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관찰·탐구 학습 활용하기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비영리 - S-Space (Halaman 195-198)

3. 의문문 간접화행의 교수·학습 방법

3.3. 관찰·탐구 학습 활용하기

많은 교수법에서 관찰·탐색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OHE(Observe-Hypothesis-Experiment): 어휘적 접근법 (Lexical approach)으로 교수하는 모형으로 ‘관찰-발견, 가설-탐구, 시도’등 단 계를 거친다.

NDAE(Notcing-Discovering Rules-Accommodation and restructuring Experimentation): 문법 현상에 주목하고 문법 의식을 높이기 위해 탐구 학습의 방법을 수용한 모형이다.

ESA(Engage-Study-Activate): 즉 몰입으로 학습 목표를 동기화하고 스스 로 규칙을 발견하는 학습 단계를 거쳐서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강조한 활동을 통해 습득 내용을 활성화시키는 교수 모형이다. 71)

위에서 제시한 교수법의 공통적 특징은 ‘관찰-발견-탐구’를 통해 학습자가 지 식을 스스로 구성하고 내재화하는 것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급 학습자에게 형태 변화 및 의미 기능이 다양한 의문문의 수사적 기능에 대해 귀납 적 방법으로 발견·탐구를 통해 스스로 언어 규칙 특히 사용 동기를 모색하게 하는 탐구 학습 단계를 걸친 통제된 형태 초점 교수 방안을 고안하고자 한다.

탐구적인 교수·학습을 통해 학습자로 하여금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을 더 잘 이 해하고 언어 교실에서 제공되는 배움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머피(John M.

Murphy, 2004: 517)에 의하면 학습자는 학습에 관한 자각을 높이기 위해 다음 단계를 거쳐야 한다.

가) 언어 코스에서 일어나는 어떠한 정보라도 수집하기.

나) 수집한 정보가 무엇인지 더 잘 이해하도록 조사하기.

다) 교수·학습 과정에 대해 궁금한 사항 찾아보기.

라) 현재 교수·학습하는 행위와 학습하는 행위를 깊이 이해하고 동시에 깨달음 을 갖기.

마) 탐구적 교수·학습 과정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을 찾아 협력하기.

바) 심층 탐구가 필요한 교수·학습에 연관된 질문을 제기하여 다듬기.

사) 제기된 질문을 명확하게 답변해 줄 수 있는 자료 찾기.

아) 교수·학습에 있어 새로운, 미약한 정보라도 지식적인 변화주기.

자) 교수·학습 행위와 반응에 관한 변화 적어 놓기.

차) 이러한 노력을 지속하고 타인과 지식 교환 및 정보 공유하기.

의문문 간접화행을 교육시키는 데에 탐구를 활용하는 총 목표는 실제적인 맥락 에서 사용되는 의문문에 대하여 올바른 지식과 사용 능력을 개발하고 화용론적 관 점에 입각하여 적절한 의문문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방법은 다양한데 예를 들어 교사가 한국인 화자들 사이의 대화를 녹 화 또는 녹음한 자료를 준비하거나 혹은 학습자 스스로 한국인과의 대화를 녹음하 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또는 한국의 드라마나 동영상 자료 프로그램을 녹취하 여 그 자료에 나타난 특수적 담화 기능을 하는 의문문을 발견하고 기능 별로 분석 하게 한다.

71) OHE는 M. Lewis(1993), NDAE는, J.C. Richards(2002), ESA는 Harmer(2007)를 참 조함.

A: 야!

B: 뭐? 야?

A: 그래. 내가 너한테 밥 ( ) 그리고 나 이어폰 끼고 음악 듣고 있었어.

너 ( ).

B: 너 아주 싸가지가 바가지구나!

내가 너 밥 갖다 주고 싶어서 ( )?

그리고 밥 갖다 달라고 했으면 밥 먹을 준비하고 기다려야지, 귀에 이어폰 틀어막고 있었던 게 ( ).

A: ( ) (대본 출처: <돌아온 뚝배기>)

탐구적 학습은 그 학습 내용과 학습 방법은 굉장히 열린 성격을 가진다. 여기서 는 동영상을 시청하고 창의적으로 받아쓰기를 하는 활동 예시를 보여준다.

<예시3> 동영상 시청하고 창의적 받아쓰기 (고급 듣기) 절차:

§ 학습자에게 들려주기 전에 대화 내용의 상황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한다.

§ 학생 2인 1조씩 팀을 나눈다. 한 팀에 한 학생만 동영상 자료를 듣고 다른 학생은 듣지 않는다.

§ 학습자에게 문제지 배부하기: 녹음 내용 중 수사 의문문이 나온 부분을 지 워 빈칸이 있는 활동지를 배부한다.

§ 과제 설명: 학생에게 들은 내용에 근거하여 자기 말로 평서문으로 바꿔 내 용을 채워 보도록 한다.

§ 학생에게 동영상 자료를 두 번 들려준다. 처음에 들렸을 때는 정상적 속도 로 들려주고 대화의 맥락과 내용을 파악하게 한다. 두 번째로 들렸을 때는 느린 속도로 들려주고 담화를 완성하도록 한다.

§ 담화 완성시키기 문제지를 작성한 후 같은 팀의 다른 학생에게 준다.

§ 문제지를 받은 학생은 빈칸에 채워진 평서형 문장을 다시 수사 의문문 형으 로 바꿔 쓴다.

§ 완성 후 원본 스크립트와 대조한다.

<스크립트 내용에 의하여 재구성된 담화 완성 문제지>

<원본 스크립트>

A: 야!

B: 뭐? 야?

A: 그래. 내가 너한테 밥 가져오라고 했니? 그리고 나 이어폰 끼고 음악 듣고 있었어. 너 같으면 밖에서 소리 나는 거 들리겠니?

B: 너 아주 싸가지가 바가지구나! 내가 너 밥 갖다 주고 싶어서 온 줄 알아? 그 리고 밥 갖다 달라고 했으면 밥 먹을 준비하고 기다려야지, 귀에 이어폰 틀 어막고 있었던 게 잘 했다는 거야?

A: 뭐 이런 게 다 있어?

위와 같은 창의적 듣기와 텍스트 재구성 방법을 통해 학습자로 하여금 대본에서 출현된 다양한 의문문의 형태 및 담화 기능에 대한 인식을 강화시킬 수 있다.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비영리 - S-Space (Halaman 195-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