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장
7. 협력 네트워크의 단계적 실천방안
불확실성과 복합성을 띤 세기 국제사회에서 대한민국은 국익을 극대화 하면서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치밀한 대외전략으로서 협력 네트워크 외교라는 전략을 제시하였다 협력 네트워크는 전통적인 협력외교 와 세기 세계화 정보화에 따라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네트워크 개념의 결합으로 과도기적 현 상황에 가장 적합한 외교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아직도 엄중한 동북아 안보위기가 잔존하는 상황에서 동북아에 국한되지 않고 변화된 한국의 국격에 걸맞는 대외정책을 실현할 수 있는 적절한 전략인 것이다
협력 네트워크 외교는 굳건한 한미동맹으로부터 출발한다 세기 한미 전략동맹의 추진은 양국 간 군사적 협력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슈에 있어서 한국 외교활동의 안정과 확대에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될 것이다
장- 이 명박 정 부 외교 정책 의 세부 실 천방 (1)안
‥협 력 네트 워크 분 야 동북아 주요국과도 양자관계 심화를 위한 협력외교를 수행하여야 한다
동북아 국은 역사적 또는 정치체제적 제약으로 인해 본격적인 양자 협력체제 가 구축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외교안보 경제통상 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교류협력을 심화시켜 간극을 최소 화하고 한국에 우호적인 외교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동북아 차원의 다자 간 협력관계도 심화될 수 있다 한 미 일 협력과 한 중 일 협력 은 각 양자관계의 협력외교와 병행하여 상호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아시아와 글로벌 차원은 네트워크적 접근을 중심으로 추진하면서 국익의 필요에 따라 맞춤형 양자관계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네트워크 권력은 연계의 범위와 집중도에 의해 결정된다 한국이 세계의 제반 문제에 대해 의제를 제안하고 선도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우선적인 대상은 기존의 다자회의체이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아세안지역안보포럼
등이다 또한 글로벌 차원에서 아시아유럽정상회의 등과의 정치 경제 사회문화에 대한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한국의 위상을 재정립하여야 한다
이러한 협력 네트워크 외교의 추진을 통해 한국은 세기 세계 위권의 외교강국으로서 성숙한 세계국가를 달성할 수 있다 성숙한 세계국가는 분단 체제를 극복하고 동북아 아시아 글로벌 차원에서 다양한 국제적 문제를 제안하고 선도적으로 대처하는 국가이다 물리적 국력을 뛰어 넘어 지혜로운 국가전략을 통해 국제적 리더십을 달성하는 것이 성숙한 세계국가인 것이다
장 - 이명 박 정부 외 교정 책의 세 부 실천 방안 (2)‥ 포괄 적 실리 외교 분 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