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의문문의 형태·통사적 특징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비영리 - S-Space (Halaman 51-54)

한국어 의문문은 다른 서법 범주나 문장 유형과 구별 짓는 가장 중요한 구조적 특징으로는 의문사, 의문문 어미, 억양 또는 강세를 들 수 있다. 우선 억양과 강세 는 의문문을 실현시키는 데 필수적 방식이다. 특히 구어에서 의문사나 의문문 어 미가 실현되지 않고 의미상 질문의 기능을 하는 의문문을 변별하는데 중요한 역할 을 한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도 이와 같은 억양과 강세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정하 나 연구의 초점은 의문문 간접화행의 형태·통사적 및 화용적 실현 양상에 맞추어 졌기 때문에 억양과 강세에 관한 음운론적 요소는 구체적으로 논의하지 않을 것이 다.

2.1.1. 의문사

의문문 구성의 다른 중요한 특징으로는 의문사인데 의문사는 의문문의 발화에서 화자가 알지 못하는 미지의 사실이 어휘적으로 나타난 부분이다. 의문사는 설명 의문문에서 흔히 초점을 받아 미지항을 지칭하는 기능을 한다. 한국어 의문사 목록은 이은섭(2005:71)에서는 서정목(1987), 서정수(1996), 이익섭·채완(1999/2004) 등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의문 대명사: 누구, 무엇, 어디, 언제 의문 수사: 몇, 얼마

의문 관형사: 무슨, 어느, 어떤, 어인, 어쩐, 웬 의문 부사: 어떻게, 어찌, 왜

의문 동사: 어떡하-, 어찌하-, 어쩌- 의문 형용사: 어떠하-

한편으로 김영란(2004:8)에서는 경대학교 『한국어』6권, 고려대학교 『한국 어』6권, 서울대학교 『한국어』4권, 선문대학교 『한국어』6권, 연세대학교 『한 국어』6권, 이화여자대학교『말이 트이는 한국어』4권에서 나온 의문사의 출현 빈 도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실현 유형 종결형 실현 빈도 실현 빈도

전형적인 -냐 5.47%

1) 무엇; 2) 어떻게; 3) 어떤; 4) 왜; 5) 어디; 6) 누구; 7) 몇;

8) 언제; 9) 어떻다; 10) 얼마; 11) 무슨; 12) 어느; 13) 어쩌다;

14) 웬; 15) 어찌; 16) 어찌하다; 17) 어떠하다

본 연구는 의문문의 간접화행에 초점이 맞추어졌기 때문에 이들 의문사의 개별 적인 의미 특성 및 설명 의문문에서의 용법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지 않을 것이다.

의문사가 간접화행을 수행하는 의문문에서의 용법은 Ⅱ장 3절에서 다시 자세하게 논의할 것이다.

2.1.2. 의문문의 종결형

현대 표준 한국어에서 전형적인 의문 어미로 쓰이는 것은 권재일(1992), 서정수 (1996), 이익섭·채완(1999), 고영근·구본관(2008), 민현식(2009)의 분류법을 종 합하여 화계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해라 하게 하오 합쇼 요-결락형 요-통합형

의문 어미

-느냐, -니, -랴,

-는가,

-나 -오 -ㅂ니까 -을까 -을까요

<표 Ⅱ-3> 선행 연구에서 논의된 전형적인 의문 어미

하지만 실제 담화에서 의문문의 종결형이 훨씬 복잡하다. 왜냐하면 구체적인 발 화 상황에서 억양이나 강세의 도움을 받으면 모든 문장이 질문의 의미를 드러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단편 드라마 말뭉치15) 265,931 어절 중 3,108 개의 의문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의문문 종결형 실현 유형은 다음과 같다.

15) 본고에서는 작품 및 작가의 문체성을 고려하여 의문문 종결형을 조사하는 데에 주제와 내용이 다른 단편 드라마를 사용하였다. 작품 목록은 참고문헌을 참조.

의문 어미

-니 3.51%

20.08%

(624문장)

-나(요) 2.51%

-는가/-ㄴ가/-던가 1.35%

-습니까 1.90%

-디 0.13%

-노 0.29%

-소 0.45%

-ㄹ까 4.38%

범용 어미

-어/어요/세요/유 40.86%

52.99%

(1,647문장)

-ㄹ래(요) 2.55%

-지(요) 8.98%

-구나 0.03%

-군요 0.03%

-구만 0.06%

-네 0.48%

연결어미

-면 0.23%

7.37%

(229문장)

-는지/을지(요) 0.13%

-고/구(요) 0.97%

-려고(요) 0.26%

-는데(요)/-던데(요) 2.77%

-거든(요) 0.45%

-다고/-라고/자고/-냐고(요) 1.15%

-다면서/라면서(요)/-다며,-라며 0.81%

-다니 0.59%

서술/명령

청유 어미 -ㄴ다, -라 0.35%

(11문장)

문장 조각 19.21%

(600문장)

합계 100%(3,108문장)

<표 Ⅱ-4 > 의문문 종결형 실현 양상

위 표에서 본 바와 같이 의문문 종결형은 전형적 의문 어미(20.08%), 범용 어 미(52.99%), 연결 어미(또는 종결 기능 연결 어미)(7.37%), 서술/명령/청유로 전 성된 어미(0.35%), 문장 조각(19.21%)에 의해 실현된다. 이 중에서 서술·명령·청 유 어미로 실현된 의문문 및 문장 조각으로 실현된 의문문은 발화에서 주로 억양 이나 강세 등 초분절적 요소의 도움을 받아 실현되어 소위 억양형 의문문이라고 한다. 이러한 억양형 의문문은 본 연구에서 자세히 논의하지 않을 것이다. 기타 유

형은 전형적 의문 어미, 범용형 어미, 연결 어미(또는 종결 기능 연결 어미)로 실 현되는 의문문이다. 이중에서 범용 어미로 실현되는 의문문은 52.99%로 가장 빈 도가 높다. 범용 어미 중‘-어(요)’로 실현되는 의문문 유형만으로도 40.86%를 차 지한다. ‘어(요)’은 순수 질문뿐만 아니라 특수 의문문에서도 많이 사용된다. 하지 만 본고는 언어적 맥락, 문법 지표를 활용한 의문문의 간접화행 교육에 초점을 맞 추고자 함으로, 이런 무표적인 의문 종결형 보다는 의문문에서의 양태 어미16)나 화용적으로 교육 가치가 있는 어미와 종결형에 주목을 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 ㄹ까, -ㄹ래’의 요청 기능, ‘-ㄹ까, -겠-’이 의문문에서 나올 때의 추측 및 부담 완화 기능, ‘-다고’류 종결형의 확인·진술기능 등에 주목할 것이다. 이에 대해 2.3 절에서 다시 논의할 것이다.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비영리 - S-Space (Halaman 51-54)