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자기주도 직무변화행위의 선행연구 고찰
4.2 자기주도 직무변화행위의 결과요인
<표 8> 자기주도 직무변화행위의 결과요인
변수 Approach
resource crafting
Approach demands crafting
Avoidance demands crafting
Work engagement + + -
Burnout - - +
Job satisfaction + + -
Turnover intentions - - +
Job performance + + -
Job strain - - +
Person-Job fit + + N/A
Meaningfulness + + N/A
Psychological well-
being + + N/A
Psychological
distress - Null +
Creativity + Null -
제 3 장 연구모형 및 가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오늘날의 급변하고 복잡한 경영 환경 속에서 조직은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해 조직 내부 관리뿐만 아니라 조직 경계 외부 관리를 필요로 한다. 이에 조직의 대표로서 리더의 역할은 더욱 커지게 된다. 리더는 자신의 영향력을 바탕으로 외부와의 긴밀한 연결을 통해 조직 구성원들이 변화하는 업무 환경에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많은 역할을 해주어야 할 것이다(Mintzberg, 2009; Yukl, 2012).
하지만 현재까지 리더(상사)의 외부지향적 행동인 경계확장행위에 대한 이론적, 실증적 논의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상사의 경계확장행위에 관한 선행연구의 미흡한 점을 보완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사의 경계확장행위가 구성원의 직무수행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해당 관계를 설명하는 메커니즘의 일부를 구체적으로 검토하고자 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구체적인 상황요인에 대한 고려로 구성원의 개인적 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연구가설을 구체화하였다.
제 1 절 연구모형의 설정
본 연구는 리더십 관련한 선행 연구들에서 상대적으로 언급이 적었던 외부지향적 리더십인 상사의 경계확장행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외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하는 상사의 행동이 구성원의 성과로 연결되는 과정에서의 메커니즘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상사의 경계확장행위는 외부 환경과의 소통을 통해 직무수행에 필요로 하는 외부자원과 지식을 교환하여 내부
구성원에게 전달하는 행동으로써 자원이 풍부한 업무환경을 조성하고 개인자원의 증가를 유발하여 구성원의 자기주도 직무변화 행위를 증진시킬 것이며, 이로 인해 직무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한, 동기적 측면에서 상사의 경계확장행위는 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경험하게 함으로써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행동의 기제로서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물론 상사의 경계확장행위가 본 연구에서 제안한 동기 부여 측면 이외에 다른 메커니즘으로 연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사의 경계확장행위가 구성원의 업무 부담을 가중시키거나 외부와의 상호연관성을 증가시켜 자기주도 직무변화행위를 유발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자기결정이론에 기반하여 상사 행위와 구성원의 동기적 측면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끝으로 리더십의 상황 접근 이론을 사용하여 구성원의 특성인 조절초점동기가 리더의 경계확장행위와 구성원의 심리적, 행동 결과변수와의 관계를 조절하는 요인으로써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상의 개괄적인 연구 모형에 대한 소개를 바탕으로 다음 절에서는 세부적인 가설을 전개하도록 하겠다. 본 연구의 모형은 아래의 <그림 2>과 같다.
<그림 2> 연구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