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자기주도 직무변화행위는 비록 직무와 관련된 행동을 형상화한다는 점에서는 관련성이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구분 가능한 여러 유사 개념들을 보유하고 있다(Niessen et al., 2016). 역할 외 행동(extra-role

behavior)의 하위 차원 행위들과 적극적 형태의 업무 수행 행동 관련

개념들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조직의 외부 환경이 급격히 변화하는 업무 환경에서 관리자가 현장의 모든 사안들을 고려하는 것은 불가능하기에, 조직에서 효율적인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실제 직무를 수행하는 근로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졌다(Organ, 1988). 업무 수행 능력 자체도 매우 중요하지만 주어진 과업 이외의 조직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자 하는 다양한 형태의 재량적 행동이 관심의 대상이 된 것이다. 학자들은 이러한 행동들을 조직시민행동, 친사회적 행동, 맥락성과 등으로 개념화하였다. 이러한 행동들의 특징은 자신의 직무에 직접적으로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니라, 과업 수행 과정에서 타인 혹은 조직을 돕기 위한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대부분 직무 수행자 자신보다는 타인 혹은 조직 차원의 긍정적 결과를 얻게 된다는 점에서, 직무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개인의 긍정적 결과를 지향하는 자기주도 직무변화행위와는

차별성을 띄게 된다. 또한 조직 내에서 구성원들이 자신의 직무를 규정짓는 가운데, 암묵적으로 조직 내 타인과의 관계적 요소들은 내포하고 있기는 하나 해당 행동들로 인해 일의 의미 변화가 나타나는 등의 효과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도 자기주도 직무변화와 차이가 있다.

다음으로 조직구성원이 업무를 수행할 때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역할을 하는 행동 패턴에 초점을 둔 개념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선행연구에서는 변화주도 행동, 주도적 행동 성향, 주도적 행동 등의 개념과 자기주도 직무변화행위와의 유사성에 대해 언급하였다(Nissen et

al., 2016). 이러한 행동 유형들은 한 개인이 직무를 수행할 때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에서 직무, 일 그 자체를 주요 관심으로 두고 있으며 이에 과업 경계 영역을 규정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즉, 조직에 있어 역기능적이라고 생각하는 것들의 문제해결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는 행동들이다. 이에 반해 자기주도 직무변화행위는 상대적으로 문제해결을 통한 집단이나 조직의 효과성 증진에는 관심이 덜 하다는 특징을 보인다.

또한 과업영역 그 자체뿐만 아니라 비가시적 영역인 관계적 측면까지도 모두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개별 행동들의 세부 정의는 <표 5>와 같다.

<표 5> 자기주도 직무변화행위의 유사개념

유사개념 정의 자기주도

직무변화행위와의 차이점 조직시민행동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역할 외 행동으로 조직 내에서 타인을 돕는 행동이나 조직을 위한 양심적 행위를 행하는 것

일의 의미 변화 고려하지 않음, 직무수행자 개인의 긍정적 결과에 관한 관심 적음

친사회적 행동 (Prosocial behavior)

조직구성원이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안 상호작용하고 있는 개인, 집단, 혹은 조직의 이익을 증진시키기 위한 의도로 행하는 행동

일의 의미 변화 고려하지 않음, 직무수행자 개인의 긍정적 결과에 관한 관심 적음

맥락성과 (Contextual performance)

개인의 직무 자체에 규정되어 있지는 않지만 자발적으로 조직의 규정과 절차를 준수하여 유효성을 제고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반적인 행동

일의 의미 변화 고려하지 않음, 직무수행자 개인의 긍정적 결과에 관한 관심 적음

변화주도 행동 (Taking charge)

조직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조직구성원의

자발적이고 구조적인 노력

직무 수행에 있어 사회적 관계 측면을 포함하지 않음, 일의 의미 변화 고려하지 않음, 직무수행자 개인의 긍정적 결과에 관한 관심 적음

주도적 행동 성향 (Personal initiative)

개인이 주어진 과업을 넘어 자기 주도적으로 문제에 접근하고자 하는

직무 수행에 있어 사회적 관계 측면을 포함하지 않음, 일의 의미 변화 고려하지

자발적 행동 않음, 직무수행자 개인의 긍정적 결과에 관한 관심 적음

주도적 행동 (Proactive behavior)

스스로 주도권을 가지고 주어진 업무 환경을 변화 시키거나 새로운 환경을 창출하는 행동

직무 수행에 있어 사회적 관계 측면을 포함하지 않음, 일의 의미 변화 고려하지 않음, 직무수행자 개인의 긍정적 결과에 관한 관심 적음

과업 수정 행동 (Task revision)

오류가 있는 절차, 부정확한 직무기술서 등 조직 내의 역기능적 역할을 개선하고자 하는 행동

직무 수행에 있어 사회적 관계 측면을 포함하지 않음, 일의 의미 변화 고려하지 않음, 직무수행자 개인의 긍정적 결과에 관한 관심 적음

용감한 행동 (courageous behavior)

조직구성원에게

자유재량권이 주어지고 적절한 맥락평가가 가능한 경우, 목표 달성을 위해 위험한 상황에서 기존 과업의 규범이나 역할을 혁신하는 행동

자기주도 직무변화행위의 극단적인 형태로써, 행위 당사자에게 상당한 위험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