시설, 여가시설
· 보통취약도에 포함되지 않는 비거주용 건축물
· 농업 및 임업용 토지와 건축물
· 폐기물 처리시설(매립지 및 위험폐기물처리시설 제외)
· 홍수 시 운영을 유지할 필요가 없는 수처리시설
· 수처리시설(홍수시 적절한 오염조절 및 우수관리 수단이 있는 경우)
중간 취약도
· 병원
· 생활보호시설, 어린이집, 사회서비스시설, 형무소, 호스텔 등 거주기관
· 주택, 기숙사, 주점, 나이트클럽, 호텔 용도의 건축물
· 헬스, 탁아소, 교육시설 등 비거주용 건축물
· 매립지 및 위험폐기물 관리시설부지
· 휴양캠핑 용지
높은 취약도
· 홍수시 운영의무가 없는 경찰서, 소방서, 관제소, 통신시설
· 긴급소개지점
· 지하주택
· 이동식 주택 및 상설주거용 공원주택
· 승인이 필요한 위험설비
37) 위의 책, p.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