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이주 여성

Dalam dokumen 국제 평화문서 번역집Ⅱ (Halaman 102-105)

2. 누가 더 위험에 처해 있는가?

2.2. 이주 여성

특히 이주 취업 여성들이 위험에 직면

전 세계적으로 이주 취업자들은 지난 5년 동안 직장 내 폭력 및 괴롭힘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2.3].17

전체적으로, 이주 취업자는 비이주 취업자에 비해 폭력 및 괴롭힘을 경험했을 개연성이 3.1%p 더 높았다.

16개요와 1장의 몇몇 각주에서 설명했듯이, 중국에서는 신체적 폭력 및 괴롭힘에 대한 질문을 하지 않았고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및 아랍에미리트에서는 성폭력 및 성희롱에 대한 질문을 하지 않았다. 중국, 알제리, 요르단, 모로코, 파키스탄에서는 성폭력 및 성희롱에 대한 질문을 수정하여 제시하였다.

17실질적인 측정을 위해 그리고 유엔의 권고에 따라, “국제 이주자”는 “해당 국가의 통상적인 거주자이면서 [1] 다른 국가의 시민(외국인)이거나 [2]

출생지가 외국인 자(해외 출생자)”로 측정할 수 있다(ILO 2018a, para. 13). Gallup World Poll은 2번 기준을 사용했다.

이주 여성의 경우 이주 남성보다 폭력 및 괴롭힘을 경험할 개연성이 8.7%p 더 높았다(26.6% 대 17.9%).

또한 이주 여성은 형태를 불문하고 폭력 및 괴롭힘을 당할 개연성이 비이주 여성보다도 더 높았다(26.6%

대 18.4%).

[그림 2.3] 지난 5년 동안 직장 내 폭력 및 괴롭힘을 경험한 취업자의 출생 국가별, 지역별, 소득 그룹별 및 성별 점유율, 2021(%)

설문 조사 질문: 이러한 일이 마지막으로 일어난 시점이 대략 언제입니까?(지난 1년 이내, 2~5년, 5년보다 이전)

참고: 전 세계, 지역 및 소득 그룹별 적용 범위는 그림 2.1을 참조한다. 이 분석에서는 다른 국가에서 태어났다고 답한 응답자는 “이주자”로 간주하고, 해당 국가에서 태어났다고 답한 응답자는 “비이주자”로 간주한다.

출처: Lloyd's Register Foundation World Risk Poll 2021[데이터 세트]

다양한 형태의 폭력 및 괴롭힘을 살펴보면, 이주 여성들은 비이주 여성들에 비해 성폭력 및 성희롱을 경험할 개연성이 거의 두 배나 더 높았다(10.0% 대 5.4%)[그림 2.4].

이주 여성은 정신적 폭력 및 괴롭힘과 관련해서도 비이주 여성보다 위험에 더 많이 직면하며(20.4%

대 14.8%), 정도는 덜하지만 신체적 폭력 및 괴롭힘을 경험할 개연성도 더 높았다(6.1% 대 5.3%).

성별, 연령, 이주 상태 간의 교집합을 살펴보면[그림 2.5], 저연령 이주 여성 중 40.7%가 지난 5년 동안 직장에서 임의의 형태의 폭력 및 괴롭힘을 당한 반면 비이주 여성의 경우는 26.8%였다. [그림 2.4] 직장 내 신체적, 정신적 및/또는 성적 폭력 및 괴롭힘을 경험한 취업자의 폭력/괴롭힘 유형별, 출생

국가별 및 성별 점유율, 2021(%)

설문 조사 질문: 개인적으로 직장에서 [구타, 속박 또는 침 뱉기 / 모욕, 위협, 따돌림 또는 협박 / 원치 않는 성적 접촉, 언사, 사진, 이메일 또는 성관계 요구]와 같은 [신체적/정신적/성적] 폭력 및/또는 괴롭힘을 경험한 적이 있습니까?

이민자 비이민자

참고: 직장 내 신체적, 정신적 또는 성적 폭력 및 괴롭힘을 경험했다고 답한 15세 이상의 모든 취업자 중. 전 세계 추정치는 각 국가의 15세 이상 전체 취업자 수를 기준으로 가중치가 부여된다. 이 분석에서는 다른 국가에서 태어났다고 답한 응답자는 “이주자”로 간주하고, 해당 국가에서 태어났다고 답한 응답자는 “비이주자”로 간주한다.

출처: Lloyd's Register Foundation World Risk Poll 2021[데이터 세트]

[그림 2.5] 지난 5년 동안 직장 내 폭력 및 괴롭힘을 경험한 취업자의 출생 국가별, 연령별 및 성별 점유율, 2021(%) 설문 조사 질문: 이러한 일이 마지막으로 일어난 시점이 대략 언제입니까(지난 1년 이내, 2~5년, 5년보다 이전)?

5–24 25–34 35–44 45–54 55+

참고: 전 세계, 지역 및 소득 그룹별 적용 범위는 그림 2.1을 참조한다. 이 분석에서는 다른 국가에서 태어났다고 답한 응답자는 “이주자”로 간주하고, 해당 국가에서 태어났다고 답한 응답자는 “비이주자”로 간주한다.

출처: Lloyd's Register Foundation World Risk Poll 2021[데이터 세트]

Dalam dokumen 국제 평화문서 번역집Ⅱ (Halaman 102-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