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장
2. 협동연구의 종합평가
본 협동연구는 성숙한 세계국가 구상의 이론적 내실화와 현실적 추진 전략 및 실천방안의 제고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협동연구는 다섯 개의 연구 과제를 설정하였으며 이중 네 개는 협력 네트워크 외교 분야 포괄적 실리 외교 분야 안보정책 분야 및 대북통일정책 분야로 구분되어 각기 분야별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들 연구는 분야별로 구체적인 추진 전략 및 실천방안을 도출하는데 주안점을 둠으로써 기존 연구들과의 차별성을 꾀하고 있다 나머지 한 편의 연구는 성숙한 세계국가 구상에 대한 총괄적 검토이자 네 개의 분야별 연구 결과들에 대한 통합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개의 분야별 연구에서 도출된 추진 전략과 실천방안들은 표 에 통합 적으로 정리된다
이번 협동연구의 가장 큰 수확은 부문별로 추출된 추진전략과 실천방안들 을 시기별로 구분 정리함으로써 차후 연구들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일 것이다 물론 분야별 추진전략과 실천방안을 단기 중기 및 장기의 시기 별로 구분하는 데는 다소의 임의성이 내재하고 있다 또한 분야별로 제시된 추진전략과 실천방안이 현실적 구체성을 확보하기에는 여전히 미흡한 부분 들이 존재한다 이들 미흡한 부분들은 차후의 연구들이 풀어야 할 숙제로 남겨지고 있다
장 - 결 국가비전 선진화를 통한 세계일류국가 론
외교안보의
비전 성숙한 세계국가
외교안보통일 전략목표
상생 공영의 남북관계 구축 협력 네트워크 외교 확대 포괄적 실리외교 지향 미래지향적 선진안보체제 구축 전략의
기본방향
단기 대 전략목표 견지 중장기 진입과 통일 달성
분야별 추진전략
외교
안보 통일
협력 네트워크 외교 포괄적 실리외교
세기 한 미 전 략동맹 강화
주요국 일 중 러 관계 강화
아시아 글로벌차 원의 네트워크적 접근 및 맞춤형 양자관계 추진
에너지 협력외교 강화
체결 다변 화
기여외교 확대 재외국민 보호 및 재외동포 활동지 원
다양한 행위자들간 의 역할배분과 협 력체계 정비
선진 군사능력 확 충
국방경영 효율화 대외군사협력 확대 포괄안보 분야 역 량 구비
비핵 개방 구상 실현 그랜드 바겐 남북관계와 주변국 관계의 발전 조화
시기 별 실천 방안
단기
~ 년
한 미동맹 발전기 반 공고화 주요국 교류확대 와 내실화 한 미 일 한 중 일 협력을 위한 정상외교 범아시아 대상 정 상외교 강화 및 지역 기여 강화
와 전략적 동 반자관계 구축 글로벌 차원의 양 자관계 수립 및 민간교류 활성화
종합적 에너지 외교정책 수립과 맞춤형 외교
다차원적 한국적 개념에 부합한 참 여자 발굴과 역량 증진 체계 구축 동남아 및 중앙 아시아 자원개발 추진
효율적인 이행
와 연계 전 략
재외동포 지원외 교의 중점 외교과 제 선정
북한의 비대칭 안 보위협에 대한 억 지력 및 대응능력 강화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정 준비 유사조직 통 폐합 을 통한 예산절감 과 업무효율 제 고 민간경영 방 식 민간위탁 확대 와 민 군 네트워 크 조성 및 확대 협동성 보완 및 강화책 마련 한국군의 기능별 전문화 및 세분화 방안 고려
상생 공영의 국민 적 화합
통일대비 내부역 량 강화
핵문제 해결을 위 한 전기 마련 평화공동체 건설 추진
통일기반 조성을 위한 주변국 협력 확보
<표 7-3> 외교안보통일 추진전략과 시기별 실천방안
정부
외교 안보 통일 정책 의 세부
실천 방안(
총괄 보고 서)
시기 별 실천 방안
중기
~ 년
한 미동맹 미래비 전의 내실있는 구 현
주요국 경협 국 제공조 확대 및 외교관계 격상 추 진
동북아 정상외교 지속 및 인적 경 제적 협력 확대 범아시아 관여 및 기여 확대 글로벌 차원의 맞 춤형 양자관계 활 성화
에너지 기업의 대 형화 및 국제적 기여에 대한 대국 민 지지 기반 공 고화
중국 및 일본과 의 체결 전문 지역외교관 양성
재외동포 업무의 통일부와 지방자 치단체로 분산
한국군의 독자적 전시작전 통제력 배양과 독자적 전 략개념 개발 지속적 군사혁신을 위한 체계적 전략 적 로드맵 제시
방위산업의 수출 산업화 전략을 위한 조건 마련 에너지 자원 보 유국들과 군사협 력 확대
통일교육 대상 확 대 제도 재정비 핵문제 해결 완료 평화공동체 건설 경제공동체 추진 동북아 안보협력체 제 추진
장기 년 이후
한 미 포괄적 협 력동맹 완성 주요국 관계격상에 따른 다면적 국제 문제 해결을 위한 공조
동북아 다자간 안 보협력 활성화 범아시아 협력네 트워크 구축 글로벌 차원의 각 지역별 협력네트 워크 구축
한국형 네트워크 지식국가 및 기 여외교의 확립 신재생 에너지 개 발 투자 다자간 무역자유 화 추진 통일한국의 국가 브랜드 고양 및 한민족 정체성 유 지
단 중기 차원에서 추진된 선진 안보 체제 구축 노력 평 가
통일한국을 대비 한 남북군사통합 준비
통일한국의 군사 력 발전방향 제시
통일기반 마련 경제공동체 건설 민족공동체 남북 연합 형성 동북아 평화번영 체제 구축
고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