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방재 관련 법제도
4.1.2 연안 방재 : 연안침식관리구역
연안관리지역계획은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이 관할 연안의 효율적인 보전ㆍ이용 및 개발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지역에 대하여 10년마다 통합계획의 범 위에서 지역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며, 시·도지사가 지역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지역은 시·도지사가 지역계획을 수립함을 원칙으로 한다. 또 한 시ㆍ군ㆍ구의 관할 시ㆍ도지사가 다른 경우에는 관계 시ㆍ도지사 간의 협의 에 의하여 공동으로 지역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지역계획의 방재관련 내용으로는 관할 연안의 범위, 계획 수립 대상 연 안, 관할 연안의 관리에 관한 정책 방향, 통합계획의 시행에 필요한 사항, 연안 용도해역 및 연안해역기능구의 지정ㆍ관리, 관할 연안침식관리구역의 관리 방 향, 자연해안관리목표제에 관한 사항, 관할 연안의 연안정비사업 방향 등을 포 함하고 있다.
1) 연안침식관리구역 지정
「연안관리법」에서의 방재관련 지역지구의 지정은 크게 연안용도구역과 연 안침식관리구역이 있으며, 연안용도구역은 다시 이용연안해역, 특수연안해역, 보전연안해역, 관리연안해역으로 나뉜다. 이중에서 방재와 관련된 해역은 특수 연안해역의 재해관리구이다. 특수연안해역은 연안해역 중 군사시설 및 국가 중 요시설의 보호를 위하여 특별한 관리가 필요한 해역, 해양의 환경 및 생태계가 훼손되었거나 훼손될 우려가 있어 특별한 관리가 필요한 해역으로 해일, 파랑, 지반의 침식 또는 적조 등 연안재해가 자주 발생하여 관리가 필요한 구역을 특 별히 재해관리구로 지정하고 있다.
연안침식관리구역은 연안침식으로 인하여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어 특별한 관리가 필요한 지역에 대하여 침식관리구역으로 지정하여 계획적이고 체계적으로 침식에 대응하기 위하여 지정하며, 해양수산부장관이 연안침식으로 인하여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어 이를 특별 히 관리할 필요가 있는 지역을 해양수산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연안침식 관리구역을 지정한다.
연안침식관리구역 지정기준은 연안침식으로 인하여 토지, 바닷가 또는 제방, 도로 등 시설물의 기능을 더 이상 유지하기 어렵거나, 연안보전을 위한 연안정 비사업 후에도 연안침식이 계속 진행되거나, 공유수면 매립을 수반하는 개발사 업의 시행으로 장래에 연안침식 피해 발생이 우려되는 지역에 대해 지정한다.
또한 연안침식관리구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핵심관리구역과 완충 관리구역으로 구분하고 있다. 핵심관리구역은 연안침식이 빠르게 진행 중이거 나 이로 인해 피해가 심각하여 긴급한 조치가 필요한 구역에 지정하고, 완충관 리구역은 핵심관리구역과 맞닿은 지역으로 핵심관리구역 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구역에 지정한다.
<표 4-7> 연안침식관리구역 구분72)
구 분 내 용
핵심관리구역 · 연안침식이 빠르게 진행 중이거나 이로 인한 피해가 심각하여 긴급한 조치가 필요한 구역
완충관리구역 · 핵심관리구역과 맞닿은 지역 등으로서 핵심관리구역 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구역
또한 연안완충구역은 바다와 육지의 전이지역으로 연안의 독특한 생태적 특 징, 환경적 가치, 뛰어난 해안경관을 가진 바닷가, 연안재해를 저감할 수 있는 해안사구나 해안림이 분포하는 바닷가 및 이를 보전하기 위해 필요한 주변지 역, 해수면 상승이나 해양환경의 변화 등으로 연안침식이나 범람이 지속적 또 는 주기적으로 나타나 안전하고 지속가능하게 이용하기 어려운 바닷가, 해수면 상승이나 기후변화 등에 따른 연안재해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연안육역을 보호하기 위하여 토지등록 등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바닷가에 지정한다. 그리 고 연안완충구역에서는 의자, 산책로, 안내판 등 일시적으로 이용하거나 연안완 충구역을 알리는 시설물 등을 필요한 범위 내에서 설치할 수 있다.
2) 연안침식관리구역 현황
연안침식관리구역은 삼척시 2개소, 울진군 2개소, 신안군 1개소, 태안군 1개 소가 지정되어 있다.
72) 해양수산부, 「연안관리법」 제20조의2 재정리
<표 4-8> 연안침식관리구역 현황73)
명 칭 위 치 총면적(단위: 천㎡) 비 고
핵심관리구역 완충관리구역 (지정년도) 삼척시 원평해변
연안침식관리구역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2,310
2016년 8월 5일 693 1,617
울진군 금음해변
연안침식관리구역 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면
3,811
673 3,138 태안군 꽃지해변
연안침식관리구역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4,294
2,262 2,032 삼척시 맹방해변
연안침식관리구역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18,937
2015년 8월 10일 4,647 14,290
울진군 봉평해변 연안침식관리구역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4,268
814 3,454 신안군 대광해변
연안침식관리구역
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면
14,235 6,138 8,097
3) 연안침식관리구역 제한사항
연안침식관리구역의 핵심관리구역에는 연안정비사업에 해당하는 경우를 제외 하고 건축물, 그 밖의 공작물의 신축ㆍ증축, 공유수면 또는 토지의 형질변경 행 위, 바다모래ㆍ규사 및 토석의 채취행위, 그 밖에 연안침식에 영향을 미치는 행 위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행위인 입목ㆍ대나무의 벌채 또는 훼손, 사구 식 생의 훼손 또는 변형을 제한하고 있다.
또한 연안침식관리구역의 완충관리구역에서도 핵심관리구역의 침식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인정하는 경우 그 행위를 제한할 수 있다. 그러나 해양수산부 장관 또는 시ㆍ도지사의 승인을 받은 해안사방사업과 자연재해의 예방 및 복구 를 위한 활동 및 구호 등에 필요한 경우, 공원사업의 시행 및 공원시설의 설치 가 필요한 경우는 적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연안침식으로 인하여 인명과 재산상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어 긴급한 조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관리구역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일정한 기간을 정하여 출입을 제한할 수 있다.
73) 해양수산부, 고시 제2015-120호(2015.8.13.), 제2016-109호(2016.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