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1. 경계확장행위의 정의와 개념적 구분

1.3 유사개념과의 비교

Faraj & Yan (2009)

Boundary spanning

Boundary buffering

Boundary reinforcement Marrone

(2010)

Representation Coordination of task performance

General information search Brion et al.

(2012)

Political support

Team protection

External coordination

Information scanning Somech &

Khalaili (2014)

Boundary loosening

Boundary tightening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명시하였다. Allen(1977)은 당대의 우수

R&D 기업을 대상으로 사내외에서 뛰어난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

소수의 R&D 전문가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들이 일종의 문(gate)의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새로운 기술 및 전문지식이 유입되어 조직 내에 전파되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기술적 게이트키퍼(technical gatekeeper)라 불렀으며 이러한 네트워크 중개인의 유무로 인해 집단 간의 정보의 격차가 발생함을 밝혔다.

게이트 키퍼는 조직 내외부와 연결 관계를 지니고 있고 조직 내부에 지식과 정보를 전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경계확장행위와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경계 확장에는 정보 탐색 및 전달 측면 외에도 대표자로서의 측면 등이 고려될 수 있는 점을 감안하면, 게이트 키핑은 경계확장행위가 지니는 모든 측면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경계확장행위의 구성요인 중의 하나로써 게이트 키핑을 인식하기도 한다(예: Friedman & Podolny, 1992; Katz & Tushman, 1981). 또한 게이트 키퍼의 경우 조직 내 정보의 탐색이 개인적 이익을 위한 것일 수도 있다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1.3.2 정보 중개 행위(knowledge brokering behavior)

정보 중개 행위는 단일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여러 그룹들 간에 의사소통을 하는 과정에서의 정보 전달을 뜻한다(Brown & Duguid, 1998).

오늘날 활용되는 정보 중개 행위에 대한 연구는 1990년대에 들어서야 진행되기 시작하였으며, 초창기에는 주로 보건의료와 교육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졌기에 경영학 분야에서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그 수가 적은 편이다. 주로 조직학습 또는 지식 관리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개념으로, 기업 조직 내에서 다양한 집단과의 의사소통에 참여하여 그들간의 정보 공유 및 전달을 하게하는 행위를 일컫는다(Brown &

Duguid, 1998). 네트워크 규모가 커지면서 구성요소화되는 개별 집단들을 연결시켜주는 브로커가 생겨나고, 이들의 정보 전달로 인해 네트워크가 확대되는 효과가 발생하기도 한다.

특정 조직에 속해 있으면서 외부 지향적 관점을 지닌 채 동일한 조직 내에 존재하는 여러 집단 간을 연결 혹은, 조직과 타조직을 연결시키는 등 이질적인 속성의 집단간의 정보 흐름을 도와주는 경계 확장과는 다르게, 정보 중개는 어떠한 조직 내에도 속해있지 않은 채 정보 전달을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개념적 차이가 존재한다.

정보 공유 측면에서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외부와의 의사소통 유무에 있어 그 차이가 분명함을 확인할 수 있다.

종합해보면, 경계확장행위와 게이트 키핑의 개념은 조직(팀) 내부와 외부 환경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외부로부터의 새로운 정보의 전달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같은 선상에서 논의된다. 이로 인해 경영환경에서의 불확실성을 해소할 수 있고 나아가 새로운 정보가 전파되며 혁신을 이루어낼 수 있는 초석이 다져지기도 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경계확장행위의 경우에는 게이트 키핑과는 달리 정보 습득 및 전달 그 이상의 내용이 개념적 정의에 포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넘어 반대로 외부와 상호 호혜적 관계를 형성하는 정보 교환, 대표자로서의 이해관계자와의 협상 및 그로부터의 보호 등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개념적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중개 행위의 경우 게이트 키핑과 매우 유사한 개념적 특징을 보이고 있으나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그룹에 소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이 또한 차별화 되는 개념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