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리더의 경계확장행위
2.3 본 연구에서의 상사 경계확장행위 개념 정의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Marrone, 2010). 강화 활동은 조직 외부에도 관심을 두지 않은 채 오로지 내부 구성원들의 업무 몰입과 정체성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행동을 일컫는다. 그러나 이들은 리더십 연구로서 보다는 리더, 팀, 조직의 효과성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리더의 구체적 행동 유형으로써 경계 관리 활동을 설명하는 것에 주된 목적이 있었다.
지금까지 리더가 수행하는 경계확장의 다양한 하위 행동 차원들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아직까지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구분 체계를 활용한 실증연구나 분류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한 연구는 존재하지 않는다. 일부 연구에서 리더 수준에서의 경계 확장을 살펴본 실증연구가 존재하긴 하나 그들도 포괄적인 관점에서의 경계 확장 리더십에 대한 것이 아니라 경계 확장 리더 행위라는 단일 차원에서 접근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여, 상사와 구성원의 일대일 관계에서 상사의 경계확장행위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조직 내 모든 수준에서 가능하나 보다 효과적인 경계확장행위를 위해 필요한 업무적 능력과 의사소통 구조를 고려하여 리더의 역할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경계확장행위는 기본적으로 외부지향적 활동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Marrone et al. (2007)과
Mintzberg(2009)의 상사의 역할에 관한 연구를 근거로 하여 다음의
기능을 수행하는 행위로 정의한다. 먼저, 상사의 경계확장행위는 정보와 자원의 흐름을 규제하는 기능을 한다. 우리 팀 혹은 조직의 업무 상황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파악한 뒤 목표 달성을 위해 구성원들이 필요로 하는 업무 자원을 외부로부터 조달하여 제공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주로 정보 및 자원 교환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외부 환경의 변화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필요한 정보 수집, 조직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외부 환경에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까지도 수행한다. 따라서 상사의 외부적 활동을 통한 새로운 정보 및 자원의 습득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효과는 경계 관리의 기원이 조직의 경계에서 정보와 지식을 공유, 흡수, 전파하는 활동에 주목했던 혁신 연구(예: Aldrich & Herker, 1977; Cross et al.
2015; Katz & Tushman, 1983; Tsai, 2001; Teigland & Wasko, 2003)에서 시작되었다는 점과도 일맥상통한다. 경계확장 개념은 R&D 연구와 기술 혁신의 확산 등의 영향을 받은 연구 갈래로써, 경계 외부와의 의사소통을 통해 팀이 필요로 하는 자원을 획득하는 것을 중요시했다(Allen, 1984).
또한 조직의 대표자로서 외부와의 다양한 연결 관계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대부분의 상사는 팀을 이끄는 책임을 맡게 되면 성과 향상을 위해 강한 팀워크를 구축하고 내부 의사소통을 활성화하는 등 집단 내부에만 초점을 맞추곤 한다. 그러나 오늘날 빠른 변화와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외부 관계와의 긴밀한 관계
형성이 매우 중요하다. 조직은 다양한 이해관계자 집단과의 관계를 형성하여 그들과의 연합을 구축하고 리더는 이를 활용하는 행동들을 수행하는데, 구체적으로 외부 협력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필요시 업무 지원을 요청하기도 하고 과도한 외부 영향력으로부터 집단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직접적으로 구성원 개인이 경계를 넘나들며 상호작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도 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조직 구성원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계확장행위만을 살펴보기로 하며, 이는 개인 수준의 연구를 수행할 것임을 의미한다. 동일한 리더(상사)의 행위라도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행위인지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것인지에 따라 그 효과의 정도나 방향성은 다를 것이다. 마찬가지로 구성원 개인에게 제공하는 상사경계확장행위는 팀 전체 혹은 조직을 대상으로 하는 경계확장행위 개념과는 차이가 있다. 나아가 행위 대상인 조직 구성원과는 같은 팀 혹은 부서 내 소속되어 있는 경우를 전제로 한다. 이는 조직 내 구성원들의 현실적인 상황을 반영하는 것으로서, 상사의 경계확장행위는 상호간 업무관련도가 있는 관계 내에서 이루어진다.
이상 논의한 전제조건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상사의 경계확장행위(boundary spanning behavior of Leader)는 ‘외부와의 소통을 통해 조직 혹은 팀 내부에서 확보하기 어려운 정보와 자원을 확보하고 제공함으로써, 구성원들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시키는 행동’으로 규정한다. 구체적으로 팀 경계를 넘어 주요 외부 이해관계자들과의 교류하며 외부의 정보와 자원을 획득해서 내부로 끌어들여 올 수 있도록 조직 집단 간 정보 및 자원의 흐름을 가능케하는 일련의 행동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사의 경계확장행위에 대해서는 연구가설에서 한번 더 언급하기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